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y has modern moral philosophy revived the ancient approach of virtue ethics? On the face of it, it does seem odd that, armed with two theories derived from philosophers of the ‘modern world’, any moral philosopher, let alone a whole movement of them, should have felt it necessary to go all the way back to Plato and Aristotle. Given how long ago they wrote, given how different our world is from that of their Athens, given, moreover, Aristotle’s (at least) deplorable views on both slavery and women, is it not absurd to turn to them for inspiration on ethics? ‘On the face of it’ perhaps, yes, but in practice and in detail, no.

 

 

왜 근대의 도덕 철학은 덕 윤리학이라는 고대의 윤리 이론을 부활시켜 왔을까? 얼핏 생각하면 ‘근대 세계’ 의 철학가들에게서 나온 의무론과 공리주의 이론으로 훈련받은 어느 도덕 철학자가, 그 두 이론을 발전시키려는 모든 활동을 내버려두고,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에게로 되돌아야만 한다고 깨달았어야 했다는 것은 상식에 어긋나 보인다.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작이 얼마나 오래 되었는지, 그리고 당시의 아테네가 현재의 우리의 세계와 얼마나 다른지를 놓고 볼 때, 더구나 노예와 여성에 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어쨌든) 통탄스러운 관점을 고려해 볼 때, 윤리학의 영감을 그들에게 돌아가 얻겠다니 어리석지 않은가? ‘겉으로만 본다면’, 아마도 답은 ‘그렇다’ 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실제로, 그리고 자세히 따져보면, ‘그렇지 않다.’

.    

For a start, it must be emphasized that those who espouse virtue ethics nowadays do not regard themselves as committed to any of the lamentable, parochial details of Aristotle’s moral philosophy, any more than many deontologists inspired by Kant think they are committed to his views on, for example, animals[1] . What each has done is provide Western moral philosophy with a distinctive approach, an approach that, its proponents think, can fruitfully be adapted to yield what we now recognize as moral truth.

 

---

[1] Kant himself denied that we had any duties to any animals, on the grounds that they were not persons but things. However, Tom Regan, one of the two most famous defenders of ‘animal liberation’, is a deontologist and moreover one who employs Kantian ideas: see his The case for Animal Rights (1983)

 

 

 

먼저, 다음을 반드시 강조해야겠다. 칸트의 철학에 감화받은 다수의 의무론자들이 그의, 예컨대, 동물에 관한 견해에는 동조하지 않는 것과 마찬가지로, 오늘날 덕 윤리학을 지지하는 이들은 자신들이 유감스럽고 편협하게 상술된 아리스토텔레스 도덕 철학의 어떤 사소한 내용에도 동의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각각의 이론이 베풀어 준 것은 서양의 도덕 철학에 특유의 접근법을 마련해 준 것이며, 그 접근법은, 각 이론의 지지자들이 생각하건데, 우리가 현재 도덕적 진리로 받아 들이고 있는 것들을 얻기 위해 생산적으로 수정될 수 있다.

 

-----

 

[1] 칸트 그 자신은 동물이 사람이 아닌 생물이라는 이유로 동물에 대한 인간의 의무를 부정했다. 그러나, '동물 해방' 의 가장 유명한 두 옹호론자 중 한 사람인 Tom Regan는 의무론자고, 게다가 칸트의 이념들을 사용했다: 그의 ‘동물 권리론’ 을 참고할 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Why has modern moral philosophy revived the ancient approach of virtue ethics? On the face of it, it does seem odd that, armed with two theories derived from philosophers of the ‘modern world’, any moral philosopher, let alone a whole movement of them, should have felt it necessary to go all the way back to Plato and Aristotle. Given how long ago they wrote, given how different our world is from that of their Athens, given, moreover, Aristotle’s (at least) deplorable views on both slavery and women, is it not absurd to turn to them for inspiration on ethics? ‘On the face of it’ perhaps, yes, but in practice and in detail, no.


For a start, it must be emphasized that those who espouse virtue ethics nowadays do not regard themselves as committed to any of the lamentable, parochial details of Aristotle’s moral philosophy, any more than many deontologists inspired by Kant think they are committed to his views on, for example, animals[1]  . What each has done is provide Western moral philosophy with a distinctive approach, an approach that, its proponents think, can fruitfully be adapted to yield what we now recognize as moral truth.

--

[1] Kant himself denied that we had any duties to any animals, on the grounds that they were not persons but things. However, Tom Regan, one of the two most famous defenders of ‘animal liberation’, is a deontologist and moreover one who employs Kantian ideas: see his The case for Animal Rights (198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       번역도 정답이 없는 작업임을, 그래서 이또한 제한이 필요하고 그 안에서 결정을 내릴 수 있는 판단력이 필요한 작업임을 느꼈다.

