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의 기쁨과 슬픔 - 장류진 소설집
장류진 지음 / 창비 / 201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만 보고도 확 끌렸다. 여성 직장인인 나는 단편 하나하나에 공감 또 공감. 비록 작가와 15년차 차이가 나서 약간의 세대차는 느껴질지라도, 여성과 직장인이라는 기본적인 토대가 같아서 매우 찐하게 읽힌다.

실제 판교에서 직장생활을 하고 있는 작가의 경험을 바탕으로 쓴 단편들이라고 한다. 그래서 다른 여성 작가들과 달리, 직장이라는 현장반영의 생동감이 있다. 지금은 어떤지 모르겠는데(직장다니며 소설쓰기가 물론 어렵...), 직장을 다니던 안다니던 이 독특함을 계속 유지하는 글을 써주었으면 하는 바램이 있다. 전작을 따라 읽고 싶은 젊은 작가가 또 생겼다.

* 예전엔 내가 별로라고 느낀 책들도 페북에 기록을 남기곤 했는데 요즘은 못그러겠다. 자기검열이 강해졌다.

*창비 소설책이 뭔가 모르게 후졌었는데, 이 책은 딱 좋다. 글자, 자간, 책 두께, 종이... 뭔가 좋다. 뭐가 달라진건지 확 드러나지 않는 미세함으로.

댓글(3)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9-11-19 02:27   URL
비밀 댓글입니다.

transient-guest 2019-11-20 08:4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기록을 한다는 의미라면 어떤 책이든지 읽고 남기는 편입니다. 자기검열을 굳이 하실 필요까지..ㅎ

보물선 2019-11-20 08:45   좋아요 0 | URL
그래서 여기엔 별로라는 평도 조금남겨요. 페북엔 제가 올리면 자꾸 따라보겠다는 분이 많아지셔서ㅎㅎㅎ (북마케터가 되고 있어요^^)
 
마르타의 일
박서련 지음 / 한겨레출판 / 2019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마르타와 마리아의 차용이 억지스럽고, 임리아라는 이름은 유치하다. SNS와 자살이라는 화두는 흥미로왔으나, 전개는 상투적이었다. 강주룡 때문에 기대가 컸는데 아쉬움도 크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팝콘 먹는 페미니즘 - 스크린 속 여성 캐릭터 다시 읽기
윤정선 지음 / 들녘 / 201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 윤정선님을 페북에서 알게 되어서만이 아니고, 페미니즘과 영화는 나의 관심사이기 때문에 예전부터 읽고 싶었던 책이다.

봤던 기억이 있는 영화편부터 읽다가, 그나마 최근에 본 <내사랑>편을 읽었다. 기억이 가물가물해 내친김에 넷플릭스에 있던 영화를 한 번 더 봤다.
사실 영화관에서 혼자 처음 볼때도 모드가 그림 그리기 전까지는 불안불안 했다. 장애인 여성을 저 남자가 죽이거나 성폭력을 하지 않을까... 저 여자 세상 무서운 줄 모르고 입주 가정부에 같은 침대에서 자네... 설마 제목이 <내사랑>이니 그러진 않겠지...

사실 영화 마지막 즈음이 되어서야 남자사람 좀 변했네 하면서도, 돈때문인가 의심의 마음이 가득했었다. 도무지 예술이, 여성이, 사랑이 변화를 주고 있구나라는 생각이 들지 않았다. 책의 텍스트를 읽고 다시 본 두번째도 남성의 모진 표현과 잠자리를 어떻게 참아내고 있는지 속상하기만 했다. 물론 모드에게는 그림이라는 자신만의 행복한 세계가 있다는게 위로가 되었으나, 저 남자 변해서 다행이지 죽을때까지 모르는 남자 수두룩빽빽 할 것만 같다.

암튼 영화를 보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해 주는 이 가볍디 가벼운 <페미니즘> 책은, 매우 의뭉하다. 모양새는 가볍지만 정확하고 쉽게 페미니즘을 접하게 한다. 무서운 여자들이 과격하게 잘났다고 주장하는 나쁜 사상이 아니고, ‘인간존중, 존재자체, 사람답게 사는 세상을 만들어가는 힘을 주는 가치‘가 페미니즘이라고.

* 그나저나 에단 호크는 어쩜저리 변했노. 완벽한 연기때문이라 믿으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문 뒤에서 울고 있는 나에게 아주 보통의 글쓰기 1
김미희 지음 / 글항아리 / 201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김미희 씨가 강창래 선생의 <오늘은 좀 매울지도 몰라>의 삽화가라서 알게 되었다. 페이스북 친구가 되고 보니, 그녀도 남편을 신장암으로 먼저 보내고 아들을 홀로 키우고 있었다. 올리는 글들이 굉장히 차분하고 솔직해서 빠짐없이 읽게 되는 친구이다.

그녀의 글이 책으로 묶여 나왔다. 힘든 육아의 시기와 남편의 투병시기가 겹쳐있었다. 갓난쟁이 키울 땐 같이 사는 누군가의 한 손이 매우 절실한데, 남편이 아프면 얼마나 막막하고 힘들었을까 싶었다. 본인의 어린 시절, 결혼 생활, 남편의 마지막을 담담하게 풀어내는데 읽는 나도 울컥울컥.

그런데 미희씨, 아들이랑 살아서 그런지 엄마답다. 긍정적이다. 꿈을 꾸고 꿈대로 살아나가고 있다. 덜컥(!) 생긴 아들이 없었으면 혼자 남아 못이겨냈을 것 같다. 자식이 살게 하는 힘이다.

아주 오래전에 읽었었던 김소진 작가의 아내 함정임의 <행복>(1998)이라는 글이 생각났다. 김미희씨랑 비슷한 케이스였다. 그녀가 얼마나 김소진을 사랑했는지 눈물나게 쓴 글이었다. 오래도록 그를 품고 살았다. 세월이 흐른 후 그녀는 새로운 가족을 이루어 잘 지내고 있다. 그럴 수 있다. 무척 조심스러운 말이지만, 그것도 떠나간 그를 사랑하는 방법일 수 있다. 자신에게 주어지는 ‘행복‘을 거부하거나 도망가지 말고 적극적으로 살아내기를... 당신은 충분히 사랑스러운 사람이므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빛의 과거
은희경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1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70년대 여대생이 설사 이렇게 살았다 하더라도, 이렇게 묘사되는건 별로다. 슬프다.
남자의 등장으로 꼬이는 인생과 세월이라니...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9-10-23 19:18   URL
비밀 댓글입니다.

보물선 2019-10-23 19:22   좋아요 1 | URL
친구 두 명이 좋다해서 넘 기대했나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