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거미여인의 키스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37
마누엘 푸익 지음, 송병선 옮김 / 민음사 / 2000년 6월
평점 :
이 소설을 왜 읽게 되었을까?
뜬금없이 이런 물음이 내 속에서 불쑥 튕겨나온다.
아마도... 성(性)을 초월한 사랑이랄까, 약속이랄까 하는 것을 무의식 중에 생각했던 건 아닐까. 아마도...
<거미여인의 키스>는 소설뿐 아니라 영화, 뮤지컬, 연극 등 장르를 불문하고 대성공을 거둔 작품이다. 그간 한국에도 몇 번이나 번역이 되었지만, 정식 계약 후 소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 소설의 줄거리를 소개한다는 것은 거의 의미가 없는 일이다. 영화가 소설을 잘 재현해놓았으므로 성미가 급한 사람은 영화를 보아도 될 것이다. 덧붙이자면 원작을 잘 재현한 몇 안 되는 경우라고 말할 수 있겠다.
이 소설은 표면적으로 두 가지 주제를 가지고 있다. 첫째는, 서로 질시하던 정치범과 호모가 서로에 대한 이해를 넓혀가고 급기야 호모가 정치범을 돕게 되는 이야기를 통해 진정한 이해와 관용은 그 어떤 제약도 넘어선다는 메시지이다. 둘째는,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에로스적 의미에서의 사랑이다라는 메시지가 그것이다.
하지만, 소설을 읽어나가는 동안 알아챌 수 있는 또 다른 주제가 있는데, 그것은 바로 인생은 감옥에 갇힌 것과 마찬가지의 고통과 반복의 삶이며, 그것을 이겨내는 것은 '환상'(소설 속에서 호모인 몰리나는 정치범인 발렌틴에게 거의 매순간 쉼 없이 영화 이야기를 들려준다. 그것도 주로 감상적인 톤으로.)과 '사랑'이다라는 말로 요약할 수 있다. 감옥 이미지에 사로잡힌 감상(感想)이라 해도 할 수 없지만, 소설을 읽어보면 내 말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하여튼 이 소설은 그 구성이나 주제, 발화법이나 이미지의 다양성으로 인해 주목을 요하는 작품이다. 섣불리 남미 문학의 특성 운운하고 싶진 않고, 그저 마누엘 푸익이란 특이한 작가를 알게 되었음에 감사하고 싶다.
오늘 밤 내 불안한 눈길이 한 뼘 책 위에서 어른거릴 때에도 인생의 감옥은 견고하고 견고하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