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 III. Rationality

 

3. 합리성

 

The final section of the book is on the ‘rationality of morality’ in relation to virtue ethics, the question of whether there is any ‘objective’ criterion for a certain character trait’s being a virtue. The standard neo-Aristotelian premise that ‘A virtue is a character trait a human being needs for eudaimonia, to flourish or live well’ should be regarded as encapsulating two interrelated claims, namely, that the virtue benefit their possessor, and that the virtues make their possessor good qua human being (human beings need the virtues in order to live a characteristically good human life). These are separately discussed in the first three chapters of this part, and eventually brought together at the end of final one.

 

책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윤리학과의 관련하에  도덕의 합리성’ , 특정한 성격의 사람이 덕을 지니기 위해 필요한 객관적인기준이 있는지의 여부를 살핀다. 신아리스토텔레스주의의 도덕규범의 전제는 덕은 인간이 행복을 위해서 eudaimonia, 영화롭고, 살아가기 위해서 갖출 필요가 있는 인격적 특성이며, 이는 개의 상호연관된 주장이 응축된 것으로 봐야 한다. 그것들은 덕은 덕을 가진 사람을 이롭게 한다는 것과, 덕은 덕의 주인을 인간 으로서  훌륭하게 준다는 (인간은 특히 인간다운 훌륭한 삶을 살기 위해 덕이 필요하다) 것이다.  이런 내용들이 2부의 처음 장에 걸쳐 개별적으로 논의되다가 최종적으로 마지막 장의 끝부분에서 하나로 수렴될 것이다. 

 

In these chapters I express disagreement with two main schools of thought. I assume, rather than argue for, the view that it is a mistake to suppose that ethics can be given any sort of foundation ‘from the neutral point of view’.  I assume that ethical thought has to take place within an acquired ethical outlook. However, despite disagreeing with those who seek to provide such a foundation, I do not take up the other familiar position which locates all fundamental ethical disagreements in disagreements about values, which I also deny. Ethical disagreements can be seen to lie in disagreements about facts, albeit, frequently, rather odd facts.

 

여기서 나는 학파에 대한 이견을 피력한다. 나는 윤리가 가치중립적 관점에서나와서 주어진 토대일 있다고 가정하는 것은 잘못이라는 견해를 찬성한다기 보다 당연한 사실로 받아들인다. 윤리적 사고는 후천적으로 얻은 윤리관에서 생긴다는 것이 생각이다.  그렇기는하나, 그런 토대를 제시하려는 이들과 다른 생각이라고 해서, 나로서는 또한 부정하는 나머지의 알려진 견해, 모든 근본적인 윤리적인 의견 차이는 가치를 보는 차이에 있다는 생각을 취하지는 않는다.  윤리문제에 대한 이견들은, 비록 사실은 커녕 상식밖의 일인 경우가 종종 있기는 하지만, 사실을 보는 견해의 차이에 있다고 생각한다.

 

 

Chapter 8. The Virtues Benefit their Possessor. Some familiar objections to the very idea that the virtues on the standard list benefit their possessor can quickly be cleared away. We may also note that, when we consider the claim in the context of brining up our own children or reflection on our own lives, rather than in the context of trying to convince the wicked or the moral sceptic, we believe it. According to Phillips and McDowell, we believe it in so far as we are virtuous, because we have special conceptions of eudaimonia, benefit, harm, and loss, which guarantee its truth. Hence any appeal to the sort of facts that Hare and Foot give in support of the claim are irrelevant. I agree with them that there is no discerning the truth of ‘the virtues benefit their possessor’ from a neutral or wicked standpoint, but not with their explanation. The sorts of facts that Hare and Foot give form essential support for the clam, and are essential to our inculcating virtue in our children. However, they are odd facts, which philosophy has, as yet, no easy way to classify.

 

8. 덕은 덕을 지닌 사람을 이롭게 한다. 덕의 기준에 이름이 오른 덕들은 소유자들을 이롭게 한다는 견해를 치고 들어오는 낯설지 않은 개의 반론들은 단시간에 쫓아버릴 있다. 어쩌면 우리는 덕을 얻으면 내가 좋아진다는 생각을 못된 사람들이나 도덕적 회의주의자들에게 납득시키려고 때보다, 아이들을 기르거나 우리 자신의 삶을 되돌아 보게 맞다고 믿게 된다고 깨달을지 모른다. 필립스Phillips 맥도웰 McDowell 따르자면, 우리는 우리가 덕있는 사람들인 이렇게 믿는다. 왜냐하면 우리에겐 믿음의 사실을 보장하는 행복 eudaimonia, 이로움, 해로움 그리고 상실이라는, 믿음이 참임을 보장하는 특별한 개념들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헤어 Hare Foot 주장을 지지하며 제시한 사실들에 대해 어떠한 항의도 무의미하다. 나는 그들이 덕은 덕을 얻은 사람을 이롭게 한다 사실의 진위를 가치중립적이거나 도덕적으로 사악한 관점에서 분별해 길이 없다고 점은 동의하지만, 그들이 밝힌 설명에 대해서는 아니다. 헤어 Hare Foot 말한 부류의 사실들은 본질적으로 찬성의 외관을 띠고 있고, 아이들에게 덕을 높이게 하는데 없어서는 안될 것들이다. 그러나, 그것들은 아직 철학이 마땅히 분류할 길을 찾지 못한, 상식적으로 선뜻 받아들여지지 않는 사실들이다   

