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의식에 관하여 - 프로이트전집 13 프로이트 전집 13
프로이트 지음, 윤희기 옮김 / 열린책들 / 1997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우울이라는 감정의 정체가 무엇인지 캐고 싶었다. 감정을 분석적으로 들여다 보는 과정을 거치고 나면 나의 우울에 대해서 보다 담담해질 수 있지 않을까. 절실한 개인적 필요에 의해 읽은 책이다. 프로이트에 따르면, 우울증 환자들의 상실감이란 전적으로 자아와 관련된 상실감이다. 그리고 그들이 내뱉는, 자신을 비하하고 비난하는 말들은 사실상 다른 사람, 즉 그가 현재 사랑하고 있거나 사랑했던 사람, 사랑해야 한다고 생각했던 사람을 향한 비난의 목소리와 같다.

구체적인 메커니즘은 이렇다. 한 대상을 향해 리비도를 집중시키는 일이 한때 이루어졌다. 그런데 그에게서 냉대를 받거나 실망을 하게 되면 대상과의 관계가 깨지고 만다. 정상적인 결과라면 대상에게 집중되었던 리비도가 철회되어 새로운 대상에게 전위되는 것이 보통이겠지만 여타 조건 때문에 다른 식의 결과가 초래된다. 자유로운 리비도가 다른 대상을 찾는 대신 자아 속으로 들어가버리는 것. 나르시시즘적 성향이 강한 사람일수록 이렇게 되기 쉽다. 그러나 자아 속에서도 그 리비도는 어떤 특별한 방식으로 이용되는 것이 아니라, 오직 자아를 포기된 대상과 '동일시'하는 데만 기여할 뿐이다. 그 결과, 대상 상실은 자아 상실로 전환된다.

우울증 환자들이 괴로워 하면서도 즐기는 듯이 보이는 자기 고문은 사실상 위에서 언급한 '대상을 향한 가학증과 증오심 및 복수심'의 또 다른 표현일 뿐이다. 대상에 대한 원망이 자기 징벌이라는 우회로를 통해 원래의 대상에 대한 복수를 하는 것이고, 자신이 직접 그 대상에게 공개적으로 적대감을 표현하는 일을 피하기 위해 우울증이라는 질병을 매개로 사랑하는 사람을 고문하는 것이다. 실제로 그 환자의 정서적 장애를 불러일으킨 사람, 즉 환자의 질병 발발에 계기를 마련해 준 사람은 보통 환자의 가까운 주변에 있는 사람이다.

이런 맥락에서 보면, 우울증이 심한 사람이 자살하는 것은 어떤 면에서는 필연적인 단계일 수 있다. 대상을 자기와 동일시하고 자기를 대상화하여 대상에 대한 리비도를 자신에 대한 리비도로 바꾸는 것, 그래서 대상에 대한 원망 증오 복수심을 자기에게 풀어내는 이러한 우울증이 심해지면 대상으로 향해 발산되었던 그 모든 적개심이 자기 자신에게로 돌아오게 되어 자기가 자기를 죽여버리게 되는 것이다. 이 경우에 자아는 대상을 극복하지 못하고 철저히 압도당해 있는 셈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