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의 기별
김훈 지음 / 생각의나무 / 2008년 11월
평점 :
절판


김훈의 소설을 학수고대하던 내게 에세이가 찾아왔다. 나는 이 에세이를 읽어야 할지, 말아야 할지 오랫동안 고심했다. 나는 그의 소설에 드러나는 그 어떤 ‘카리스마’를 원했다. 출판사의 홍보처럼 ‘속살’을 원하지는 않았다. 김훈의 기별을 그래서 외면했던 게다.

그럼에도 나는 기어이 이 책을 들고야 말았다. 그것은 어떤 계시 같은 것일까. 김훈이라는 이름에 어찌할 수 없었던 터다. 지난 밤 나는 읽기 시작했고, 새벽의 어느 시간, 추운 날에도 불구하고 창문을 열고 바깥을 살폈다. 우리 동네에 소방서가 어디에 있을까 하는 생각에, 김훈의 글을 곱씹으며 세상을 둘러보고 싶었던 게다.

결론부터 말하자. ‘바다의 기별’은 근래에 나온 한국작가들의 에세이 중에서 단연코 최고다. 문장이 훌륭해서 그런 건가. 에세이의 흥을 살리고 맛을 농염하게 만드는데 문장이 중요하기는 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저자와의 내밀한 만남을 만들어줘야 한다는 것이다. ‘바다의 기별’은 그렇다. 김훈, 그 남자의 살아온 길을 엿보게 하고 인간적인 면모를 느끼게 해준다. 정말 ‘속살’을 만지는 그런 기분이었다.

지금도 잊혀 지지 않는다. 행복에 대한 이야기를 하면서 딸이 사준 핸드폰을 이야기하는 그 모습, 소방관들에 대한 생각과 건투를 비는 모습, 아버지와 어머니에 대한 추억, ‘난중일기’를 읽었을 때의 감정과 자신이 쓰는 문장에 대한 고백… ‘바다의 기별’에는 이제껏 다른 책에서는 볼 수 없었던 그런 것이 있었다. 소름 끼칠 정도로 건조하면서도 아름다운, 김훈만의 언어로 풀어쓴 그런 이야기가 ‘바다의 기별’에 담겨 있었던 것이다.

‘바다의 기별’을 보면서 아쉬웠던 것은 단 하나다. 이 책에 끝이 있다는 것, 그것이다. 평생 멈추지 않고 읽고 싶었고 느끼고 싶었는데 그게 아쉬웠다. 그 외에는 없다. ‘바다의 기별’은 가히 ‘완벽’의 경지에 올라있다. 우리나라 작가가 쓴 에세이 중에 이런 건 본 적이 없는 것 같다. “최고!”라고 말하는데 두 번 고민할 필요가 없다. ‘바다의 기별’은, 정말 최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돼지꿈 - 오정희 우화소설
오정희 지음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8년 10월
평점 :
절판


오정희를 좋아하면서도 ‘우화소설’이라는 사실이 걸려서 모른척하고 있었다. 아무래도 오정희의 정통소설이 아닐 것 같다는 그런 느낌이었다.

 

사람들이 이 소설 좋다는 말을 하기 시작했다.
나는 보고 싶은 마음을 꾹 누른 채 있었다.

 

시간이 흐르고 흘러 마침내 나는 그 마음을 열기로 했다.

 

오정희. 정말 오정희의 소설이구나.

여자의 이야기, 여성의 내밀하고도 은밀한 이야기가 모여 있다. 그것들 하나하나 읽는 것이 이리도 달콤한지 모르겠다. 능숙한 장인의 손길이 느껴지기도 하고 새초롬한 아이의 투정 같은 것이 느껴지기도 하는데..

 

하여간 마음이 따뜻해지는 것이 온돌방에 들어와 마음을 따숩게 데운 느낌이다.

 

이 소설 좋다, 아주 좋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악의 유희 뫼비우스 서재
막심 샤탕 지음, 이세진 옮김 / 노블마인 / 2008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막심 샤탕의 소설은 재밌다. 이에 대해서 논쟁 같은 건 필요없을 것 같다. 이건 사실이다.

