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 III. Rationality

 

3. 합리성

 

The final section of the book is on the ‘rationality of morality’ in relation to virtue ethics, the question of whether there is any ‘objective’ criterion for a certain character trait’s being a virtue. The standard neo-Aristotelian premise that ‘A virtue is a character trait a human being needs for eudaimonia, to flourish or live well’ should be regarded as encapsulating two interrelated claims, namely, that the virtue benefit their possessor, and that the virtues make their possessor good qua human being (human beings need the virtues in order to live a characteristically good human life). These are separately discussed in the first three chapters of this part, and eventually brought together at the end of final one.

 

책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윤리학과의 관련하에  도덕의 합리성’ , 특정한 성격의 사람이 덕을 지니기 위해 필요한 객관적인기준이 있는지의 여부를 살핀다. 신아리스토텔레스주의의 도덕규범의 전제는 덕은 인간이 행복을 위해서 eudaimonia, 영화롭고, 살아가기 위해서 갖출 필요가 있는 인격적 특성이며, 이는 개의 상호연관된 주장이 응축된 것으로 봐야 한다. 그것들은 덕은 덕을 가진 사람을 이롭게 한다는 것과, 덕은 덕의 주인을 인간 으로서  훌륭하게 준다는 (인간은 특히 인간다운 훌륭한 삶을 살기 위해 덕이 필요하다) 것이다.  이런 내용들이 2부의 처음 장에 걸쳐 개별적으로 논의되다가 최종적으로 마지막 장의 끝부분에서 하나로 수렴될 것이다. 

 

In these chapters I express disagreement with two main schools of thought. I assume, rather than argue for, the view that it is a mistake to suppose that ethics can be given any sort of foundation ‘from the neutral point of view’.  I assume that ethical thought has to take place within an acquired ethical outlook. However, despite disagreeing with those who seek to provide such a foundation, I do not take up the other familiar position which locates all fundamental ethical disagreements in disagreements about values, which I also deny. Ethical disagreements can be seen to lie in disagreements about facts, albeit, frequently, rather odd facts.

 

여기서 나는 학파에 대한 이견을 피력한다. 나는 윤리가 가치중립적 관점에서나와서 주어진 토대일 있다고 가정하는 것은 잘못이라는 견해를 찬성한다기 보다 당연한 사실로 받아들인다. 윤리적 사고는 후천적으로 얻은 윤리관에서 생긴다는 것이 생각이다.  그렇기는하나, 그런 토대를 제시하려는 이들과 다른 생각이라고 해서, 나로서는 또한 부정하는 나머지의 알려진 견해, 모든 근본적인 윤리적인 의견 차이는 가치를 보는 차이에 있다는 생각을 취하지는 않는다.  윤리문제에 대한 이견들은, 비록 사실은 커녕 상식밖의 일인 경우가 종종 있기는 하지만, 사실을 보는 견해의 차이에 있다고 생각한다.

 

 

Chapter 8. The Virtues Benefit their Possessor. Some familiar objections to the very idea that the virtues on the standard list benefit their possessor can quickly be cleared away. We may also note that, when we consider the claim in the context of brining up our own children or reflection on our own lives, rather than in the context of trying to convince the wicked or the moral sceptic, we believe it. According to Phillips and McDowell, we believe it in so far as we are virtuous, because we have special conceptions of eudaimonia, benefit, harm, and loss, which guarantee its truth. Hence any appeal to the sort of facts that Hare and Foot give in support of the claim are irrelevant. I agree with them that there is no discerning the truth of ‘the virtues benefit their possessor’ from a neutral or wicked standpoint, but not with their explanation. The sorts of facts that Hare and Foot give form essential support for the clam, and are essential to our inculcating virtue in our children. However, they are odd facts, which philosophy has, as yet, no easy way to classify.

 

8. 덕은 덕을 지닌 사람을 이롭게 한다. 덕의 기준에 이름이 오른 덕들은 소유자들을 이롭게 한다는 견해를 치고 들어오는 낯설지 않은 개의 반론들은 단시간에 쫓아버릴 있다. 어쩌면 우리는 덕을 얻으면 내가 좋아진다는 생각을 못된 사람들이나 도덕적 회의주의자들에게 납득시키려고 때보다, 아이들을 기르거나 우리 자신의 삶을 되돌아 보게 맞다고 믿게 된다고 깨달을지 모른다. 필립스Phillips 맥도웰 McDowell 따르자면, 우리는 우리가 덕있는 사람들인 이렇게 믿는다. 왜냐하면 우리에겐 믿음의 사실을 보장하는 행복 eudaimonia, 이로움, 해로움 그리고 상실이라는, 믿음이 참임을 보장하는 특별한 개념들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헤어 Hare Foot 주장을 지지하며 제시한 사실들에 대해 어떠한 항의도 무의미하다. 나는 그들이 덕은 덕을 얻은 사람을 이롭게 한다 사실의 진위를 가치중립적이거나 도덕적으로 사악한 관점에서 분별해 길이 없다고 점은 동의하지만, 그들이 밝힌 설명에 대해서는 아니다. 헤어 Hare Foot 말한 부류의 사실들은 본질적으로 찬성의 외관을 띠고 있고, 아이들에게 덕을 높이게 하는데 없어서는 안될 것들이다. 그러나, 그것들은 아직 철학이 마땅히 분류할 길을 찾지 못한, 상식적으로 선뜻 받아들여지지 않는 사실들이다   

