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번역도 정답이 없는 작업임을, 그래서 이또한 제한이 필요하고 그 안에서 결정을 내릴 수 있는 판단력이 필요한 작업임을 느꼈다.

 

2.        필수 불가결한 요소로만 짜여진 철학 텍스트 쓰기를 강조하는 언급을 여러 번 들었다. 그 때문인지 본문을 옮길 때 무척 조심스럽다. 여기에, 이번 작업에 대한 나 나름의 번역기준들이 겹쳐 지난 번과 다름 없이 아니, 그보다 더 많은 시간이 들었다. 시간이 많이 드는 것에 대해선 큰 생각을 하지 않는다. 익숙해지면 줄어들테고, 불필요하거나 좋지 못하다는 판단이 들면 어떤 식으로건 변경에 대한 생각이 들 줄로 아니까. 다만, 말을 옮기면서 무수한 생각들-번역에 대한, 본문의 내용에 대한, 그리고 결국 나에 관한-이 불어 오더란 것.

 

3.       뒤늦게 고치기를 잘 하는데 이번 일은 그 반대로 진행하고 싶었다. 올려야 하는 의무도, 정해진 마감도 없는 일이므로 충분히 그렇게 해 볼 생각이다. 대신 올리기 전에 몇 번이건 생각했고, 맞건 틀리건, 나 나름대로 기본으로 정한 틀 안에서 마음에 들 때까지 말을 골랐다.

 

4.       어디선가 번역이 마땅치 않을 때는 수동을 능동으로 능동을 수동으로, 사물주어를 사람주어로 사람주어를 사물주어로 뒤집어 생각해보면 도움이 된다는 글을 읽었는데, 이번의 두 문단은 뜻은 알겠으나 딱 떨어지는 문장이 잘 안 잡혀서 바로 그렇게 해 봤다.

 

5.       첫 번째 문장에서, normative ethics –were dominated by 문장의 경우, 규범 윤리학 분야는 지난 까지는 라는 단지 두 개의 이론에 의해 지배되었다. 가 완전한 직역문인데, 그 대신 무엇이 지배적이었다로 옮기고 싶었고 다른 문제는 없었으나 문장의 호응이 어색한 것 같아서 고심을 했다. “A BC 라는 이론이 지배적이었다.” 이것이 내가 옮긴 것인데, 호응만 생각하면 A 에서는 (혹은 A 에는) BC 라는 이론이 지배적이었다로 해야 맞는 것 같기도 했다. 다만 그렇게 하면 규범 윤리학에서는이 되어 오히려 더 어색한 것 같길래 원래 생각한 대로 옮겼다. 애초의 완전 직역문으로 했다면 크게 생각을 할 필요가 없었는지도 모르겠다.   

 

6.       utilitarianism, which derives, in its modern incarnation, from DE의 문장이 옮겨 놓고 그 의미를 잘 알지 못하므로 재차 확인하게 되던 예였다. DE 의 근대적 구체화라고 하긴 했으나, 예전 이론의 근대화라는 뜻이라는 짐작에 근대적 재해석아니면 그냥 근대화로 해도 괜찮지 않는가 하는 의문이 남았다.

 

7.       new kids on the block 등의 문장은 필자가 그(밴드) “New Kids On The Block” 을 염두에 두고 쓴 말 같은데 이럴 때 번역한 말 옆에 원래의 표현을 적어주는 것이 좋은지 궁금했다. 그리고 그 문장에서 yet 뒷 부분은 뜻을 고려했을 때 결과를 나타내는 용법인 것 같아서 그리 옮겼고, 덕분에 그동안 한참 늘여 쓰던 문장들이 간단히 결과의 to 부정사 표현으로 뜻을 통하게 할 수 있다는, 머리로 알고 있었어도 익히지 못했던 연습을 좀 해 볼 수 있었다.

 

8.       Virtue Ethics 를 열쇳말로 구글검색을 해서 찾은 이미지 한 장. 아리스토텔레스, 칸트, 그리고 존 스튜어트 밀이 맞겠지. 

 

9.       마치며 짧은 잡담 하나. 어제 로그인을 하니까 4라는 숫자가 3 으로 줄어 있었다. , 하는 동시에 흑, 하던 느낌. 그리고 문득 이거 알라딘 분들 너무 하시는 거 아니신가요..^__^’  류의 제목으로 잡담성 글을 하나 올리는 상상. 그 순간 나를 환기시키는 것 같던 잡념 하나가 있었다. 나는 겨우 네 분에게 즐겨찾아지는 가난한 서재의 주인, 고로 없는 자가 아닌가. 그런데 거기서 하나를 빼 가시려 하신다니 너무하지 않은가. 그런데 비록 우스개 같은 혹은 장난같은 이 생각을 거꾸로 보면, 몇 백의 즐겨찾기 방문객을 둔 서재의 주인들에게는 하나의 수가 늘고 주는 의미가 나보다 덜할 것이다라는 식의 무의식적인 가정이 있었던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 그러면서 나는 내 그 순간의 생각들의 흐름이 혹시 공리주의적 사고방식의 한 즉자적인 예는 아닐까 애써 생각을 확장해 봤다. 현재 나는 공리주의 의무론 그리고 덕 윤리학을 번역연습이라는 행위를 통해 이해해 보고 그 속에 나를 한 번 비춰 보려는 시도 중임을 잊지 않고 싶어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