‘악의 유희’도 그럴 수 있는 소설이다. 하지만 뭔가 성급했다는 느낌이 든다. 또한 시기적으로 뒷북이라는 생각도 든다. 왜 그런가 하면, “그들은 당신의 모든 것을 알고 있다”라는 이 사실에 대한 책들이 너무 많이 나와서 그렇다. 인문책은 물론이고 소설도 많이 나왔다. 책 좀 보는 사람들은 이제 다 아는 그런 내용이다.

‘악의 유희’는 충분히 재밌을 수 있는 소설이었지만, 소개가 너무 늦었다. 아쉽다. 읽으면서 조금은 속상하기도 했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턴일기 - 초보의사의 서울대병원 생존기
홍순범 지음 / 글항아리 / 200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턴일기’라는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이 책은 의사의 이야기다. 레지던트 전 단계, 이제 막 의료생활을 시작하는 인턴의 생활을 기록한 책이다. 신영복 선생님의 추천 때문에 보게 됐다. 생판 다른 영역의 이야기지만 신영복 선생님의 추천 때문에 책을 열었다.

‘인턴일기’는 뭐라고 해야 할까. 뭔가 뜨거운 것들이 차오르는 그런 느낌을 주는 책이다. 조금씩 조금씩 차서 마침내 어느 온도에 도달하면 펑 하고 폭발하며 열기를 만들어내는 것 같은 그런 느낌을 준다. 의사들의 생활, 인턴의 에피소드들이 재밌는 것과 상관없이 이 책의 매력은 그것에 있는 것 같다.

마음속에 작은 파문이 인다.
열심히 살아가는 어느 남자의 모습을 보았기 때문에 그런 것 같다.

신영복 선생님의 말이 맞았다.
이런 삶을 살아야 한다.

새해를 맞이하며 새로이 마음을 다잡게 해준 책, 이 세상을 살아가는데 어설프지만 뭔가 해내고 싶은 이 땅의 ‘인생인턴’들이 보면 좋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건투를 빈다 - 딴지총수 김어준의 정면돌파 인생매뉴얼
김어준 지음, 현태준 그림 / 푸른숲 / 2008년 11월
평점 :
품절


이제까지의 선택이 누적된 것이, 바로 당신이다.

‘건투를 빈다’를 열심히 읽다가 고개를 들었다. 가슴 속에서 쨍하고 울리는 어느 감정 때문이었다. 정곡을 찔렸다. 그것을 알았다. 김어준이 정곡을 찔렀고 나는 무릎을 치고야 말았다. 딴지일보 총수 김어준, 변한 것이 없구나.

‘건투를 빈다’는 상담하는 내용이다. 사람들이 고민을 말하면 김어준이 그것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이야기해주는데 어랍쇼? 그저 그런 이야기가 나오는 것이 아닌가 생각했는데 김어준은 신랄하게 비판할 건 비판하고 가려운 곳을 긁을 때는 확실하게 긁어준다. 애매하게 말하는 것이 아니라 직설적으로 말한다.

남의 고민과 상담글 보는 게 뭐 중요하냐고? 그게 뭐 도움이 되냐고? 도움이 된다. 일단 사람들이 올리는 고민이라는 것이 내가 하는 고민과 크게 다르지 않다. 그러니 김어준이 그들에게 해주는 말은 나에게 하는 것 같다. 그렇기에 ‘건투를 빈다’를 보다보면 간접적으로나마 고민을 해결하는 기회를 마련할 수도 있다.

내 고민들. 친구들은 애매하게 이야기했다. 그래서 답답했다. 그런데 김어준이 멋지게 해결해줬다. 김어준 고마워요. 더 열심히 살아가고 싶어졌어요!

책이 사람을 바꾼다고 한다. 그 말을 믿기가 쉽지 않았는데 이제 좀 그 말을 믿을 수 있을 것 같다. 김어준이 책을 내서 다행이다. 변하지 않아서 다행이다. 그가 있어 정말 다행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