 

 

 

 

Chapter 9. Naturalism. There is another way of interpreting the premise that the virtues are those character traits a human being needs for eudaimonia, to flourish or live well, which has it expressing a form of naturalism. We interpret it as saying that the virtues are those character traits that make a human being a good human being—are those traits that human beings need to live well as human beings, to live a good, characteristically human, life. Ethical evaluations of human beings as good or bad are taken to be analogous to evaluations of other living things as good or bad specimens of their kind. The analogy is instructive, because it reveals that several features of ethical evaluation thought to be peculiar to it, and inimical to its objectivity, are present in the quasi-scientific evaluation even of plans.

 

9. 자연주의.  덕은 인간이 행복eudaimonia 위해서, 영화롭고, 살아가기 위해서 갖출 필요가 있는 인격적 특성이라는 전제를 해석하는 또하나의 방식은 자연주의의 형태를 띤다. 우리는 그것을 이렇게 말한다. 덕이란 인간을 좋은 인간이게 하는 인격의 특성이다인간이 인간이라는 존재로서 살아가기 위해, 인간다운 좋은 삶을 살기 위해 필요한 인격의 특성이다. 인간에 대해 좋다 나쁘다를 따지는 윤리적 평가는 다른 생물들을 그들의 종류를 놓고 좋다 나쁘다고 하는 것과 유사하게 보인다.  유비는 자기에게 고유하고 외부의 객관적 실재에는 해로운 가지 특징들이 심지어 식물에 대한 유사-과학적 평가에서도 나타난다는 것을 보여주기 때문에 교훈적이다.

   

 

Chapter 10. Naturalism for Rational Anmals. However, the analogy can only be pushed so far. Ethics is not a branch of biology. Other living things have characteristic ways of going on that they cannot choose to change, against the background of which they can be evaluated as good or bad specimens. But in so far as we have characteristic ways of going on, we can intelligibly ask ‘Is that a good way to go on?’ of almost any of them and look for ways of changing it if we think the answer is ‘No’. Hence it can be rightly claimed that ethical naturalism, construed as the attempt to ground ethical evaluation in a scientific account of human nature, is a misconceived enterprise. But that is a far cry from claiming that no account of human nature can be objectively well-founded and moving straight to the idea that any conception of it is as good as any other.

 

10. 이성적 동물을 대상으로 자연주의. 그러나, 유비는 거기까지만 나갈 있다. 윤리학은 생물학의 분과가 아니다. 다른 생물들은 표본으로서 좋거나 나쁘다는 평가가 내려지는 환경에 맞서 변화를 선택할 없다는 점에서 그것만의 진행방식이 있다. 그러나 우리에게 살아가는 우리만의 방식이 있는한, 우리는 지적인 의문을 던질 있다. 다른 거의 모든 것들 중에서, ‘ 저것은 계속 가도 좋은 길인가?’ 그리고 만일 우리가 생각하기에 대답이 아니라고 내려진다면, 우리는 변화를 모색할 있다. 따라서 윤리적 평가의 근거를 인간본성에 대한 과학적인 설명에 두려는 시도라고 해석되는 자연주의 윤리론은 오인에서 비롯된 이론적 시도라는 주장을 정당하게 주장해 있다. 그러나 그것은 인간본성에 대한 어떠한 해석도 객관성있게 확립될 없다고 주장하면서 곧장 그에 대한 어떤 개념도 다른 것만큼 도움이 된다는 생각에 이르게 되는 것하고는 차이가 있다.  

 

Chapter 11. Objectivity. The two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the premise that ‘a virtue is a character trait a human being needs for eudaimonia’ can ultimately be seen as interrelated, for both rely on the idea that our nature is such that the virtues, as we know them, suit human beings. This fact, if it is a fact, is a highly contingent one. It is a contingent fact that we can, individually, flourish or achieve eudainomia, contingent that we can do so in the same way as each other, and contingent that we can do so all together, not at each other’s expense. If things had been otherwise then, according to the version of virtue ethics presented here, morality would not exist, or would be unimaginably different.      