 

 

 

 

Chapter 9. Naturalism. There is another way of interpreting the premise that the virtues are those character traits a human being needs for eudaimonia, to flourish or live well, which has it expressing a form of naturalism. We interpret it as saying that the virtues are those character traits that make a human being a good human being—are those traits that human beings need to live well as human beings, to live a good, characteristically human, life. Ethical evaluations of human beings as good or bad are taken to be analogous to evaluations of other living things as good or bad specimens of their kind. The analogy is instructive, because it reveals that several features of ethical evaluation thought to be peculiar to it, and inimical to its objectivity, are present in the quasi-scientific evaluation even of plans.

 

9. 자연주의.  덕은 인간이 행복eudaimonia 위해서, 영화롭고, 살아가기 위해서 갖출 필요가 있는 인격적 특성이라는 전제를 해석하는 또하나의 방식은 자연주의의 형태를 띤다. 우리는 그것을 이렇게 말한다. 덕이란 인간을 좋은 인간이게 하는 인격의 특성이다인간이 인간이라는 존재로서 살아가기 위해, 인간다운 좋은 삶을 살기 위해 필요한 인격의 특성이다. 인간에 대해 좋다 나쁘다를 따지는 윤리적 평가는 다른 생물들을 그들의 종류를 놓고 좋다 나쁘다고 하는 것과 유사하게 보인다.  유비는 자기에게 고유하고 외부의 객관적 실재에는 해로운 가지 특징들이 심지어 식물에 대한 유사-과학적 평가에서도 나타난다는 것을 보여주기 때문에 교훈적이다.

   

 

Chapter 10. Naturalism for Rational Anmals. However, the analogy can only be pushed so far. Ethics is not a branch of biology. Other living things have characteristic ways of going on that they cannot choose to change, against the background of which they can be evaluated as good or bad specimens. But in so far as we have characteristic ways of going on, we can intelligibly ask ‘Is that a good way to go on?’ of almost any of them and look for ways of changing it if we think the answer is ‘No’. Hence it can be rightly claimed that ethical naturalism, construed as the attempt to ground ethical evaluation in a scientific account of human nature, is a misconceived enterprise. But that is a far cry from claiming that no account of human nature can be objectively well-founded and moving straight to the idea that any conception of it is as good as any other.

 

10. 이성적 동물을 대상으로 자연주의. 그러나, 유비는 거기까지만 나갈 있다. 윤리학은 생물학의 분과가 아니다. 다른 생물들은 표본으로서 좋거나 나쁘다는 평가가 내려지는 환경에 맞서 변화를 선택할 없다는 점에서 그것만의 진행방식이 있다. 그러나 우리에게 살아가는 우리만의 방식이 있는한, 우리는 지적인 의문을 던질 있다. 다른 거의 모든 것들 중에서, ‘ 저것은 계속 가도 좋은 길인가?’ 그리고 만일 우리가 생각하기에 대답이 아니라고 내려진다면, 우리는 변화를 모색할 있다. 따라서 윤리적 평가의 근거를 인간본성에 대한 과학적인 설명에 두려는 시도라고 해석되는 자연주의 윤리론은 오인에서 비롯된 이론적 시도라는 주장을 정당하게 주장해 있다. 그러나 그것은 인간본성에 대한 어떠한 해석도 객관성있게 확립될 없다고 주장하면서 곧장 그에 대한 어떤 개념도 다른 것만큼 도움이 된다는 생각에 이르게 되는 것하고는 차이가 있다.  

 

Chapter 11. Objectivity. The two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the premise that ‘a virtue is a character trait a human being needs for eudaimonia’ can ultimately be seen as interrelated, for both rely on the idea that our nature is such that the virtues, as we know them, suit human beings. This fact, if it is a fact, is a highly contingent one. It is a contingent fact that we can, individually, flourish or achieve eudainomia, contingent that we can do so in the same way as each other, and contingent that we can do so all together, not at each other’s expense. If things had been otherwise then, according to the version of virtue ethics presented here, morality would not exist, or would be unimaginably different.      

 

11. 객관성. ‘덕은 인간이 행복eudaimonia 위해서 필요한 인격적 특성이라는 전제에 대한 상이한 해석은 궁극적으로는 서로 연관되어 있다고 있다. 왜냐하면 인간의 본성은 인간에게 덕이 어울리게 되는 그런 것이라는 생각에 근거하고 있기 때문이다. 만일 그것이 사실이라면, 사실은 매우 불확실한 사실이다. 우리가 개인적으로 영화롭게 되거나 혹은 행복 eudaimoniam 누릴 있는지는 모르는 일이다. 우리가 서로 같은 길로 그렇게 있을지, 그리고 우리가 모두 같이 서로를 희생키시지 않고서 그럴 있는지, 경험하지 않고서는 확실하지 않은 일이다. 여기서 소개된 윤리학의 설명에 따른다면, 그때 모든 일이 다르게 되었었다면, 도덕은 존재하지 않거나 지금과는 상상할 없을 정도로 달랐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