 

2.        필수 불가결한 요소로만 짜여진 철학 텍스트 쓰기를 강조하는 언급을 여러 번 들었다. 그 때문인지 본문을 옮길 때 무척 조심스럽다. 여기에, 이번 작업에 대한 나 나름의 번역기준들이 겹쳐 지난 번과 다름 없이 아니, 그보다 더 많은 시간이 들었다. 시간이 많이 드는 것에 대해선 큰 생각을 하지 않는다. 익숙해지면 줄어들테고, 불필요하거나 좋지 못하다는 판단이 들면 어떤 식으로건 변경에 대한 생각이 들 줄로 아니까. 다만, 말을 옮기면서 무수한 생각들-번역에 대한, 본문의 내용에 대한, 그리고 결국 나에 관한-이 불어 오더란 것.

 

3.       뒤늦게 고치기를 잘 하는데 이번 일은 그 반대로 진행하고 싶었다. 올려야 하는 의무도, 정해진 마감도 없는 일이므로 충분히 그렇게 해 볼 생각이다. 대신 올리기 전에 몇 번이건 생각했고, 맞건 틀리건, 나 나름대로 기본으로 정한 틀 안에서 마음에 들 때까지 말을 골랐다.

 

4.       어디선가 번역이 마땅치 않을 때는 수동을 능동으로 능동을 수동으로, 사물주어를 사람주어로 사람주어를 사물주어로 뒤집어 생각해보면 도움이 된다는 글을 읽었는데, 이번의 두 문단은 뜻은 알겠으나 딱 떨어지는 문장이 잘 안 잡혀서 바로 그렇게 해 봤다.

 

5.       첫 번째 문장에서, normative ethics –were dominated by 문장의 경우, 규범 윤리학 분야는 지난 까지는 라는 단지 두 개의 이론에 의해 지배되었다. 가 완전한 직역문인데, 그 대신 무엇이 지배적이었다로 옮기고 싶었고 다른 문제는 없었으나 문장의 호응이 어색한 것 같아서 고심을 했다. “A BC 라는 이론이 지배적이었다.” 이것이 내가 옮긴 것인데, 호응만 생각하면 A 에서는 (혹은 A 에는) BC 라는 이론이 지배적이었다로 해야 맞는 것 같기도 했다. 다만 그렇게 하면 규범 윤리학에서는이 되어 오히려 더 어색한 것 같길래 원래 생각한 대로 옮겼다. 애초의 완전 직역문으로 했다면 크게 생각을 할 필요가 없었는지도 모르겠다.   

 

6.       utilitarianism, which derives, in its modern incarnation, from DE의 문장이 옮겨 놓고 그 의미를 잘 알지 못하므로 재차 확인하게 되던 예였다. DE 의 근대적 구체화라고 하긴 했으나, 예전 이론의 근대화라는 뜻이라는 짐작에 근대적 재해석아니면 그냥 근대화로 해도 괜찮지 않는가 하는 의문이 남았다.

 

7.       new kids on the block 등의 문장은 필자가 그(밴드) “New Kids On The Block” 을 염두에 두고 쓴 말 같은데 이럴 때 번역한 말 옆에 원래의 표현을 적어주는 것이 좋은지 궁금했다. 그리고 그 문장에서 yet 뒷 부분은 뜻을 고려했을 때 결과를 나타내는 용법인 것 같아서 그리 옮겼고, 덕분에 그동안 한참 늘여 쓰던 문장들이 간단히 결과의 to 부정사 표현으로 뜻을 통하게 할 수 있다는, 머리로 알고 있었어도 익히지 못했던 연습을 좀 해 볼 수 있었다.

 

8.       Virtue Ethics 를 열쇳말로 구글검색을 해서 찾은 이미지 한 장. 아리스토텔레스, 칸트, 그리고 존 스튜어트 밀이 맞겠지. 

 

9.       마치며 짧은 잡담 하나. 어제 로그인을 하니까 4라는 숫자가 3 으로 줄어 있었다. , 하는 동시에 흑, 하던 느낌. 그리고 문득 이거 알라딘 분들 너무 하시는 거 아니신가요..^__^’  류의 제목으로 잡담성 글을 하나 올리는 상상. 그 순간 나를 환기시키는 것 같던 잡념 하나가 있었다. 나는 겨우 네 분에게 즐겨찾아지는 가난한 서재의 주인, 고로 없는 자가 아닌가. 그런데 거기서 하나를 빼 가시려 하신다니 너무하지 않은가. 그런데 비록 우스개 같은 혹은 장난같은 이 생각을 거꾸로 보면, 몇 백의 즐겨찾기 방문객을 둔 서재의 주인들에게는 하나의 수가 늘고 주는 의미가 나보다 덜할 것이다라는 식의 무의식적인 가정이 있었던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 그러면서 나는 내 그 순간의 생각들의 흐름이 혹시 공리주의적 사고방식의 한 즉자적인 예는 아닐까 애써 생각을 확장해 봤다. 현재 나는 공리주의 의무론 그리고 덕 윤리학을 번역연습이라는 행위를 통해 이해해 보고 그 속에 나를 한 번 비춰 보려는 시도 중임을 잊지 않고 싶어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Up until about thirty years ago, normative ethics was dominated by just two theories: deontology, which took its inspiration from the eighteenth century philosopher Immanuel Kant, and utilitarianism, which derives, in its modern incarnation, from the eighteenth-and nineteenth-century philosophers Jeremy Bentham and J.S. Mill. In the hundreds of books and articles on normative ethics published during the sixties and seventies, it was common to find versions of one or both of these theories outlined, discussed, amended, applied, compared, and criticized-but no mention made of any third possibility which harked back to the ancient Greeks.