 

11. 객관성. ‘덕은 인간이 행복eudaimonia 위해서 필요한 인격적 특성이라는 전제에 대한 상이한 해석은 궁극적으로는 서로 연관되어 있다고 있다. 왜냐하면 인간의 본성은 인간에게 덕이 어울리게 되는 그런 것이라는 생각에 근거하고 있기 때문이다. 만일 그것이 사실이라면, 사실은 매우 불확실한 사실이다. 우리가 개인적으로 영화롭게 되거나 혹은 행복 eudaimoniam 누릴 있는지는 모르는 일이다. 우리가 서로 같은 길로 그렇게 있을지, 그리고 우리가 모두 같이 서로를 희생키시지 않고서 그럴 있는지, 경험하지 않고서는 확실하지 않은 일이다. 여기서 소개된 윤리학의 설명에 따른다면, 그때 모든 일이 다르게 되었었다면, 도덕은 존재하지 않거나 지금과는 상상할 없을 정도로 달랐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Part III. Rationality

 

The final section of the book is on the ‘rationality of morality’ in relation to virtue ethics, the question of whether there is any ‘objective’ criterion for a certain character trait’s being a virtue. The standard neo-Aristotelian premise that ‘A virtue is a character trait a human being needs for eudaimonia, to flourish or live well’ should be regarded as encapsulating two interrelated claims, namely, that the virtue benefit their possessor, and that the virtues make their possessor good qua human being (human beings need the virtues in order to live a characteristically good human life). These are separately discussed in the first three chapters of this part, and eventually brought together at the end of final one.

 

In these chapters express disagreement with two main schools of thought. I assume, rather than argue for, the view that it is a mistake to suppose that ethics can be given any sort of foundation ‘from the neutral point of view’.  I assume that ethical thought has to take place within an acquired ethical outlook. However, despite disagreeing with those who seek to provide such a foundation, I do not take up the other familiar position which locates all fundamental ethical disagreements in disagreements about values, which I also deny. Ethical disagreements can be seen to lie in disagreements about facts, albeit, frequently, rather odd facts.

 

Chapter 8. The Virtues Benefit their Possessor. Some familiar objections to the very idea that the virtues on the standard list benefit their possessor can quickly be cleared away. We may also note that, when we consider the claim in the context of brining up our own children or reflection on our own lives, rather than in the context of trying to convince the wicked or the moral sceptic, we believe it. According to Phillips and McDowell, we believe it in so far as we are virtuous, because we have special conception of eudaimonia, benefit, harm, and loss, which guarantee its truth. Hence any appeal to the sort of facts that Hare and Foot give in support of the claim are irrelevant. I agree with them that there is no discerning the truth of ‘the virtues benefit their possessor’ from a neutral or wicked standpoint, but not with their explanation. The sorts of facts that Hare and Foot give form essential support for the clam, and are essential to our inculcating virtue in our children. However, they are odd facts, which philosophy has, as yet, no easy way to classify.

 

Chapter 9. Naturalism. There is another way of interpreting the premise that the virtues are those character traits a human being needs for eudaimonia, to flourish or live well, which has it expressing a form of naturalism. We interpret it as saying that the virtues are those character traits that human beings need to live well as human beings, to live a good, characteristically human, life. Ethical evaluations of human beings as good or bad are taken to be analogous to evaluations of other living things as good or bad specimens of their kind. The analogy is instructive, because it reveals that several features of ethical evaluation thought to be peculiar to it, and inimical to its objectivity, are present in the quasi-scientific evaluation even of plans.

 

Chapter 10. Naturalism for Rational Anmals. However, the analogy can only be pushed so far. Ethics is not a branch of biology. Other living things have characteristic ways of going on that they cannot choose to change, against the background of which they can be evaluated as good or bad specimens. But in so far as we have characteristic ways of going on, we can intelligibly ask ‘Is that a good way to go on?’ of almost any of them and look for ways of claimed that ethical naturalism, construed as the attempt to ground ethical evaluation in a scientific account of human nature, is a misconceived enterprise. But that is a far cry from claiming that no account of human nature can be objectively well-founded and moving straight to the idea that any conception of it is as good as any other.

 

Chapter 11. Objectivity. The two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the premise that ‘a virtue is a character trait a human being needs for eudaimonia’ can ultimately be seen as interrelated, for both rely on the idea that our nature is such that the virtues, as we know them, suit human beings. This fact, if it is a fact, is a highly contingent one. It is a contingent fact that we can, individually, flourish or achieve eudainomia, contingent that we can do so in the same way as each other, and contingent that we can do so all together, not at each other’s expense. If things had been otherwise then, according to the version of virtue ethics presented here, morality would not exist, or would be unimaginably different.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본문에 딜레마란 말이 나왔다. 그 중에서도 특히, 어떤 식으로건 삶의 오명을 씻기 힘든 딜레마라는 말. 그 말에서 다시금 이전에 본문 옮길 때 했던 잠깐씩의 생각들이 들었다. 솔직하다는 것과 정직함의 덕이 있다는 것의 차이라던가, 정직함과 용기의 관계라던가, 내가 처한 지위의 책임이나 소임의 다하기 위해 행동하는 것과, 스스로 그것이 옳다고 믿어서 행동하는 것의 차이와 연관을 생각하다 보니 요즈음의 내 안팎의 일들이 겹쳐지고 어쩐지 마음의 두 가닥으로 나뉘어 가라앉는 것 같았다.

