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읽기와 삶 읽기 2 - 탈식민지 시대 지식인의
조혜정 지음 / 또하나의문화 / 199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상을 잠식하고 있는 우리 안의 식민지성에 대해 성찰하고 있다. 자신이 선 자리에 대한 주체적인 인식이 결여된 채 자기 존재를 스스로 타자화시키는 지식인 문화에 문제를 제기하면서 일상적 삶이 경험되는 자리에서 이루어지는 지식 생산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거대 담론으로부터 배제된 주변성과 소수성에 대한 관심을 환기시킨다. 전편에 이어 저자가 왜 이런 유형의 글쓰기를 지속하는지도 알 수 있다. 이 또한 남성성, 중심성, 근대성의 형식을 전복하는, 아버지의 언어로부터 벗어나 자기 언어를 되찾으려는, 대안적인 글쓰기 실험인 것.

 

저자의 학문적 여정을 따라가며 제3세계 주변부 지식인이 안고 있는 고민과 문제의식에 동참하다 보면 새삼 나의 가난하고 미약한 그러나 유일한 글쓰기 공간인 이곳 알라딘 서재에서 나는 앞으로 어떤 글쓰기를 해나가는 게 좋을까 하는 물음도 가져보게 된다. 일상의 구체적인 경험에서 출발하는 소소한 자기성찰적 글쓰기도 좋지만, 솔직히 털어놓으면 한편으로 이곳에서만큼은 지리멸렬한 일상과 분리된 채 고결한 정체성을 구축해 나가고 싶은 허영심이 있기도 하다.

 

시시한 구체성만이 존재하는 현실 세계로부터 벗어나 어려운 책을 탐사하며 담장 너머를 기웃거리고 내 안의 관념성을 한껏 끌어올리고 싶은 욕심. 조금이라도 높이 날아올라보고 싶은 마음. 그것이 비록 얄팍한 지적 허영에 불과할지라도. 아마도 저자는 바로 그런 꿍꿍이야말로 ‘겉도는 말, 헛도는 삶’의 전형이라고 비난할 테지만, 그래도. 그래도? 그래도라니 역시 나는 이 책을 뼛속 깊숙한 곳까지 절절하게 읽지는 못한 것 같다. 어쩔 수 없지.  

 

여담인데, 일전에 읽은 세라 블레퍼 허디의 <어머니의 탄생>(사이언스북스, 2010)에 경제 능력을 갖춘 여성의 독립성을 보여주는 인류학적 사례로 물질하는 제주 여성에 대한 이야기가 등장해서 몹시 신기했던 적이 있다. 아니, 어떻게 이 여자는 제주 해녀들의 사정까지 알고 있담? 이 책을 읽고 나서 의문이 좀 풀렸다. 조혜정의 박사 학위 논문을 참고한 모양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양 2016-09-15 07: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런데 왜 이렇게 책표지가 권위적이고 엄숙하고 추상적이냐. 책의 내용을 배반하는 끔찍한 디자인이다. 저자의 표현을 다시 돌려주자면 이거야말로 `폰즈통에 김치를 담아 도시락 반찬을 싸가고, 화장실의 휴지가 식탁 위에 올라 있어도 아무도 이상하게 느끼지 않는`, `일관성 있는 스타일과는 무관한 절충주의와 혼돈의 상태`가 아닌가. 이 책이 재판 발행된다면 부디 유쾌발랄한 책표지이기를 바란다. 복고풍 서체에 팝아트 디자인이 괜찮겠다. 패션 못지 않게 철학도 스타일의 완성은 디테일에 있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