 

 

약 삼십년 전까지, 규범 윤리학은 18 세기 철학자 임마누엘 칸트에게 영감을 받아 형성된 의무론과 18, 19 세기 철학자 제레미 밴담과 J.S. 밀의 근대적 구체화 작업 속에서 나온 공리주의라는 단지 두 가지 이론이 지배적이었다. 1960년대와 70년대에 출간된 수 백권의 규범 윤리학 관련 도서와 문헌 중에서 이들 두 이론의 하나 혹은 둘 모두의 개괄, 논의, 개정, 적용, 비교, 및 비판 형식을 띤 텍스트는 흔히 볼 수 있었다. -그러나 고대 그리스 시대로 되돌아가 귀를 기울이려는 제 3의 가능성에 대해서는 어떠한 언급도 없었다.

.    

 

Gradually, a change was observable. In some books designed as undergraduate text in normative ethics, various articles critical of the prevailing orthodoxy were cited as calling for a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the virtues, and a few paragraphs on 'what a virtue ethicist would say' inserted. At first, the mentions tended to short and dismissive. Virtue ethics was regarded not as the third approach in its own right, but as emphasizing a few interesting points-such as the motives and character of moral agents-that deontologists and utilitarians could usefully incorporate into their approaches. Then, as more articles were written in its defence, it acquired the status of 'the new kid on the block'-yet to establish its right to run with the big boys, but not to be dismissed out of hand. And now in the latest collections (as I write, in 1998), it has acquired full status, recognized as a rival to deontological and utilitarian approaches, as interestingly and challengingly different from either as they are from each other.

 

 

점차, 변화를 주목할 수 있게 되었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몇몇 규범 윤리학 교재에 덕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의 요구로서 기존의 정론에 비판적인 여러 문헌들이 인용되었고, ‘덕 윤리학자라면 무엇을 말하겠는가’ 에 관한 몇 개의 단락이 삽입되었다. 초기에, 그 언급들은 불충분하고 미미한 편이었다. 덕 윤리학은 그 본래로 제 3의 길로 생각되지 않았고, 의무론자와 공리주의자들이 자신들의 이론에 유용하게 포함시켜볼만한 몇 가지 흥미로운 지점들-도덕적 행위자의 동기와 성품 같은- 을 강조하려는 차원에서 고려되었다. 그 후, 덕 윤리학을 변론하는 더 많은 문헌이 나오게 됨에 따라, 덕 윤리학은 ‘풋내기’ 의 지위를 얻게 되었으나, 그것은 거물들과 경주를 벌일 권리가 생겼다는 것이 아니라, 당장 퇴장 당하지 않게 되었다는 정도의 결과였다. 그리고 최근의 (1998년에 내가 썼듯이) 문헌에서, 이제 덕 윤리학은 목적론과 공리주의가 서로 다른 것처럼 그 두 이론의 어느 하나와 흥미로우면서도 논쟁을 자극하는 차이를 보이는, 경쟁자로서의 완전한 지위를 얻게 되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Up until about thirty years ago, normative ethics was dominated by just two theories: deontology, which took its inspiration from the eighteenth century philosopher Immanuel Kant, and utilitarianism, which derives, in its modern incarnation, from the eighteenth-and nineteenth-century philosophers Jeremy Bentham and J.S. Mill. In the hundreds of books and articles on normative ethics published during the sixties and seventies, it was common to find versions of one or both of these theories outlined, discussed, amended, applied, compared, and criticized-but no mention made of any third possibility which harked back to the ancient Greeks.


Gradually, a change was observable. In some books designed as undergraduate text in normative ethics, various articles critical of the prevailing orthodoxy were cited as calling for a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the virtues, and a few paragraphs on 'what a virtue ethicist would say' inserted. At first, the mentions tended to short and dismissive. Virtue ethics was regarded not as the third approach in its own right, but as emphasizing a few interesting points-such as the motives and character of moral agents-that deontologists and utilitarians could usefully incorporate into their approaches. Then, as more articles were written in its defence, it acquired the status of 'the new kid on the block'-yet to establish its right to run with the big boys, but not to be dismissed out of hand. And now in the latest collections (as I write, in 1998), it has acquired full status, recognized as a rival to deontological and utilitarian approaches, as interestingly and challengingly different from either as they are from each other.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