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불안
알랭 드 보통 지음, 정영목 옮김 / 이레 / 2005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내가 이책을 읽게된 계기는 알랭 드 보통에 대한 찬사가 쏟아지고, 쏟아져서 어떤 사람일까? 하는 의문을 가지고 읽게된 책이다. 제목이 불안이라 현재 나의 상태와 잘 맞아 떨어질것 같고, 그래서 고르게 된 책이다. 어떻게 보면 읽기도, 이해하기도 쉽고, 중간에 이해를 돕는 사진, 그림, 광고도 간간히 들어간것이 정말 흥미로운 책이었으나, 그냥 나에게는 그닥 와닿지가 않았다. 내가 너무 처음에 난해한 주제의 책을 골랐던 탓이었을까?
현대 사람들은 많이 불안해 한다. 정말 작가 말대로 높은 지위에 오르지 못할까봐, 혹은 이 지위에서 떨어질까봐, 다른사람들은 저만큼 가는데. 나 혼자서만 제자리걸음인것 같아서 등, 우리는 불안을 많이 느낀다. 우리가 불안을 느끼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 작가는 이 이유를 기회의 폭이 넓어짐에 따라 사람들의 지위가 타고난것이 아니고, 자신이 노력하면 한만큼 자신의 지위를 변경할 수 있다는 믿음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내가 낮은 지위에 있고, 가난한 것에 대해서 다른 사람들이 나를 무능력해서, 혹은 높은 지위에 올라갈 수 있는 자질이 없어서라고 생각할까 두렵고 불안하다는 것이다.
태어날때부터 자신의 신분이 정해졌던 시대에서는 사람들이 정말 불안을 덜 느꼈을까? 작가 말대로 본인의 노력여하에 따라 신분의 상하이동이 불가능했던 시절에는 자신의 의무만 충실하면, 그 외의 시간에는 마음의 평온의 시간을 갖을 수 있었을까? 하는 의문이 들었다. 그 때는 그 나름대로의 불안을 느끼지 않았을까? 먹고 사는 것에 대한 불안, 간강에 대한 불안, 아이들의 장래에 대한 불안들을 느끼지 않았을까? 아니면, 신분이 낮았던 사람들은 노동의 시간이 너무 길고, 힘들어 불안을 느낄 시간의 여유가 없었던것이 아닐까? 내가 생각하기엔, 지위의 이동이 가능하던, 가능하지 않던간에 사람들은 불안을 느꼈을 것 같다. 인간이란, 원래 항상 현실에 안주하지 않고, 끊임없이 더 좋은 생활을 꿈꾸는 동물 아니였던가. 다만, 불안을 느끼는 이유가 다를 것이다.
그럼 현대 생활에서 불안을 느끼지 않기 위해서, 혹은 불안의 강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할까? 작가가 제시하는 것은 부자라고 해서 마음과 생각도 부자인것은 아니고, 가난한 사람도 마음 및 생각은 부자일수 있으므로, 너무 자신을 낮게 평가하지 말라고 설명하는 듯 하다. 그러나, 어찌보면 너무 흑백논리로만 설명이 되어서 인지, 선뜻 수긍을 할수가 없었다.
책을 읽는 내내 나의 생각이 이리로 갔다가, 저리로 갔다가, 이건가? 저건가? 갈피를 못잡고 책의 마지막장을 덮은 느낌이다. 그리고, 아직까지도 그 문제는 내 머릿속에서 물음표의 기호로 남아있는 듯하다. 어찌보면, 너무 어려운 숙제를 쉽게, 그리고 가볍게 생각해서 만들어진 물음표일지도 모르겠지만, 이 책이 내 머릿속의 물음표를 없애기 위해 그리 큰 도움은 못준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