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본래 이 책에 박한 평가를 내리려고 했다. 세대와 성별을 비롯한 위치성이 달라서인지 공감하기 어려운 부분이 무척 많았기 때문이다(대략 책의 3분의 2 정도?). 철학이라는 렌즈를 통해 문학을 바라보는 방법을 구경하는 것만으로 큰 소득이라고 생각하려고 했다. 그런데 "자살하는 인간(231-243)"이라는 챕터에 그만 쓰러져버렸다.
내 어린시절엔 "오늘도 태양이 나를 위해 떴다"는 식의 해맑음이 없었다. 태어나지 말았어야 함을 자주 생각했고 '태어남'의 고통을 나만큼은 절대로 물려주지 않겠다고 결심했다. 기독교에서 말하는 천국과 영생이 내겐 지독한 공포였고 '영원히 산다'는 게 무엇인지 생각해보려고 할때마다 거의 패닉에 빠졌다. 죽고 싶은 건 아니지만 딱히 살고 싶지도 않은 게 우울증 환자의 디폴트 값이라고 전에 다른 글에 적은 적이 있었는데 거짓말이다. 죽고 싶었던 적이 꽤 있었다. 지금의 나는 그때의 나로부터 상상도 할 수 없을만큼 멀리 왔다.
삶의 아름다움이나 가치를 알게 되어 괜찮아진 건 아니었다. 삶은 엉망진창이고 사람은 이기적이며 세상은 실망스럽다는 걸 어느 순간 진심으로 받아들이게 되었다. 거의 모든 것에 대한 기대를 접음으로써 전과는 비교도 할 수 없을만큼 나는 무뎌졌고 평온해졌다. 나를 거쳐간 수많은 책들이 내게 알려주었다. 네가 겪은 일은 이전에도 있었고, 지금도 있고, 앞으로도 있을 거야. 그건 아주 진부한 이야기일뿐이야. 너도, 너의 슬픔도 특별하지 않아.
나쁜 일이 일어나면 당연히 분개하고, 좌절하고, 고통을 겪지만 한편으론 그래, 일어날 일이 일어난 거야 생각하는 내가 있다. 반대로 좋은 일이 일어나면 웬일로 삶이 내게 잘해주지 생각한다. "오히려 좋아" 감사하고 양껏 기뻐한다.
(237) 실존적인 상황이란 부조리로 가득찬 세상을 자신이 감내하고 살아가야 할 세상으로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는 데서 성립한다. 인생의 덧없음을 부정하기보다는 그것을 긍정함으로써 그 덧없음에 스스로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 실존적인 삶이라고 할 수 있다.
뭐야, 이거 완전 난데? 나 실존주의자였어?!
전에 공쟝쟝님이 댓글로 알려주신 링크를 타고 가서 테스트 해보았을 때도 후기 실존주의자가 무려 93%, 플라톤이 0%였다(보편성에 알레르기 있음).
(240) 실존주의는 기본적으로 플라톤주의적인 보편이성을 거부하는 데서 출발하기 때문이다. 플라톤이 부정했던 감각의 세계를 긍정하는 데서 실존적 사유가 시작된다. 그 감각의 세계는 바로 우리의 몸이 속한 세계이다. 이 세상은 그 자체로서는 아무런 의미도 가지고 있지 않은 존재들과 우리의 몸이 만나는 세계이다. 우리가 세상을 향해 자신의 가능성을 던진다고 할 때 결국 던져지는 것은 나의 몸이다. 나는 몸을 통해서 세상과 만나고 그 몸을 통해서 가치를 만들어 내는 것이다. 나의 개별성 역시 나의 몸에서 비롯된다.
"원래 그런거야", "그냥 남들 하는대로 해" 같은 말들로 누군가 내게 무언가를 강요할 때 나는 그쪽 방향으로는 행여라도 단 한뼘도 움직여지지 않는다. 그건 내가 내 삶에 부여하는 의미와--나의 몸을 던지고자 하는 세상과--하등 무관하기 때문이다. 아래 사진은 몇년 전 타샤 튜더 다큐멘터리를 보고 나야, 이거 완전 나야, 하며 한동안 카카오톡 프로필로 해두었던 사진이다(너야, 이거 완전 너야, 라는 피드백을 받았다).
이 챕터의 주제인 "자살하는 인간"과 관련해 범우사판 까뮈의 <시지프의 신화>가 인용되어 있다.
(236) 자살한다는 것은... 인생에 대처하지 못하고 끌려감을, 혹은 인생을 이해하지 못한다는 것을 고백하는 것이다. 그것은 인생이 '살만한 가치가 없다'는 것을 고백하는 것이다. 사람들은 많은 이유로--그 첫째는 습관이다--생존이 명하는 행위를 계속한다. 자진해서 죽는다는 것은 이러한 습관의 우롱적인 성격, 산다는 모든 깊은 이유의 결여, 매일 매일의 이 소란의 무모한 성격, 그리고 고통의 무용성을 의식하였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즉, "실존주의자에게 자살이란 스스로의 인생이 무가치함을 고백하는 것(242)"이다. 당장 카뮈를 읽고 싶어져서 책장을 뒤져보니 민음사 세계문학전집으로 카뮈 <시지프 신화>가 있다. 책을 덮어놓고 사다 보면 이런 좋은 일도 생긴다. 당장 읽고 싶은 책이 이미 내손에 있었는데 아직 안 읽었다니!!!
지금의 나는 무의미와의 싸움에서 질 생각이 없다. "자신의 무의미한 삶에 의미를 부여하고자 투쟁(242)"하며 끝까지 주어진 생을 다 살아냄으로써 인생의 가치있음을 증명하고 말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