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와온 바다에서 차를 마시다
한승원 외 지음 / 예문 / 2006년 8월
평점 :
품절
다도라고 하면 그저 어렵게만 생각했었다. 좌식방에서 왠지 한복을 입어야 할것 같았고, 방석을 깔고 앉아 다도법에 따라 차를 마셔야만 한다고 생각했었다. 그런 나의 이미지 때문일까? 그저 차를 마신다는건 나이가 들어서 마시는 것이라고 생각했었다. 주위엔 Take-out 커피전문점은 얼마든지 있고, 자판기 커피도 있으니까... 그러나 이 책을 읽고 그동안의 나의 짧은 지식이 나와 차를 멀리 떨어뜨렸구나 하는 것을 깨달았다.
내가 그동안 다도라고 생각해왔던 격식들은 일본것이라고 한다. 일제시대때 그것이 우리나라로 흘러들어왔고, 아직도 그것이 다도법인 줄 알고 있는 사람이 많다는 것을 이 책은 말해준다. 우리나라식으로 차를 마신다는건, 자연을 벗삼아 마음에 맞는 친구들과 함께 아무 격식 없이 그저 편안하게 차를 마시는 것이 전통이라고 한다. 특히나 4계절이 뚜렷한 우리나라기에 계절에 따라 꽃잎차도 만들어 먹을 수 있다는 장점도 있고, 계절의 변화를 하나하나 감상하면서 차를 마실수도 있는 것이다. 책을 읽으면서 나도 그런 상상을 해보며 혼자 행복해 하곤 했다.
요즘들어 차라고 하면 중국산이 많이들 들어온다. 가끔 부모님이 차를 즐겨 드시곤 하셔서 옆에서 조금씩 맛을 보곤 하는데, 솔직히 아직 차의 향이나 특성들을 잘 알지는 못한다. 그러나, 듣기로는 중국산 차는 싼것에 비해 우리나라 차는 요즘 하도 귀해져서 비싸다는 것이다. 내가 이 책을 읽은 후로, 우리나라 차가 왜그리 비싼지도 알게 되었다. 차 하나 만드는 것만 해도 손이 이만저만 가는게 아니었던 것이다. 모든 차를 만드는 과정이 사람의 손을 빌어서 해야 하기 때문에 그만큼 정성이 들어가야 하고, 시간이 들어가야 하니 그만큼 비싼 것이리라.
책을 읽고 있으면 책에서 말한 차를 한잔한잔 모두다 마셔보고 싶다는 생각도 들고, 나중에 나이가 들어서 자연속에서 차와 함께 사는것도 그리 나쁘지는 않겠구나 하는 생각도 들었다. 바쁘고 힘든 하루하루 속에서 내가 좋아하는 차와 함께 잠깐이라도 휴식을 취해 본다면 그만큼의 재충전의 시간이 되지 않을까? 차라고 해서 너무 어렵게 생각하지 말고, take-out 커피전문점 처럼 이런 재충전의 시간을 갖을 수 있는 찻집이 주위에 있다면 좋을텐데 라는 생각도 해본다. 책을 다 읽고 난 후, 내가 지리산에서 일년동안 풍경을 보면서 차를 마신 기분이 들 정도로 내겐 휴식 같은 책이었다.
Tip: 어느 분이 쓴 글인지는 모르겠지만, 깨진 청자속의 그림을 설명하는 글이 있고, 주석으로 된 뒷부분에 그 청자의 사진이 있는데, 주석에서 말하는 글부분의 페이지도 안맞고, 글 부분에서 말하는 주석의 페이지 부분도 맞지 않는다. 조금더 신경을 썼음 하는 부분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