 

 

하나는, 나도 모르게, 어릴 때 그러니까 딜레마라는 말을 전혀 모를 때 딜레마의 그 느낌을 준 기억이 뭐였더라..하게 됐다. 퍼뜩 떠올랐던 것이 우산 장수와 신발 장수 아들을 둔 할머니동화였다. 하지만 본문 옮기기도 바빴던 날이라 맞는 그림을 찾지 못했고, 그맘때 신발 나오는 동화로 기억에 남은 구둣방 할아버지와 구두 만들어주던 요정들그림을 찾았다. 노래는 나머지 생각에서. 위에 적은 그 요즈음의 내 안팎의 일들이 떠올리게 하는 글들이 있었다. 그러다  wishbone ash 의 노래 한 곡이 생각났다. 귀에는 익지만 무척 오랜만에 들어보는 그들의 다른 곡으로 찾아 올렸다. http://www.aladin.co.kr/blog/mypaper/782028

 

 

--

 

1.       옮기면서 내용 하나하나가 흥미로웠고, 하지만 그 한 부분마다 이해가 안 가서 시간이 좀 많이 걸렸다. 내가 옮긴 말들의 근거를 밝히는 것이라기보다는 어디를 잘 모르겠더라, 이런 걸 좀 더 잘 이해했음 했다는 기록이 될 것 같다. 앞의 내용들과 달리 책 전반을 압축해서 요약하는 글이라 문맥에서 얻을 수 있는 힌트 같은 것이 없어서 그랬다고 생각한다.  

 

 

2.       Chapter 3. Irresolvable and Tragic Dilemmas. In particular a normative ethics should not aim to provide a decision procedure which resolves every dilemma in advance of deciding whether or not there are any irresolvable dilemmas. 여기서는 왜 a any 가 아니라 every 였을까? 하는 점이 좀 불분명했다. 도덕 철학이나 윤리학 이론에서 말하는 절대기준적인 결정과정이 있다고 한다면 고민할 것이 없겠는데 아는 바가 없다 보니 혹시 every 에 어떤 부정적인 의미가 (마치 모든 걸 해결해 줄 것 처럼 판단과정을 내놓지 말아라의 의미가 되는) 있는 것은 아닌가 싶어서 몇 번 확인을 했다. Decision 에 대해서 지난 번에 의사결정  으로 받았었는데 내 전공분야에서는 암묵적으로 그렇게 쓰고 있어서 그대로 썼고, 하지만 지금의 맥락에서는 행동을 전제로 한 판단/결심/결정 이라서 의사결정이란 말이 그리 좋아보이지 않았다.

 

 

3.       If there are any, then action guidance, in such cases, is not possible. However, action assessment is still not only possible, but needed-and virtue ethics can provide a particularly satisfying account of the differences between unworrying, distressing, and genuinely tragic dilemmas, the latter being those from which even the most virtuous agent cannot emerge with her life unmarried. Action guidance 를 지난 번에는 행위규범으로 했는데, 행위의 기준이나 행위지침 정도로 의미를 낮춰서 쓰는 편이 나은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이런 것들은 언어능력의 문제가 아니라 텍스트에 얼마나 익숙하고 아는지에 따라 다르리라는 생각에 속편히 넘어갔다. 물론 웹검색을 했는데, (나는 주로 애매한 말이 나오면 그 말+철학(윤리학/아리스토텔레스) 를 열쇳말로 확인한다. 대학에서 올린 웹페이지, 학술문서를 공개한 웹페이지에 나온 용례를 제일 적극적으로 따온다.) 행위규범과 행동지침 모두 있었다. the most virtous 의 경우 (다시 언급되겠지만) '덕이 가장 많은' '가장 덕이 높은' 이라고 해야할지 아니면 '가장 완성된 덕을 지닌' 이라고 해야 할지가 좀 애매했다. 이것은 작은 문제가 아닐 것 같아서 우선 하나로 옮겨 두고 나중에 혹시 참고할 수 있는지 웹검색을 해 볼까 싶다.  

 

4.       Chapter 4. Aristotle and Kant. The decision of dilemmas brought in mention of the emotions the virtuous would feel on certain occasions, in particular, regret and even extreme grief as reactions to what ‘had to be done’ . 행위자에 초점을 두고 어떤 일이 되었어야-> 무엇을 했어야 로 했다.

 

5.       Virtue ethics is often praised, especially at the expense of Kant’s deontology, for giving a better account of the moral significance of the emotions than the other ethical approaches, and, in particular, for giving a more attractive account than Kant of ‘moral motivation’. 여기서 moral significance 는 도덕적 의미도 되고 도덕적 중요성도 될 것 같다. 사실 중요성이나 의미에 근본적인 차이는 없다고 보지만 뭘 골라야 할지 망설였다. 직감적으로 여기서는 중요성 보다는 아리스토텔레스는 다른 철학자들과 달리 감정은 중요하다고 본 그 자체가 메시지인 것 같아서 의미로 했다. Attractive 는 나올 때마다 참 난감해서 그대로 매력적인이라고 했다가 여러 말들 사이에서 왔다갔다 하다 역시 전처럼 설득력/호소력으로 결정했다.

