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마다 리뷰를 썼으면 좋겠지만 시간도 없고 정신도 없어서 기록이나 남길 겸 여기다가 대충 적는데,
요즘은 어쩌자고 이렇게 생활이 까치둥우리처럼 정신사납고 어수선한 것인지!

하나 같이 버릴 데 없이 알찬 글들이 가득 실린 비평집이다.
생각의 깊이와 삶과 사회에 대한 성찰이 빼어나게 조화되어 있다.
저자의 사회적, 역사적인 안목으로 인해 이 책 속의 평론들은
일반적 문학비평에서 찾아보기 힘든 통찰을 보여준다.
인용의 출처가 생략된 글이 많다는 점이 유일한 아쉬움이었다.
이런 책 뒤엔 더 읽어볼만한 책 리스트라도 붙어 있었으면 싶었다.

주말마다 밥을 한 솥 가득 짓고 먹을거리를 잔뜩 만들어놓고,
이렇게 일하러 가지 않으면 엄마는 도로 공장으로 돌아가야 된다고
엄마 없이 집에 남을 아이들을 반 협박하고 반 을러서 다녔다는
소설가 공선옥의 기행집. 말지에 연재된 기행문들로 엮여져 있다.
눈만 호사스럽게 하는 외국 여행집이 아니라, 가난하고 텅 비고 나이 먹은
한국 농촌의 삶의 모습이 감상 없이 그러나 들꽃처럼 정직하고 아름답게 그려져 있다.
글과 함께 수록된 박여선, 노익상의 사진들도 깊은 인상을 남긴다.

뒷표지에 박힌 소설가 심상대의 적확한 비유대로,
그야말로 '가정식 백반' 같은 단편집.
이 책 단편 속의 주인공들은 대개 장년 혹은 노년층이며
농촌이나 지방 변두리 소도시에 거주한다.
젊은 독자들에겐 나이 먹은 이들의 삶을 엿보게 해주는 역활까지 톡톡히 해내는
한창훈이 풀어놓는 이야기들엔 담담하며 소박한 나름의 맛이 있다.
날씨가 각기 다른 변덕스런 여러 계절을 거치며 천천히 익어든 된장 맛 같다고나 할까.

<가족의 기원>을 읽고 무척 실망했던 나는
이 첫 창작집을 읽고 이 작가를 다시 보게 되었다.
이 작품집 하나만 두고 본다면 나는 거의 팬이 된 것이나 다름 없으니까.
문장도 그렇지만 각 단편이 한치의 틈도 없는 긴장된 짜임새를 자랑한다.
지치고 피로하며 동시에 분노와 적의에 가득 차 있는 주인공들의 심리묘사가
탁월하다.

역사가 강만길이 그 때 그 때 불거지는 "역사적 건망증"이나 그릇된 역사 이해에 대한
개입의 형식으로 신문이나 잡지에 쓴 단문들의 모음집이다.
구체적인 정치적, 사회적 이슈가 각 단문의 배경을 이루므로,
진지한 역사책이 부담스러운 독자들에게 특히 매력적인 책이다.
이 책에 반복되는 내용이 많다는 것은, 속시원히 해결되지 못하고
발목을 잡는 역사적 문제들이 한국 사회에 그 만큼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현대한국사, 통일, 바람직한 역사교육, 정부의 정통성 등 다양한 문제에 대한 저자의 의견이
설득력 있고, 읽기 쉬우며, 논리적으로 쓰여져 있다.

일본의 한반도 강점부터 김영삼 문민정권까지의 역사를 26강으로 구성한
강만길 교수의 강의책. 각 강의가 질문이나 주장 형식으로 주어져 있는 것이 독특하다.
이를테면 "일제의 병참기지화도 경제개발로 봐야할까요" (9강) 이나.
"7.4 남북공동성명은 큰 역사적 의미를 지닙니다"(22강)처럼.
책 뒷표지에 실린 강만길 교수의 저작 의도에 혹해서 집어든 책.
"역사를 공부하는 목적이 과거를 알아서 현재를 이해하고 미래를 전망하는 데 있다고 하지만 역사책에서는 미래에 대한 전망이 극히 제한적이게 마련입니다. 앞으로의 전망 같은 것을 충분히 할 수 있는 역사강의를 책으로 만들고 싶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