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페이퍼(나의 소원=김구)를 쓰고, 또 생각난 것.
국사 교과서에 [김홍도의 자리짜기]란 그림이 나온다.  



조선후기사회의 변화를 설명할 때 나오는 그림인데, 이게 뭐하는 그림인지, 왜 조선후기 단원에 이 그림이 나오는지를 설명하면서...  

"그림 속의 여자는 뭘 하고 있는 걸까요?" 

학생들 : "간디요~"   

도덕 교과서에 실린 물레 돌리는 간디를 찍은 흑백 사진의 영향력이 매우 강한가보다 ㅠ.ㅠ 간디하다=물레질하다는 새로운 말이 생기는 건 아니겠지?


댓글(3)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순오기 2010-05-19 11: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흐흐~ 그래도 요 대답은 재치가 보이네요.^^
이런 걸 생전 본 적도 없는 아이들... 박물관이나 사진으로만 봐야 되다니...
나는 어려서 촌에 살때 다 해봤던 것들이랍니다.

BRINY 2010-05-19 19:48   좋아요 0 | URL
재치가 있으면 좋을텐데, 물레가 뭔지 몰라서 그랬을 가능성이 더 높기 때문에 걱정입니다.

희망찬샘 2010-05-26 14: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푸하하~ 재미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