 

6.       However, a careful consideration of Aristotle’s enkrateia/arete distinction (the distinction between strength of will or ‘continence’ and full virtue) and the famous passage in Kant’s Groundwork in which he discuss moral worth, reveals that, in many ways, Aristotle and Kant are much closer than is usually supposed. Insofar as Aristotle has a notion of ‘motivation’, the continent and the fully virtuous agent have the same motivation-they both act from reason (logos) in the form of ‘choice’ (prohairesis). 어찌보면 제일 기본적인 의문이었던 말이 ethics 였다. 이 말은 윤리도 되고 윤리학도 되니까. 난 지금까지는 이 책이 대학교재를 염두에 두고, 또 동료 학자들과 어느 정도 저자의 관점을 나눌만큼 도덕철학에 관심이 있는 사람을 독자로 한 책이라는 점에서 윤리가 아니라 윤리학(이론) 이라고 전제하고 옮겼고 어느덧 그 말에 익숙해졌는데 본문 어딘가에서 윤리학이 아니라 일반적 의미의 윤리라고 해야 될 것 같은 부분을 봤다. 순간 이제까지 자리에 맞게 잘 옮겼는지 알 수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Reason 도 마찬가지로, 나는 불가산명사 이성으로 대체로 옮겨왔는데, 아래 행동의 이유/근거 reason 을 보니 혹시 가산명사로 쓰이는 근거이유를 무작정 이성으로 옮겨온 건 아닐까 싶은 걱정이 좀 들었다. In the form of 도 마음에 딱 드는 우리말 번역구가 잘 잡히지 않아서 직역했는데, 이성을 따라 행동하면 선택의 양상을 띤다는 말이 무슨 말인지 정확히 알 수 없었다.

 

7.       Full virtue 을 추가하면, 완전한 덕이라고 할 경우, 불완전함-완전함의 연속체 또는 정도의 문제로 덕을 보게 되므로 혹 저자의 의도를 왜곡하지 않을까 주의를 기울여야 했다. Full virtue 는 우리말 문서에서 검색되지 않았고 달리 생각나는 말이 없어서 그대로 받았다. 그것 말고도 virtuous 혹은 virtuously 란 말도 따지고보면 지금까지 문맥에 맞다고 생각하고 다양하게 옮겨 왔는데 이 말을 구체적으로 혹은 통일되게 옮길 수는 없는지 알고 싶었다. 웹문서를 보면 유덕한’ ‘덕스러운/덕있는’ ‘덕을 가진등이 모두 있었다. 유덕한을 쓰면 덕의 있고 없음을 강조하는 말이라서 full virtue fully virtuously 같은 말에는 적합하지 않아 보였다.

 

8.       Chapter 5. Virtue and the Emotions. Where Aristotle is arguably superior is in his account of human rationality, an account that allows the emotions to participate in reason, rather than being mere animal, non-rational, impulses, and thereby play their proper role in the specification of full virtue. The virtues are concerned with actions and feelings, and the moral education needed to develop them involves the education of the emotions. The full significance of this fact can be fruitfully illustrated through an example of moral diseducation, namely, the inculcation of racism. Arguably 란 말을 말 그대로 논쟁의 여지는 있으나 라고 했다가 아마도의 의미로 바꿨다. 이때의 아마도는 논쟁의 여지가 없지 않다는 점에서 확신을 줄 수는 없지만의 뜻인 것 같고, 그렇다면 이렇게 쓴다는 것 자체로 의역일 수 있다 싶었다.

 

9.       Chapter 6. The Virtuous Agent’s Reasons for Action. We noted in Chapter 4 that the fully virtuous act from reason, in the form of ‘choice’. Do they, thereby, act ‘out of a sense of duty’ or ‘because they think it’s right?’ When we consider careful what is involved in the attribution of such a reason, we can see that the answer is ‘Yes’ (thus brining Kant and Aristotle even closer together).

 

10.    옮기기는 했지만 밑줄친 부분에서 한 삼사십분은 썼나보다. 이 둘의 차이가 정확히 뭘 뜻하는 걸까를 좀 알고 싶어서. 그런 생각이 내가 이 일을 그저 번역연습으로 그치지 않게 할 길인 것 같았고, 그렇지만 그런 줄 알겠다는 생각만큼은 아니었다. 막연히 했던 생각은 의무감에서 한다는 것은 감정이 배제된 혹은 자유의지가 배제된 어떤 법칙처럼 (그래서 행위자인 나는 과장한다면-기계처럼) 따른다는 것이고 내 생각에 그게 옳아서 한다는 것은 자발적으로 감정생각판단이 모두 그것이 옳다고 나를 추동해서 한다는 것이고 정도가 그 차이가 아닐까 생각했다. 그 점에서 두 번째로 밑줄 친 부분이 어려웠는데 결론적으로 둘 다 맞으면 각각을 주장한 칸트와 아리스토텔레스가 크게 다르지 않은 주장을 하게 되는 셈인 줄은 알겠는데, 그 가운데에 놓인 것이 바로 저 부분이라서, 나는 왜 그걸 숙고해보면 즉 그런 행동의 이유로 사람들이 돌리는 것들에 무엇이 있는지를 따져보면둘이 비슷하게 되는지를 알 수 없었다

