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 until about thirty years ago, normative ethics was dominated by just two theories: deontology, which took its inspiration from the eighteenth century philosopher Immanuel Kant, and utilitarianism, which derives, in its modern incarnation, from the eighteenth-and nineteenth-century philosophers Jeremy Bentham and J.S. Mill. In the hundreds of books and articles on normative ethics published during the sixties and seventies, it was common to find versions of one or both of these theories outlined, discussed, amended, applied, compared, and criticized-but no mention made of any third possibility which harked back to the ancient Greeks.

 

 

약 삼십년 전까지, 규범 윤리학은 18 세기 철학자 임마누엘 칸트에게 영감을 받아 형성된 의무론과 18, 19 세기 철학자 제레미 밴담과 J.S. 밀의 근대적 구체화 작업 속에서 나온 공리주의라는 단지 두 가지 이론이 지배적이었다. 1960년대와 70년대에 출간된 수 백권의 규범 윤리학 관련 도서와 문헌 중에서 이들 두 이론의 하나 혹은 둘 모두의 개괄, 논의, 개정, 적용, 비교, 및 비판 형식을 띤 텍스트는 흔히 볼 수 있었다. -그러나 고대 그리스 시대로 되돌아가 귀를 기울이려는 제 3의 가능성에 대해서는 어떠한 언급도 없었다.

.    

 

Gradually, a change was observable. In some books designed as undergraduate text in normative ethics, various articles critical of the prevailing orthodoxy were cited as calling for a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the virtues, and a few paragraphs on 'what a virtue ethicist would say' inserted. At first, the mentions tended to short and dismissive. Virtue ethics was regarded not as the third approach in its own right, but as emphasizing a few interesting points-such as the motives and character of moral agents-that deontologists and utilitarians could usefully incorporate into their approaches. Then, as more articles were written in its defence, it acquired the status of 'the new kid on the block'-yet to establish its right to run with the big boys, but not to be dismissed out of hand. And now in the latest collections (as I write, in 1998), it has acquired full status, recognized as a rival to deontological and utilitarian approaches, as interestingly and challengingly different from either as they are from each other.

 

 

점차, 변화를 주목할 수 있게 되었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몇몇 규범 윤리학 교재에 덕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의 요구로서 기존의 정론에 비판적인 여러 문헌들이 인용되었고, ‘덕 윤리학자라면 무엇을 말하겠는가’ 에 관한 몇 개의 단락이 삽입되었다. 초기에, 그 언급들은 불충분하고 미미한 편이었다. 덕 윤리학은 그 본래로 제 3의 길로 생각되지 않았고, 의무론자와 공리주의자들이 자신들의 이론에 유용하게 포함시켜볼만한 몇 가지 흥미로운 지점들-도덕적 행위자의 동기와 성품 같은- 을 강조하려는 차원에서 고려되었다. 그 후, 덕 윤리학을 변론하는 더 많은 문헌이 나오게 됨에 따라, 덕 윤리학은 ‘풋내기’ 의 지위를 얻게 되었으나, 그것은 거물들과 경주를 벌일 권리가 생겼다는 것이 아니라, 당장 퇴장 당하지 않게 되었다는 정도의 결과였다. 그리고 최근의 (1998년에 내가 썼듯이) 문헌에서, 이제 덕 윤리학은 목적론과 공리주의가 서로 다른 것처럼 그 두 이론의 어느 하나와 흥미로우면서도 논쟁을 자극하는 차이를 보이는, 경쟁자로서의 완전한 지위를 얻게 되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