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변의 카프카 (상)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김춘미 옮김 / 문학사상사 / 2003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무라카미 하루키라는 이름은 우리에게 친숙해진지 오래다. 그의 초기작 <상실의 시대>는 거의 10년 동안 대형서점의 스테디셀러 목록에서 상위권에 머물고 있고 <바람의 노래를 들어라>, <세계의 끝과 하드보일드 원더랜드>, <스푸트니크의 연인>, <신의 아이들은 모두 춤춘다>등 그의 책을 모아놓은 판매대에는 사람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무라카미 하루키는 무라카미 류, 요시모토 바나나, 시마다 마사히코 등의 일본 작가들과 더불어 우리 나라에서 사랑 받는 일본 작가이다.

그의 에세이 혹은 단편에 매력을 느꼈던 독자에게는 <태엽 감는 새> 이후 처음으로 선 보이는 장편 소설 <해변의 카프카>가 무라카미 하루키의 새로운 모습을 볼 수 있는 작품이 될 것이다. 가볍지 않은 이야기를 담고 있지만 하루키 특유의 경쾌함이 살아있고 그의 상상력이 마음껏 펼쳐져 있다. 장편 소설이라는 이유만으로 부담을 느껴 선뜻 책의 첫 장을 넘기기 어렵다면 그런 걱정은 하지 않아도 좋다. <해변의 카프카>는 단순한 구성이라고 말할 수는 없지만 흥미진진한 이야기가 퍼즐처럼 전개되어 나간다. 처음에는 어떠한 그림인지 짐작하기 어렵지만 읽어 나가면서 조금씩 전체적인 이야기의 윤곽을 그리게 되고 색을 입히게 된다. 중간쯤 지나서는 전체적인 그림이 보이기 시작한다.

<해변의 카프카>는 우선 제목에서부터 시선을 사로잡는다. 카프카라는 이름에서 우리는 잠시 생각하게 된다. 하루키와 카프카는 어떤 화음을 이루어낼지 기대하게 되는 것이다. 더구나 ‘도서관의 카프카’나 ‘어두운 방의 카프카’가 아니라 ‘해변의 카프카’가 아닌가. 아니나 다를까 책을 조금 읽어보면 우리는 카프카를 만나게 된다. 이야기의 주인공인 15세 소년의 이름이 다름 아닌 ‘다무라 카프카’인 것이다. 책제목은 하루키와 카프카가 다정하게 손을 잡고 해변을 거니는 상상을 하게끔 한다. 그렇지만 아무래도 제목이 잘 이해가 가지 않을 독자들을 위해 하루키의 입을 빌어 살짝 그 의미를 전하면 다음과 같다. ‘부조리의 파도가 밀려오는 해변을 방황하고 있는 외톨이인 영혼. 아마 그것은 카프카라는 말이 의미하는 것이 아닐까.’

그의 단편과 에세이들이 가볍게 콧노래를 흥얼거리며 읽을 수 있는 것이라면 이번 장편은 클래식 음악을 틀어놓고 읽기에 어울린다고 할 수 있다. 음악을 사랑하는 작가인 하루키는 이번 장편에서도 어김없이 음악을 이야기하고 있다. 클래식과 어울린다고 하여 무겁기만 한 것은 아니다. 다만 무라카미 하루키는 ‘다무라 카프카’라는 15세 소년을 통해 우리에게 삶에 대한 통찰과 자신만의 철학을 이야기하고 있다. 하나의 장이 끝나고 새로운 장이 시작될 때마다 다음 이야기가 궁금해져서 빨리 책장을 넘기고 싶게 만드는 그는 장편의 구성상의 취약점을 거의 완벽하게 보완했다고 할 수 있다. 지루함과는 거리가 먼 장편 소설인 셈이다. 덕분에 독자는 두툼한 두 권 분량의 장편을 빠른 시간 안에 읽어낼 수 있다.

우리를 둘러싼 세계는 우리가 이해할 수 있는 일들만 일어나는 것은 아니다. 어떤 경우에는 받아들이고 싶지 않은 일들도 받아들여야만 하는 경우가 있다. 그런 상황에서 누군가는 정신적인 방황을 경험하기도 하고 또 누군가는 주저앉아 한참을 울기도 한다. 그런 까닭에 이야기의 주인공 ‘다무라 카프카’를 바라보며 우리는 깊이 공감하며 고개를 끄덕이고 어떤 대목에서는 눈시울을 붉힐지도 모른다. 그가 15세 소년이라는 것은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하루키는 이야기를 통해 인생에 대하여 이야기하고 있는 것이다. <해변의 카프카>는 하루키의 총체적인 철학을 담고 있다. 하루키는 돌고 도는 회전목마와 같은 우리의 인생을 이야기 하지만 우리는 결코 같은 곳을 다시 지나치지 않는다. 그것이 인생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