 

 

 

11.    The virtuous, when acting virtuously, act for a great variety of different reasons. These form certain ranges, characteristic of particular virtues such as honesty, friendship, justice, courage, temperance, etc. When children and people who are in a transitory emotional state act for such reasons, they do not count as ‘acting out of a sense of duty’, but when the virtuous, who act from a settled state of character, act for such reasons, they do. Acting from virtue is sufficient for acting from duty.

 

  1. Justice. 이 말도 나올 때마다 고민하게 한다. 전에 적었는지 기억이 나지 않아서 기록을 남긴다면, 박종현 교수가 번역한 플라톤의 국가편을 보면 justice 를 정의가 아니라 올바름으로 옮겼다. 그때 책을 읽으면서 그럴 수 있겠다했다가 하지만 그 말을 올바름으로 옮기면 플라톤의 맥락에서는 맞을지 몰라도 다른 데선 아니겠다 했고 그랬다. 문득 생각이 여기서 다시 났다. 어떡하는 것이 맞는지 모르겠다. 나야 이이상의 번역을 하지는 않겠지만, 책의 역자가 제기한 내용이 받아들여질 있는 것인지. 지금까지 기록해 때의 감만 봐서는 나역시 just ethics 관계에서 정의, 정의롭다란 말을 환영하면서 옮긴 같지 않은데..(나중에 국가편을 펴서 언급한 부분을 다시 읽어 보겠다.) settled 말은 안정된( 확립된 에서 후자가 덕을 완전히 갖춘의 의미를 받지 않는가 싶어 그것으로 골랐다. 그리고 문단이 이번에 옮기면서 하나 배웠구나..’ 하는 물론 막연한 감일 뿐이지만 어떤 기쁨을 주었다. 텍스트를 읽고 자신의 해석을 놓는다는 것도 느꼈고 해석에 내가 수긍할 있다는 느낌도 있었다.

 

13.    Chapter 7. Moral Motivation. Moreover, acting from virtue, from a settled state of character, sets the standard for acting from duty, or because one thinks it’s right. Whatever their sincerely avowed reason for acting, people act ‘from duty’ to the extent that their character resembles that of the ideally virtuous agent. Hence  moral motivation can be a matter of degree, and is not introspectible. 이 부분이 제일 어려웠다. 대강 파악한 의미로는 사람은 이분법적으로 행동하지 않는다. 즉 의무감과 (감정과 이성이 한데 내린) 자기판단의 어느 한쪽만으로 행동하지 않는다. 그런 점에서 내 행위에 스며든 도덕적 동기부여는 상대적인 정도의 문제다………까지는 파악이 어렵지 않았다. 그런데 맨 끝의 introspective 가 뭘까가 좀체 잡히지 않았다. 처음 생각은 ‘I think what it’s right’ 을 받는 말일 것이다..그러므로 내향적인/내면의/자기반성의 차원이라고 했을 것이다했고 내내 그것이 맞으리라 생각했는데 본문의 ideally virtuous agent vs. me 라고 한다면 introspectible 이란 말이 기준없이 하는 생각이 아니라는 것을 강조하지 않는가 싶어졌다. 비슷한 말인 것 같아도 좀 다르다고 생각하는데 둘 중 어느 하나를 고를 확신이 들지 않아서, 결국은 애매하게 처리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Chapter 3. Irresolvable and Tragic Dilemmas. In particular a normative ethics should not aim to provide a decision procedure which resolves every dilemma in advance of deciding whether or not there are any irresolvable dilemmas. If there are any, then action guidance, in such cases, is not possible. However, action assessment is still not only possible, but needed-and virtue ethics can provide a particularly satisfying account of the differences between unworrying, distressing, and genuinely tragic dilemmas, the latter being those from which even the most virtuous agent cannot emerge with her life unmarried. These three chapters are all concerned with virtue ethics in relation to action, and  conclude them by reconsidering some of the standard theses used to sum up virtue ethics’ position in this area.

3 . 해결할 없고 비극적인 딜레마. 특히 규범 철학은 해결할 없는 딜레마가 있는지의 여부에 대한 판단 이전에 모든 딜레마를 푸는 결정과정을 제시하려고 해서는 안된다. 만약 해결이 불가능한 딜레마가 있다면, 그때의 행위지침이란 있을 없다. 그러나, 그런 경우라고 하더라도 행동평가는 가능할 뿐만 아니라 필요하다. 윤리학은 걱정할 없는, 괴로운, 그리고 정말로 비극적인, 가장 덕이 높은 행위자조차 오명을 입지 않고서는 타개할 없는 상황에서 비롯되는 딜레마의 차이에 대해 특히 만족스러운 설명을 있다 이들 챕터는 모두 행동과 관련된 윤리학을 다루며, 분야에서 윤리학이 취하는 입장을 요약하기 위해 몇가지 기본 논제들을 재고하는 것으로 결론을 맺는다.    

