[문학을 읽는다는 것은]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문학을 읽는다는 것은 - 테리 이글턴의 아주 특별한 문학 강의
테리 이글턴 지음, 이미애 옮김 / 책읽는수요일 / 2016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글을 읽는 법을 배운다는 생각은 내키지가 않는다. 우리가 생각하는 글이란 단순한 문맥의 함의를 파악하는 것을 빼자면, 내가 생각하는 내 기준으로 해석되는 것이지 않은가. 얼마전 아이유의 노래 중 '제제'에 대한 해석에 대해, 다른 곳도 아니고 출판사에서 공식 멘트를 한 적이 있었다. 출판사는 아이유의 작품 해석이 틀렸다는 것이었다. 이는 꽤 놀라운 사건이었다. 개인이 개인의 생각을 말하는 차원이 아니라 그 책을 출판한 출판사에서 공식적으로 이의를 제기한 것은 매우 이례적이기 때문이었다. 아이유의 해석이 옳고 그르고의 문제 이전에 작품의 해석에 답은 없다는 기본 전제는 모두가 공유하는 원칙이다. 그것을 출판사에서 직접 나서서 틀렸다고 말했다는 것은 뭔가 씁쓸한 단면이 아닐 수 없다. 책을 읽는다는 것은 내 안에서 그 씨앗이 어떻게 피어나는지, 그리고 무슨 열매가 생겨나는 지를 확인하는 과정이다. 그것은 누구도 가이드 라인을 정할 수 없고, 가부를 결정할 수 없다. 


그렇다면 문학 비평가 테리 이글턴의 이 책은 어떻게 읽어야 할 지 생각해 봐야 한다. 단순히 남의 생각대로 책을 읽지 않으려면 오직 내 방식대로 읽어야 하는 것일까. 그의 생각은 조금 다르다. 우리가 힘주어 읽어야 할 부분, 어떤식으로 접근해야 하는가를 알고 본다면 진짜 문학의 재미를 느낄수 있다는 것이다. 비평가들이 훌륭하다고 평가하는 지점과 일반인들이 재미있다고 평가하는 지점에 교집합은 있지만 분명 차이가 있다. 아무래도 일반인의 시선은 단편적이거나 자극적인 것에 맞춰져 있을 것이다. 대신 비평가들은 수많은 문학작품 속에서 기본적인 장치들을 기본값으로 간주하고 이전의 기준과 다른 점, 다른 작품에서 진일보 한 점에 시선을 고정할 수밖에 없다. 우리는 그들의 수준에 이를 수 없기 때문에, 우리는 그들이 써 놓은 책을 보고 왜 우리는 뛰어나지 않다고 생각하는 작품에게서 의미를 찾는 일이 어려운 지를 알아보려는 것이다. 도입부, 인물, 서사, 해석, 가치라는 5개의 큰 챕터로 구성된 이 책은 각 분야에서 이를 설명할 수 있는 고전들을 예시로 들며 알기 쉬운 설명을 붙여 놓았다. 특히 구체적인 문장과 단어 구조들을 예로 들어가며 어떤 의미를 갖는지 친절하게 설명되어 있어서 흥미롭게 읽을 수 있다. 읽은 고전에 대해서 이야기 할 때는 쉽게 이해되다가도 생소한 작품에서는 다소 어렵기도 하지만, 대체적으로 우리가 문학을 읽을 때 어디에 방점을 찍어야 할지 알아가는 데는 최적의 교재가 될 것이다. 책을 덮고 나면 뭔가 비평이라는게 손에 잡힐듯 말듯 만만해 보이기도 하고, 더욱 대단해 보이기도 할 것이다.  


형식을 통해 내용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한 시도는 가끔 위험한 순간에 봉착하기도 한다. 그것은 모든 형식이 완벽하고 문학의 모든 요건을 완벽하게 구성했음에도, 주제가 모호하고 본질이 사라진 문학의 경우이다. 이것을 그림으로 치자면 사실적으로 잘 표현했거나, 아카데미에서 배운 그것을 완벽하게 구현하고서도 아무것도 담지 못한 그림의 경우가 될 것이다. 모든 것을 완벽하게 구현했다고 해서 그것이 완벽한 작품이 될 수 없고, 우리가 모든 부분을 완벽하게 체크하고 문학을 읽어 나간다고 해도 그것이 완성되는 것은 아니다. 그것들은 단순히 필요조건일 뿐이고 그 속의 본질을 놓친다면 그것은 무의미하다. 무엇보다 '주제가 결정적이라는 사실과 비극적이고 무시간적인 주제만이 타당하다는 사실'(마크로스코 중)을 망각하지 말아야 한다. 비평가의 눈으로 형식과 주제에 대해 섬세하게 접근해 가는 방법은 문학을 즐기기 위해서라면 절대 잊지 말아야 할 방법론이다. 


* 알라딘 공식 신간평가단의 투표를 통해 선정된 우수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 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