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라벌의 꿈 푸른숲 역사 동화 5
배유안 지음, 허구 그림, 전국초등사회교과 모임 감수 / 푸른숲주니어 / 201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사 공부. 도대체 왜 하는 걸까요? 저는 역사교육을 하는 목적을 세가지 정도로 생각해 보았습니다.

 

첫째, 현재에 대한 바른 이해를 돕고 위해서 하는게 아닐까요? 현재는 과거로부터 나온 것이니 과거의 역사를 통해 오늘날 벌어지고 있는 여러 가지 일을 보다 넓게 바라볼 수 있는 안목을 길러주기 위해 역사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둘째, 인류는 끊임없이 변화, 발전해 오면서 훌륭한 업적을 남기기도 하고 부끄러운 모습을 보이기도 합니다. 과거의 흥망성쇠를 되돌아보며 삶의 지혜를 얻고 이를 바탕으로 미래에 대한 전망과 계획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주기도 합니다.

 

마지막으로 과거의 흔적을 연구하고 과거의 일을 평가하다보면 역사적 사고력과 비판력, 판단력 등이 기를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안타깝게도 기존의 역사교육의 방향은 이런 궁금적인 목적과는 관계없이 역사적 사실, 문화재, 인물들을 얼마나 기억하고 있느냐에 초첨이 맞춰져 있던게 사실입니다. 역사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으로 인해 초등학교에서의 역사교육도 6학년 1학기동안 이루어지던 것이 작년부터는 5학년 2학기 동안 배우도록 개정되었으나 역사교육이 시작되는 시기와 분량에 차이가 있을 뿐 아직까지도 근본적인 역사교육을 위한 인식자체의 변화는 없는듯 합니다. 어찌되었건 교육과정 개정과 함께 초등학생들이 읽을만한 역사 관련 도서나 서적들이 많이 출판되는 경향이 있는 듯 합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우리의 역사를 들여다보고 조명하는 방식은 예전과 큰 틀을 벗어나지 못하는 듯 합니다. 우리 문화의 우수성을 부각시키거나 역사적 인물을 중심으로 사건을 풀어가는 기술은 우리 민족과 문화에 대한 자긍심을 높일 수는 있겠지만 한편으로는 편협된 사고를 고정시키는 결과만 초래할 뿐입니다.

 

굴곡의 반만년 역사를 되짚어 보면 논란이 될 수 밖에 없었던 수많은 일들이 떠오릅니다. 그 중에 당연 수위를 차지할 만한 사건은 변방국가 신라의 "삼한일통"을 들 수 있겠지요. 고구려 유민들에 의해 동시대에 건국된 발해의 존재는 차치하고서라도 신라의 삼국통일을 진정한 통일로 볼 수 있으냐에 대한 의견은 분분합니다. 신라가 아닌 고구려가 통일했다면 어떠했을까 하는 가정법적인 시각 역시 신라 역시 삼한일통이라는 대업의 공을 떨어뜨리기에 충분합니다. 당나라와 손을 잡고 백제와 고구려를 정벌한 것이 교활하고 약은 결정이 아니었을까 라는 시선을 거둘 수 없는 것도 사실입니다.

 

하지만 신라의 삼국 통일에 대한 이런 다양한 시각들 역시 존속하기 위해 전쟁을 치를 수 밖에 없었던 고구려, 백제, 신라의 왕족과 귀족들의 시선에서만 바라본 것이 사실입니다. 한수를 차지하기 위해 뺏고 뺏기는 치열한 전투 속에서 어쩔수 없이 끌려오다 싶이 징집되어 온 나이어린 소년들과 한 가정의 가장들의 비통한 실상에는 눈길을 주지 않고 권력의 공이 어느 나라 어느 장수에게로 넘어가느냐에만 관심을 가졌던 것이 사실입니다. 고려시대 몽골의 침입과 조선시대 임진왜란을 언급하면서는 당시 핍박 받아왔던 민초의 삶을 거두어 보았을 지언정 삼국의 틈바구니에서 고통받았을 백성의 아픔을 들여다 보지 못했던 것이 사실입니다. 하지만 푸른술주니어의 <서라벌의 꿈>은 그동안 우리가 미처 안아주지 못했던 삼한일통 전 백성들의 고달픈 살과 가슴아픈 사연들을 풀어내고 있습니다. 화려한 왕과 귀족의 삶이 아닌 그들의 처세에 허리 굽힐 수 밖에 없었던 일반 평민들의 이야기는 현재의 우리네 모습과 오버랩 되어 저도 모르게 감정이입이 됩니다.

