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관에서 계획에 없던 책을 대출해 오는 경우가 있다. 내가 찾던 책이 꽂혀있던 칸에 새 책이 보일 때다. 나는 새 책의 빳빳한 질감을 좋아하기 때문에 장르가 나랑 너무 안맞는 책만 아니면 빌려오게 된다. 이 책은 그렇게 만났다.
작가는 NHK아나운서 출신으로 일본의 작가, 평론가, 수필가라고 한다. 출생년도를 보니 울엄마랑 동갑. 올해 팔순이시네. <사는게 뭐라고>를 이어 또다시 일본 할머니의 이야기를 듣게 되는 구나.
작가는 가족들과 별로 사이가 좋지 못했다. 권위적이지만 이중적인 모습을 보이는 아버지, 평생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자식에게만 집착하는 삶을 살았던 어머니와 일찌감치 아버지와 대립각을 세우고 집을 나가 할머니 댁에서 살았던 오빠가 그녀의 가족이다. 그녀 역시 가족과는 심정적으로도 거리를 두고 살았고 부모님은 일찍 돌아가셨다. 그런 저자가 점점 가족에게만 집착하는 일본의 현실을 보며 자신의 가족 이야기를 하면서 현대에 가족의 의미란 무엇인지 생각해보는 에세이 형식의 글이다.
그리 새삼스럽지 않고 너무 당연한 말들의 연속이다. 이미 이런 담론은 꽤 있어온 것 같아서 비밀독서단의 신기주작가가 한 이야기를 인용하여 표현하자면 이런게 ˝쌀로 밥짓는 이야기˝다. (쌀로 밥을 짓는다는데 뭐가 놀라운가? 모래가 밥이 된다면 몰라도 ㅎㅎ)
자식을 품에서 일찍 떠나보내야 한다, 교육이란 부모가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아이가 자신의 세계에서 갈고 닦으며 쟁취하는 것이다, 서로에게 기대하지 말고 자기 자신에게 마음껏 기대하라, 언제까지나 옛날의 가족개념이 이어질 수는 없다, 진정한 가족은 핏줄로 이어진 가족을 뛰어넘는 곳에 존재한다, 가족을 안다는 것은 결국 자기 자신을 안다는 것이다 등등.
살아오면서 가족에 대해 기대하는 바가 전혀 없었던 저자는 가족에 목숨을 거는 사람들에 대해 반감을 느끼면서 진정한 가족의 의미가 무엇인지 돌아보자고 하는데 틀린 말은 하나도 없지만 그렇게 새로운 담론도 아니라는 말. 그래서 끝까지 읽다보면 그리 길지도 않은 책임데 좀 지루하다.
한국의 수능 풍속을 이야기 하는 대목이 있어서 소개해보자면
# 이웃나라 한국에는 수능이라는 제도가 있다는데 수험생이 시험 시간에 늦을 것 같으면 경찰차가 출동한다고 하고, 합격하면 가족과 이웃, 친구들이 헹가레까지 친다고 한다. 상황이 이런데 과연 압박감을 느끼지 않는 학생이 있을까. 주위의 기대를 한 몸에 짊어지니 얼마나 부담스러울까. 마음의 평안을 제일로 쳐야 할 가족이 오히려 나서서 야단들이다. 입시에 무사히 성공해 곧장 엘리트 코스로 들어서기보다는, 한 번 두 번 실패를 겪어봐야 타인을 배려할 줄 알고 시련에도 굴하지 않는 어른으로 성장할 텐데 말이다. (46쪽)
부모의 과도한 기대, 가족의 압박이 개인에게 얼마나 스트레스가 되는지를 말하는 글에서 인용된 예이다. 물론 너무나 당연하고 맞는 말이다. 화목한 가정이라는 환상에 빠지지 말고 개개인의 인격을 세우라는 얘기. 그러면 꼭 핏줄로 이어진 가족에만 집착하지 않고 가까이 있는 이웃과 친구들까지 가족의 개념으로 묶을 수 있다. 가족의 문제가 발생하면 나를 돌아보라. 나를 알고 내 가족을 알면 불화가 생겨도 조율할 수 있고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각 가정마다 문제 없는 가정이 없고, 가정 폭력이나 아동 학대같은 가족에게서 야기 되는 문제가 많은 것도 사실이다. 누군가의 가족이란 이유가 그 사람의 삶을 족쇄처럼 묶어놓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그런 사람들에게 가족이라는 병이 그저 나를 돌아보고 화목한 가정이라는 환상을 깨라는 조언이나 한다면 곤란할 듯하다. 그 이상의 대안이 있어야 할텐데 이 책엔 그런 대안은 없어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