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모래땅의 사계
알도 레오폴드 지음, 이상원 옮김 / 푸른숲 / 1999년 1월
평점 :
품절
모든 고전 속의 '현대'와 '지금'은 우리에게는 현대도 지금도 아니다. 그러나 우리가 그들을 고전이라고 할 때 그 속에 놓인 현대와 지금은 통시(通時)적 가치로서의 시간을 의미하고, 우리가 현대나 지금이라고 부르는 존재의 근거를 제공한다. 따라서 고전에 명시된 지금은 우리의 지금과 동일한 것이다. 1949년에 초판이 발행된 [모래땅의 사계]는, 오늘날 우리가 가장 주목하는 분야이기도 한 환경에 관한 최고의 고전이며, 이 책에서 저자(알도 레오폴드)가 문제삼는 지금은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이 땅에서의 지금이 지닌 문제로 고스란히 이행되며, 불행하게도 문제의 심도는 1949년에서 2004년의 물리적 심도(55년)만큼 깊어져 있다. 종종 환경관련서적을 읽고나면 희망보다는 절망감을 훨씬 더 많이 가지게 되는데, [모래땅의 사계]에서 알도 레오폴드가 읊어주는 숱한 자연에 대한 아름다운 문장들로부터 이토록 크나큰 절망을 받아야 한다는 사실은 새삼스럽게 너무도 슬프다.
"신은 세상에 무엇인가를 주고는 다시 그것을 거두어들인다. 그러나 더 이상 신이 주고 거두어들을 수 있는 유일한 존재는 아니다. 우리의 먼 선조가 삽을 발명했을 때 인간도 주는 존재가 되었다. 나무를 심을 수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도끼가 발명되자 거두는 존재까지 될 수 있었다. 나무를 베어 넘어뜨릴 수 있으니까. 그러므로 나무를 심을 땅을 가진 사람은 누구든 스스로 깨닫건 깨닫지 못하건 간에 식물의 창조와 파괴라는 신의 영역을 자기 것으로 하고 있다.
그 후에도 선조들이 다른 도구들을 많이 만들어냈지만, 결국 그 모든 것은 좀더 정교해졌을 뿐 기본적인 두 가지 도구, 곧 삽과 도끼의 보조 역할을 하는 데 그쳤다. 우리는 사람들을 직업에 따라 분류한다. 도구를 사용하는 사람, 내다 파는 사람, 수리하는 사람, 날카롭게 벼리는 사람, 혹은 어떻게 그 도구를 사용해야 할 지 가르쳐주는 사람 등. 그런 식의 구분을 통해 우리는 도구가 잘못 사용되었을 경우 책임을 회피할 수 있다. 특별한 영역도 하나 있다. 철학이라고 불리는 이것은 인간이 생각하고 또 바라기만 하면 사실 누구나 어떤 도구건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을 알고 있다. 또한 철학은 생각하고 바라는 바에 따라 도구를 사용하게 될 때 그것이 가치 있는지 없는지 결정하는 존재 또한 인간이라는 점도 안다."(85-86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