 

Part II. Emotion and Motivation  

2. 감정과 동기

 

Chapter 4. Aristotle and Kant. The decision of dilemmas brought in mention of the emotions the virtuous would feel on certain occasions, in particular, regret and even extreme grief as reactions to what ‘had to be done’ . Virtue ethics is often praised, especially at the expense of Kant’s deontology, for giving a better account of the moral significance of the emotions than the other ethical approaches, and, in particular, for giving a more attractive account than Kant of ‘moral motivation’. However, a careful consideration of Aristotle’s enkrateialarete distinction (the distinction between strength of will or ‘continence’ and full virtue) and the famous passage in Kant’s Groundwork in which he discuss moral worth, reveals that, in many ways, Aristotle and Kant are much closer than is usually supposed. Insofar as Aristotle has a notion of ‘motivation’, the continent and the fully virtuous agent have the same motivation-they both act from reason (logos) in the form of ‘choice’ (prohairesis).

 

4. 아리스토텔레스와 칸트. 딜레마의 판단은 덕이 있는 사람이 어느 상황에서, 특히 무엇을 했었어야 했는가에 대한 반응에서 느낄 후회, 더한 경우 극심한 비탄의 감정들을 언급하게 한다. 덕 윤리학은 흔히, 특히 칸트의 의무론을 넘어선다는 찬사를 받는데, 그 이유는 덕 윤리학이 감정의 도덕적 중요성에 대해 다른 윤리학이 접근하는 방식 보다 나은 해석을 제시하고, 특히 그 중에서도 칸트의 도덕적 동기보다 더 설득력 있는 설명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리스토텔레스의  enkrateia/arete 구별 (의지력 또는 절제 완전한 사이의 차이) 칸트의 도덕적 가치를 논하고 있는 형이상학과 도덕의 기초Groundwork 나오는 유명한 구절을 신중히 고려해 보면, 아리스토텔레스와 칸트가 여러 가지 점에서 우리의 평소 가정 보다 훨씬 유사함을 보게 된다. 아리스토텔레스에게 동기라는 개념이 있는 , 절제하는 사람과  덕을 완전하게 지닌 사람은 서로 같은 동기를 가진다. 그들은 이성을 따라(logos), ‘선택(prohairesis)’ 형태로 행동한다. 

 

 

Chapter 5. Virtue and the Emotions. Where Aristotle is arguably superior is in his account of human rationality, an account that allows the emotions to participate in reason, rather than being mere animal, non-rational, impulses, and thereby play their proper role in the specification of full virtue. The virtues are concerned with actions and feelings, and the moral education needed to develop them involves the education of the emotions. The full significance of this fact can be fruitfully illustrated through an example of moral diseducation, namely, the inculcation of racism.

 

5. 덕과 감정. 아리스토텔레스의 뛰어남은 아마도 그의 인간 이성의 합리성에 대한 해석에 있을 것이다. 그는 감정을 단순히 동물적인, 비이성적인, 충동의 상태라기 보다는 오히려 이성에 관여하는 것이라고 했으며, 그에 따라 완전한 덕의 구체화에서 감정이 맡는 본연의 역할을 인정했다. 덕은 행동, 느낌과 관련되어 있고, 덕의 함양을 위해 필요한 도덕교육은 감정에 대한 교육을 의미한다. 지금 말의 충분한 의미는 도덕적 비교육의 , 인종차별주의의 주입이라는 예로써 효과적으로 설명될 있을 것이다.  

 

Chapter 6. The Virtuous Agent’s Reasons for Action. We noted in Chapter 4 that the fully virtuous act from reason, in the form of ‘choice’. Do they, thereby, act ‘out of a sense of duty’ or ‘because they think it’s right?’ When we consider careful what is involved in the attribution of such a reason, we can see that the answer is ‘Yes’ (thus brining Kant and Aristotle even closer together). The virtuous, when acting virtuously, act for a great variety of different reasons. These form certain ranges, characteristic of particular virtues such as honesty, friendship, justice, courage, temperance, etc. When children and people who are in a transitory emotional state act for such reasons, they do not count as ‘acting out of a sense of duty’, but when the virtuous, who act from a settled state of character, act for such reasons, they do. Acting from virtue is sufficient for acting from duty.