 

 

 

김춘추의 집에서 그의 아들 법민과 딸 고타소와 친형제처럼 친하게 지내온 부소는 어릴적 신라와 백제의 전쟁으로 아버지를 잃은 후 어머니와 단 둘이 살고 있습니다. 전쟁으로 가족을 모두 읾은 부소의 어머니에게 부소는 유일한 희망이고 삶의 끈을 이어주는 생명줄이었습니다. 하지만 신라를 향해 달려드는 전쟁의 소용돌이 속에 어쩔 수 없이 낭도로 징집되어 전쟁터에 나서게 되고 고구려의 포로로 잡혔다가 억울한 오해를 사는 바람에 신라로 돌아오지 못하고 사람들의 눈을 피해 숨어사는 신세가 됩니다. 신분의 차를 넘어 자신과 한몸처럼 여기며 어린시절을 보냈던 고타소의 끔찍한 죽음을 전해듣고 자신에게 주어진 억울한 죄값을 치르고자 떠돌이 생활을 뒤로 하고 다시 서라벌로 향하게 됩니다.

 

 

 

초등학교 수학여행 이후 경주를 방문할때마다 그곳의 유적과 유물의 화려함과 경이로움에 입을 다물수가 없었습니다. 경주에 남아 있는 화려하고 세련된 문화재를 통해 옛 서라벌의 모습을 그리며 최고의 엘리트 그룹이었던 화랑이 되어 보기도 하고 삼국통일의 기반을 닦았던 김유신과 김춘추가 되어 으흠 헛기침을 해보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화려한 문화 저 뒤편에 숨어있던 평민들의 삶은 왜 보이지 않았던 걸까요? 그런 평민들의 마음을 헤아리고자 가슴앓이 할 수 밖에 없었던 김춘추의 고뇌는 왜 미처 발견하지 못했던 걸까요? 하지만 <서라벌의 꿈> 속 부소의 행적을 따라가며 그들의 마음을 조금이나마 미루어 짐작할 수 있었습니다. 보고 싶은 것만 보이고 알고 싶은 것만 찾게 되는 불편한 진실. 그 불편한 진실 속에서 그동안 나도 내가 보길 원했던 것, 또는 보일만한 업적들만 열심히 쫓아다녔던 것은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역사동화라고는 하지만 부정할 수 없는 팩트를 바탕으로 태어난 부소라는 아이를 통해 당시 신라에 살았던 평민들의 모습을 조금은 엿볼 수 있었습니다. 1400여년 전의 일들을 바라보며 현재의 우리 모습도 다시금 바라보게 됩니다. 누구를 위해 갈라서서 누구를 위해 헐뜯고 있는지. 1400년 전 고구려, 백제, 신라의 그분들이 내세웠던 대의를 지금의 그 누군가도 내세우고 있는건 아닌지? 그 밑바닥에서 자신만의 삶을 가꾸어 가고 싶지만 어쩔수 없이 그 소용돌이에 휘말리지 않을 수 없는 부소의 모습이 지금 우리의 모습은 아닐지.

만약 그렇다면 대세는 바꿀수 없더라도 <서라벌의 꿈> 부소처럼 언젠가 우리를 당당히 드러낼 수 있어야 하는건 아닐지.

 

 

 

동화라고 생각하고 가볍게 읽었던 책 한 권으로 여러가지 생각을 하게 됩니다. 생각이 생각에 꼬리를 물지만 해답은 없습니다. 해답을 찾지 못한다고 해서 마음이 불편하지는 않습니다. 왜냐하면 앞서 언급했던 역사공부를 하는 세가지 이유를 몽땅 다 품고 있는 역사동화 한 권 읽었다는 생각이 들기 때문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