촘스키와 푸코, 인간의 본성을 말하다
아브람 노엄 촘스키.미셸 푸코 지음, 이종인 옮김 / 시대의창 / 2010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지식인이] 탐구해야 할 것은 새로운 진리의 정치학을 구성할 수 있는 가능성입니다. 중요한 것은 사람들의 의식(혹은 그들의 머릿속에 들어있는 것)이 아니라, 진리를 생산하는 정치적, 경제적, 제도적 체제입니다. / 중요한 것은 권력의 체계로부터 진리를 해방하는 것이 아니라(진리가 이미 권력이므로 해방 운운은 환상입니다), 진리의 권력을 각종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헤게모니 형태로부터 떼어내는 것입니다."

 

지식인의 역할에 대한 푸코의 이러한 언급을, 한편으로는 자아와 신체의 관계에도 똑같이 적용해 볼 수 있지 않을까. 그러니까 나의 과제는 '새로운 진리의 정치학을 구성할 수 있는 신체의 가능성'에 대해 모색하는 것이라고. 내 안의 욕망의 질서를 재배열하여 나의 신체를 매개로 한 권력의지의 새로운 작동 형태를 구상해 보는 것이라고. 그러나 그런 모든 가능성에 대한 구상은 구체적으로 어떻게 실체화될 수 있을까? '떼어내'고, '재배열'하여 존재 방식을 대대적으로 변형시키는 작업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가능할까?

 

"모순을 해결하려는 논리인 변증법이나 의사소통의 구조를 설명하는 기호학은 투쟁에 대한 본질적인 이해를 제공해주지 못합니다. ‘변증법’은 헤겔의 정반합을 내세워 투쟁의 개방적이고 위험한 현실을 회피하려는 방법이고, ‘기호학’은 투쟁의 폭력적, 유혈적, 치명적인 특성을 랑그와 파롤이라는 평온한 플라톤적 형태로 축소하는 방법입니다."

 

"제가 볼 때 이데올로기라는 개념은 다음 세 가지 이유 때문에 아주 조심스럽게 다루어야 합니다. 첫째, 좋든 싫든 그것은 진실이라고 간주되는 어떤 것에 대하여 늘 대립적 입장을 취합니다. (...) 둘째, 이데올로기라는 개념은 반드시 주체의 질서 속에 들어있는 어떤 것을 가리킵니다. 셋째, 이데올로기는 그것의 하부구조, 그 물질적이고 경제적인 결정 요소 같은 기능을 발휘하는 어떤 것과 대비해볼 때 2차적인 지위를 차지합니다."

 

이데올로기라는 것이 진실과 대립하는 허구의 의미를 갖는 측면이 있고, 주체의 질서 속에 들어있는 것으로(주체를 전제하는 개념으로) 파악되며, 유물론적 차원에서 관념으로서의 지위를 갖기 때문에, 푸코 자신이 말하는 권력 개념을 단순히 이데올로기로 환원할 수 없다는 뜻인 것 같다.

 

"제가 보기에, 17세기와 18세기 이래 도입된 권력의 새로운 테크놀로지에서 가장 현저한 측면은 이런 것입니다. (...) 봉건사회에서 권력은 기호signs와 징수levies에 의해 작동되었습니다. 봉건 영주에 대한 충성심, 의례, 예식 등이 그런 기호였고, 징세, 약탈, 사냥, 전쟁 등이 그런 징수였습니다. / 17세기와 18세기에 사회적 생산과 사회적 서비스를 통해 힘을 행사하는 권력 형태가 탄생했습니다. 그러니까 개인들의 구체적 생활 속에서 생산적 서비스를 얻어내는 것이 곧 권력이었습니다. 따라서 권력의 실제적이고 효율적인 ‘구체화’가 절실히 필요해졌습니다. 권력은 개인들의 신체, 행위, 태도, 일상적인 행동 방식 등에 접근할 수 있어야 했습니다. (...) 동시에 권력의 이 새로운 기술은 인구라는 현상과 씨름해야 했습니다. 간단히 말해서 모여든 사람들의 덩어리에 대한 단속, 통제, 지도 등을 관리해야 했습니다(자본이 집중하는 경제 제도와 인구 집중을 통제하는 권력 제도는 17세기부터 불가분의 현상이었습니다)."

 

"혼란을 조금이나마 줄이고자 다음 몇 가지 ‘명제’를 제시해볼까 합니다. (...) ‘진리’는 진술들(담론)의 생산, 규제, 분배, 유통, 작동을 원활하게 만드는 규칙적 절차의 체계로 이해되어야 한다. / ‘진리’는 그것을 생산하고 지탱하는 권력 체계와 순환 관계로 연결되어 있으며, 그것이 유도하고 그것을 확대하는 권력 효과와도 연계되어 있다. 이것을 가리켜 진리의 ‘체제regime'라고 한다." (이상은 모두 진리와 권력의 관계에 대한 푸코의 인터뷰 중에서 발췌한 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