 

6. 덕있는 행위자의 행동근거. 우리는 4 장에서 완전한 덕을 갖춘 사람은 이성에 따라 선택 형태로 행동한다고 언급했다. 그래서, 그들은 의무감에서행동하는가 아니면 그것이 옳다고 생각하기 때문에행동하는가? 이유로써 귀속되는 것들에 무엇이 포함되는가를 생각해 보면, 답은 그렇다임을 있다. (따라서 칸트와 아리스토텔레스는 서로 가까워지게 된다.) 덕을 보여주는 행동을 , 덕을 지닌 사람은 매우 다양한 이유로 행동한다. 이유들은 일정한 범위를 이루며, 정직, 우정, 정의,용기, 절제 등등 개개의 특징들이다. 일시적인 감정상태에 있는 어린이와 사람들이 그런 이유에서 행동하게 된다면, 그때 사람들의 행동은 의무감에서 행동으로 생각되지 않는다. 그러나 인격이 확립된 상태에서 행동하는 유덕한 사람이 그런 이유로 행동하게 된다면, 그들은 의무감에서 행동했다고 본다. 덕에 따라 하는 행동은 의무감에서 나온 행동의 충분조건이다.       

 

Chapter 7. Moral Motivation. Moreover, acting from virtue, from a settled state of character, sets the standard for acting from duty, or because one thinks it’s right. Whatever their sincerely avowed reason for acting, people act ‘from duty’ to the extent that their character resembles that of the ideally virtuous agent. Hence  moral motivation can be a matter of degree, and is not introspectible.

 

7. 도덕적 동기. 게다가 덕에 따라 행동한다는 , 인격이 자리잡힌 상태에서 행동한다는 것은 의무감으로 하는 행동, 혹은 그것이 옳다고 생각해서 하는 행동의 기준을 정해준다. 솔직하게 밝힌 행동의 이유가 무엇이건간에, 사람들은 일정정도, 그들의 인격이 이상적인 유덕한 행위자의 인격을 닮은 정도만큼 의무감에서 행동한다. 그러므로 도덕적 동기는 정도의 문제이지, 자기반성의 대상이 아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Chapter 3. Irresolvable and Tragic Dilemmas. In particular a normative ethics should not aim to provide a decision procedure which resolves every dilemma in advance of deciding whether or not there are any irresolvable dilemmas. If there are any, then action guidance, in such cases, is not possible. However, action assessment is still not only possible, but needed-and virtue ethics can provide a particularly satisfying account of the differences between unworrying, distressing, and genuinely tragic dilemmas, and latter being those from which even the most virtuous agent cannot emerge with her life unmarried.

 

These three chapters are all concerned with virtue ethics in relation to action, and  conclude them by reconsidering some of the standard theses used to sum up virtue ethics’ position in this area.

 

Part II. Emotion and Motivation

 

Chapter 4. Aristotle and Kant. The decision of dilemmas brought in mention of the emotions the virtuous would feel on certain occasions, in particular, regret and even extreme grief as reactions to what ‘had to be done’ . Virtue ethics is often praised, especially at the expense of Kant’s deontology, for giving a better account of the moral significance of the emotions than the other ethical approaches, and, in particular, for giving a more attractive account than Kant of ‘moral motivation’. However, a careful consideration of Aristotle’s enkrateialarete distinction (the distinction between strength of will or ‘continence’ and full virtue) and the famous passage in Kant’s Groundwork in which he discuss moral worth, reveals that, in many ways, Aristotle and Kant are much closer than is usually supposed. Insofar as Aristotle has a notion of ‘motivation’, the continent and the fully virtuous agent have the same motivation-they both act from reason (logos) in the form of ‘choice’ (prohairesis).

 

Chapter 5. Virtue and the Emotions. Where Aristotle is arguably superior is in his account of human rationality, an account that allows the emotions to participate in reason, rather than being mere animal, non-rational, impulses, and thereby play their proper role in the specification of full virtue. The virtues are concerned with actions and feelings, and the moral education needed to develop them involves the education of the emotions. The full significance of this fact can be fruitfully illustrated through an example of moral diseducation, namely, the inculcation of racism.

 

Chapter 6. The Virtuous Agent’s Reasons for Action. We noted in Chapter 4 that the fully virtuous act from reason, in the form of ‘choice’. Do they, thereby, act ‘out of a sense of duty’ or ‘because they think it’s right?’ When we consider careful what is involved in the attribution of such a reason, we can see that the answer is ‘Yes’ (thus brining Kant and Aristotle even closer together). The virtuous, when acting virtuously, act for a great variety of different reasons. These form certain ranges, characteristic of particular virtues such as honesty, friendship, justice, courage, temperance, etc. When children and people who are in a transitory emotional state act for such reasons, they do not count as ‘acting out of a sense of duty’, but when the virtuous, who act from a settled state of character, act for such reasons, they do. Acting from virtue is sufficient for acting from duty.

 

Chapter 7. Moral Motivation. Moreover, acting from virtue, from a settled state of character, sets the standard for acting from duty, or because one thinks it’s right. Whatever their sincerely avowed reason for acting, people act ‘from duty’ to the extent that their character resembles that of the ideally virtuous agent. Hence  moral motivation can be a matter of degree, and is not introspectibl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