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지전 - The Front Line
영화
평점 :
상영종료


초등학교 다닐 때 반공방첩이란 국가 모토 아래서 6.25 기념 글짓기나 포스터를 과제로 제출해야했다. 어린 마음에는 그저 짜증스러웠을 뿐이다. 매년 되풀이되는 주제로 6년이나 포스터와 글짓기를 해야하니. 지도부가 물론 반전을 위해서라기 보다는 군인출신들이어서 명령에 복종하는 식의 교육과정이었다. 공산당은 무조건 무찔러야한다는 식의 세뇌교육이었다. 머리가 크고 현상을 양쪽에서 바라보게 되면서 빨갱이의 개념이 모호했고 서서히 그 말도 잊혀져갔다.

한국은 종전이 아니라 휴전중인 나라다. 하지만 휴전이 아니라 종전처럼 느껴질 때가 많다. 내가 태어나기도 전에 전쟁이 일어났고 휴전이 돼서 전쟁은 역사 속의 이야기처럼 들린다. 연평도 폭격이 있었을 때 프랑스에 있는 외국인 친구한테, 너랑 식구들은 괜찮니?하고 묻는 메일이 왔다. 외국인들이 볼 때 서울이나 연평도나 거기서 거기고 우리는 휴전중이니 사소한(?) 잡음도 전쟁재개처럼 여겨지는 모양이다. 그러나 정작 나는 연평도 폭격이 뉴욕 한복판에 폭탄이 떨어진 것처럼 아득하게 느껴졌다. 이는 폭격의 무서움이 추상적이기 때문이다. 어린 시절 전쟁의 무서움을 극도로 주입받았지만 무서움은 주입받는다고 해서 생기는 게 아니다.  

영화 속 두 인물의 시각차를 그린다. 후방에서 휴전 회담을 지켜보던 방첩대 출신 강은표와 50만명이 죽는 전쟁터에서 하루하루 살아남으려고 안간힘을 쓰는 김수혁은 전쟁을 바라보는 관점이 다르다. 강은표한테 전쟁은 추상적인 명령일 뿐이었다. 조금 전까지 함께 웃던 이가 피를 흘리며 죽어갈 수 있는 게 전쟁이란 걸 몰랐다. 무수한 죽음을 목도한 김수혁은 이념이나 명령이 아니라 전쟁터에 있는 한 적을 죽이는 것은 생존을 위한 것이었다. 언제 죽을 지 모르는 두려움과 마주한 이들은 휴전을 목 빠지게 기다리고 싸우기 싫다고 우는 군인들의 마음을 휴전 회담자들은 모른다. 휴전 회담자들한테 전쟁터의 피비린내와 죽음에 대한 두려움은 머나먼 추상일 뿐이다.   

전쟁 속에서 피어난 우정이나 휴머니즘을 그리는 전쟁 영화는 좀 비겁하다고 나는 생각한다. 휴머니즘에 감동 안 할 사람은 거의 없으니까. 이 영화는 휴머니즘을 필요한 만큼만 사용했고 많은 부분을 전쟁을 직접 겪는 이의 두려움에 할애했다. 전쟁은 절대 일어나서는 안 된다. 그 누구도 승자가 될 수 없고 전쟁이 일으키는 폭력은 희생자만 만든다. 인간이 아무리 적응을 잘 하는 동물군에 속한다 하더라도 전쟁은 적응하기에 바람직한 상황이 결코 될 수 없다. 전쟁이 종종 예술의 소재로 다뤄지는 이유도 전쟁의 폭력성을 알리기 위해서다. 폭력성을 조금이라도 이해하고 현명하게 행동하라는 일종의 지침이자 메시지다.  

힘겹게 휴전을 기다리다 마침내 휴전이 발표되고 효력이 발휘되기 열두 시간 전에 무참히 죽어간 이들을 보면서 우리는 휴전중이라는 사실이 마른 하늘에 치는 번개처럼 선명하게 다가왔다. 연평도 폭격사건을 뉴스에서 봤을 때보다도 백만배는 섬뜩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