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의 말이 우리의 무기입니다 ㅣ 삶과 전설 1
부사령관 마르코스 지음, 주제 사라마구 서문, 후아나 폰세 데 레온 엮음, 윤길순 옮김 / 해냄 / 2002년 3월
평점 :
품절
그러니까 읽고 난 결과 제목은 나에겐 이런 뜻이 되었다. ;
우리는 폭력을 사용하길 원치 않는다. 그래서 우리는 말한다.
우리는 우리의 삶속에 너희의 말이 아닌 우리의 말이 필요하다.
작년 <녹색평론>에서 다룬 사파티스타에 대한 글에 의하면 ;
마르코스가 정글에 도착하여
“봉기하라!”고 말했을때 원주민들은 이렇게 대답했다고 한다.
“물러가라. 우리는 프롤레타리아가 아니다. 우리의 땅은 당신들이 말하는 생산수단이 아니다.
우리는 트랙터 공장에서 일하고 싶지 않다.
우리가 원하는 것은 우리의 말에 귀기울여 달라는 것이며,
당신들 같은 대도시의 배운 사람들이 우리더러
어떻게 살아야 한다고 말하는 것을 그만두라는 것이다.
당신들의 변증법은 그대로 가지고 있어도 좋다. 언제 유용하게 쓰일지 모르니까.“
젊은 혁명가는 생각보다 많은 것을 배웠는데 예를 들면,
민중 민주주의, 전통, 토지 경작, 자연과의 친연성, 오래된 토착적 세계관에 대해 배웠고
이런 것들은 현대세계의 경직된 정치적 용어로는 분류가 되지 않는 것들이다.
그는 자신의 이데올로기적 명징성에 대해 의문을 품기 시작했다.
원주민들의 저 주장은 무척이나 독특하고 자신감넘쳐서 얼마나 아름다운지 모르겠다.
그러니 마르코스도 그들에게 홀딱 반해 넘어가지 않을 수가 없었을 것이다.(웃음)
자주 하는 얘기지만 대부분의 논픽션에 흥미를 잃은지 꽤 되었고 그건 논픽션이 어떤 기술적인 면외에는 이제 내게 그다지 많은 감동을 주지 않기 때문이다.
내가 픽션을 대하고 처음으로 눈물을 흘린것은 kbs1 tv에서 방송했던 녹두장군 전봉준의 다큐멘터리를 보면서였다. 당시까지 내가 접해왔던 무엇에서도 나는 그같은 감정을 경험해본적이 없었다. 안타깝고 모골이 송연한 느낌과 감동, 불타오를 정도는 아니더라도 굳어지는 정체를 알 수 없는 의지를 느꼈다.
이후 나는 나를 포함하여 한 개체의 내면에 관한 것들(환희, 불안, 고독, 우울, 근면, 성실,..., 당시 나는 그게-내면을 들여다 보고 분석하는게 매우 지루해져있었다. 지칠정도로 끝이 없었는데 그 이유는 스스로에게 솔직하지 못하고 객관적이지 못하기 때문이었고 또 자신이 특별하다는 전혀 특별하지 않은 생각을 하기 때문이었고 무엇보다 주체적인 것들과 실천이 부족했기 때문이었다. 나는 나이 30, 40세가 넘어도 자신의 내면에 과도하게 침잠해 있는 사람은 어른이 아니라고 생각한다.)보다는 (원래 불완전하고 끝까지 불완전할)내자신이 어떻게 생긴 환경에서 사회적 동물이 되어가는지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나를 구성하고 있는 것은 나의 내부에 있는 것뿐만이 아니라는 것을 좀 더 명확히 알게 된 계기가 그 다큐멘터리였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외부의 많은 것들을 듣고 보고 생각하기 시작하였다. 그러자 나는 많은 놀라움과 분노와 사라질것 처럼 너무 적은 희망과 그럼에도 식을줄 모르는 순수하고 꼿꼿한 열정이 세상에 널려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런 것을 알아간다는 것은 대부분 고통스러웠지만 고통 때문에 등돌려 버리는 경우가 생기지 않게 하는 강력한 힘이 나를 잡아 끌고 있었다.
그 중에 하나가 중부아메리카에서 끊임없이 지치지 않고 자신들의 말을 해오고 있는 사파티스타 운동이었다.
배달되어온 제법 두꺼운 책은 내가 살고 있는 이 땅 한국이 아닌 타국의 비극을 전하고 있지만, 글자 그대로만 보고서 사파티스트들을 응원하는 마음을 갖는 정도로 그치는 것은 곤란하다. 멕시코 사회에서 일어난 겉으로 드러난 사실만 봐서는 언뜻 달라보이지만 저변에 깔린 부정의한 기운은 보편적으로 바로 여기에서도 스물스물 세력을 뻗쳐나가고 있기 때문이다.
(내가 객체의 내면적인 문제라고 생각하는) 올바른 태도와 생각(정직, 신뢰, 친절, 용기, 관용, 사랑,...)이 악한것들을 치료하고 인류를 좋은 방향으로 이끌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실천하려는 고민은 당장은 숭고하다고 생각되어질지 모르나 잊으면 안되는 중요한 사실이 있다.
문제는 그런 고민과 실천이 사회에서 존중받고 가치있는 것으로 여겨지냐는 것이다.
지금같이 부자에게 점심을 사라, 10억 만들기등 돈버는 법에 관한 책들이 불티나게 출판되고 팔리는 분위기라면 과연 그 숭고한 생각과 실천들이 커다란 가치가 있는 것으로 취급받을 수 있겠냐는 것이다. 만일 이 사회가 속물적 가치만을 추구하는 모습으로 변한다면 그런 숭고한 정신과 실천을 고수하는 사람들은 눈물을 머금고 부정적인 사회에 굴복할지도 모를 일이다.
한낱 생산수단으로 전락해버린 사람의 가치, 파괴되어 자본가의 주머니를 채우는 신세로 몰린 생태계, 기득권층이 다루기 편리하게 통합되고 단일화되어 가는 문화....
사파티스타는 단지 땅의 소유권만을 위해 싸우고 있는 것만이 아님을 우리는 이 책을 통해서 알 수 있다.
그리고 이 책에서의 투쟁이 다른 투쟁들과 다른 주목할 만한 점이 있다면,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현대세계의 경직된 정치적 용어로는 분류가 되지 않는, 이데올로기적 명징성으로 설명할 수 없는 투쟁의 목적이다. 우주의 한 점에 지나지 않는 지구는 그러나 매우 크고 다양하다. 이런 세계에서 어떤 문제의 해결방법은 우리가 알고 있는 방법을 통해서만이 아니라 미래에도 놓여 있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함을 이 책은 일깨워준다.
우리가 알고 있는 그 방법, 즉 지금까지의 역사에서 그 효과를 인정받은 방법은 이미 과거이고 세상은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