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 3. Irresolvable and Tragic Dilemmas. In particular a normative ethics should not aim to provide a decision procedure which resolves every dilemma in advance of deciding whether or not there are any irresolvable dilemmas. If there are any, then action guidance, in such cases, is not possible. However, action assessment is still not only possible, but needed-and virtue ethics can provide a particularly satisfying account of the differences between unworrying, distressing, and genuinely tragic dilemmas, the latter being those from which even the most virtuous agent cannot emerge with her life unmarried. These three chapters are all concerned with virtue ethics in relation to action, and  conclude them by reconsidering some of the standard theses used to sum up virtue ethics’ position in this area.

3 . 해결할 없고 비극적인 딜레마. 특히 규범 철학은 해결할 없는 딜레마가 있는지의 여부에 대한 판단 이전에 모든 딜레마를 푸는 결정과정을 제시하려고 해서는 안된다. 만약 해결이 불가능한 딜레마가 있다면, 그때의 행위지침이란 있을 없다. 그러나, 그런 경우라고 하더라도 행동평가는 가능할 뿐만 아니라 필요하다. 윤리학은 걱정할 없는, 괴로운, 그리고 정말로 비극적인, 가장 덕이 높은 행위자조차 오명을 입지 않고서는 타개할 없는 상황에서 비롯되는 딜레마의 차이에 대해 특히 만족스러운 설명을 있다 이들 챕터는 모두 행동과 관련된 윤리학을 다루며, 분야에서 윤리학이 취하는 입장을 요약하기 위해 몇가지 기본 논제들을 재고하는 것으로 결론을 맺는다.    

 

Part II. Emotion and Motivation  

2. 감정과 동기

 

Chapter 4. Aristotle and Kant. The decision of dilemmas brought in mention of the emotions the virtuous would feel on certain occasions, in particular, regret and even extreme grief as reactions to what ‘had to be done’ . Virtue ethics is often praised, especially at the expense of Kant’s deontology, for giving a better account of the moral significance of the emotions than the other ethical approaches, and, in particular, for giving a more attractive account than Kant of ‘moral motivation’. However, a careful consideration of Aristotle’s enkrateialarete distinction (the distinction between strength of will or ‘continence’ and full virtue) and the famous passage in Kant’s Groundwork in which he discuss moral worth, reveals that, in many ways, Aristotle and Kant are much closer than is usually supposed. Insofar as Aristotle has a notion of ‘motivation’, the continent and the fully virtuous agent have the same motivation-they both act from reason (logos) in the form of ‘choice’ (prohairesis).

 

4. 아리스토텔레스와 칸트. 딜레마의 판단은 덕이 있는 사람이 어느 상황에서, 특히 무엇을 했었어야 했는가에 대한 반응에서 느낄 후회, 더한 경우 극심한 비탄의 감정들을 언급하게 한다. 덕 윤리학은 흔히, 특히 칸트의 의무론을 넘어선다는 찬사를 받는데, 그 이유는 덕 윤리학이 감정의 도덕적 중요성에 대해 다른 윤리학이 접근하는 방식 보다 나은 해석을 제시하고, 특히 그 중에서도 칸트의 도덕적 동기보다 더 설득력 있는 설명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리스토텔레스의  enkrateia/arete 구별 (의지력 또는 절제 완전한 사이의 차이) 칸트의 도덕적 가치를 논하고 있는 형이상학과 도덕의 기초Groundwork 나오는 유명한 구절을 신중히 고려해 보면, 아리스토텔레스와 칸트가 여러 가지 점에서 우리의 평소 가정 보다 훨씬 유사함을 보게 된다. 아리스토텔레스에게 동기라는 개념이 있는 , 절제하는 사람과  덕을 완전하게 지닌 사람은 서로 같은 동기를 가진다. 그들은 이성을 따라(logos), ‘선택(prohairesis)’ 형태로 행동한다. 

 

 

Chapter 5. Virtue and the Emotions. Where Aristotle is arguably superior is in his account of human rationality, an account that allows the emotions to participate in reason, rather than being mere animal, non-rational, impulses, and thereby play their proper role in the specification of full virtue. The virtues are concerned with actions and feelings, and the moral education needed to develop them involves the education of the emotions. The full significance of this fact can be fruitfully illustrated through an example of moral diseducation, namely, the inculcation of racism.

 

5. 덕과 감정. 아리스토텔레스의 뛰어남은 아마도 그의 인간 이성의 합리성에 대한 해석에 있을 것이다. 그는 감정을 단순히 동물적인, 비이성적인, 충동의 상태라기 보다는 오히려 이성에 관여하는 것이라고 했으며, 그에 따라 완전한 덕의 구체화에서 감정이 맡는 본연의 역할을 인정했다. 덕은 행동, 느낌과 관련되어 있고, 덕의 함양을 위해 필요한 도덕교육은 감정에 대한 교육을 의미한다. 지금 말의 충분한 의미는 도덕적 비교육의 , 인종차별주의의 주입이라는 예로써 효과적으로 설명될 있을 것이다.  

 

Chapter 6. The Virtuous Agent’s Reasons for Action. We noted in Chapter 4 that the fully virtuous act from reason, in the form of ‘choice’. Do they, thereby, act ‘out of a sense of duty’ or ‘because they think it’s right?’ When we consider careful what is involved in the attribution of such a reason, we can see that the answer is ‘Yes’ (thus brining Kant and Aristotle even closer together). The virtuous, when acting virtuously, act for a great variety of different reasons. These form certain ranges, characteristic of particular virtues such as honesty, friendship, justice, courage, temperance, etc. When children and people who are in a transitory emotional state act for such reasons, they do not count as ‘acting out of a sense of duty’, but when the virtuous, who act from a settled state of character, act for such reasons, they do. Acting from virtue is sufficient for acting from duty.

 

6. 덕있는 행위자의 행동근거. 우리는 4 장에서 완전한 덕을 갖춘 사람은 이성에 따라 선택 형태로 행동한다고 언급했다. 그래서, 그들은 의무감에서행동하는가 아니면 그것이 옳다고 생각하기 때문에행동하는가? 이유로써 귀속되는 것들에 무엇이 포함되는가를 생각해 보면, 답은 그렇다임을 있다. (따라서 칸트와 아리스토텔레스는 서로 가까워지게 된다.) 덕을 보여주는 행동을 , 덕을 지닌 사람은 매우 다양한 이유로 행동한다. 이유들은 일정한 범위를 이루며, 정직, 우정, 정의,용기, 절제 등등 개개의 특징들이다. 일시적인 감정상태에 있는 어린이와 사람들이 그런 이유에서 행동하게 된다면, 그때 사람들의 행동은 의무감에서 행동으로 생각되지 않는다. 그러나 인격이 확립된 상태에서 행동하는 유덕한 사람이 그런 이유로 행동하게 된다면, 그들은 의무감에서 행동했다고 본다. 덕에 따라 하는 행동은 의무감에서 나온 행동의 충분조건이다.       

 

Chapter 7. Moral Motivation. Moreover, acting from virtue, from a settled state of character, sets the standard for acting from duty, or because one thinks it’s right. Whatever their sincerely avowed reason for acting, people act ‘from duty’ to the extent that their character resembles that of the ideally virtuous agent. Hence  moral motivation can be a matter of degree, and is not introspectible.

 

7. 도덕적 동기. 게다가 덕에 따라 행동한다는 , 인격이 자리잡힌 상태에서 행동한다는 것은 의무감으로 하는 행동, 혹은 그것이 옳다고 생각해서 하는 행동의 기준을 정해준다. 솔직하게 밝힌 행동의 이유가 무엇이건간에, 사람들은 일정정도, 그들의 인격이 이상적인 유덕한 행위자의 인격을 닮은 정도만큼 의무감에서 행동한다. 그러므로 도덕적 동기는 정도의 문제이지, 자기반성의 대상이 아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