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t this is not the Aristotelian concept. Despite a few awkward exceptions (friendship, gratitude), a virtue is generally held to be a character trait, a state of one’s character. If you have the virtues of, say, generosity, honesty, and justice, generous, honest, and just is the sort of person you are. Clearly, one can give the appearance of being a generous, honest, and just person without being one, by making sure one acts in certain ways. And that is enough to show that there is more to the possession of a virtue than being disposed to act in certain ways; at the very least, one has to act in those ways for certain sorts of reasons. But, in fact, we think of such character traits as involving much more than tendencies or dispositions to act, even for certain reasons.

 

그러나 이것은 아리스토텔레스적 개념이 아니다. 곤란한 몇 개의 예외가 있기는 해도(우정, 감사), 덕은 대체로 일종의 성격적 특성, 즉 한 사람의 인격적 특성으로 파악된다. 만일 당신에게, 이를테면, 너그러움, 정직,  그리고 정의의 덕이 있다면, 너그럽고 정직하고 정의롭다는 것은 당신이라는 사람의 성품이 되는 것이다. 분명히, 사람은 실제로 그런 덕있는 사람이 되지 않고서 도 일정한 방식으로 행동을 확실히 함으로써 관대하고 정직하고 정의감있는 사람이라는 인상을 줄 수 있다. 그것은 덕을 지니는 것이 특정한 방식으로 행동하려는 성향 이상의 것임을 충분히 보여준다. 적어도 사람은 어떤 이유에서 그런 방식에 따라 행동을 취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렇지만 우리는 실제로, 어떤 이유에서라도,  성격은 행위의 경향이나 성향 이상을 의미한다고 생각한다.     

 

For example, we think of honest people as people who tend to avoid the dishonest deeds and do the honest ones in a certain manner-readily, eagerly, unhesitatingly, scrupulously, as appropriate. They hasten to correct a false impression their words have led you into which would be to their advantage; they own up immediately without waiting to see if they are going to be found out; they give voice to the truth everyone else fears to utter; they are concerned to make sure you understand what you are singing or agreeing to do for them.

 

예를 들어, 우리는 정직한 사람이란 부정한 행위를 피하려고 하고, 정직한 행동을 이런 어떤 방식, 기꺼이, 열심히, 확고히, 철저히 하는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사람들은 자신들에게 유리하게끔 말한 것에 대해서 그런 인상을 서둘러 바로잡고자 하며, 자신의 오류가 발견되는지를 지켜보지 않고 즉각 잘못을 털어 놓으며, 남들이 말하기 두려워 하는 진실을 표명하고, 자신들을 위해 하겠다면서 서명이나 동의 중인 것을 당신이 이해하고 있는지 확실히 두려고 한다.    

 

We expect a reliability in the actions that reflect their attitude to honest, too. We expect them to disapprove of, to dislike, and to deplore dishonesty, to approve of, like, and admire honesty, and so we expect them in conversation to praise or defend people, real or fictitious, for their honesty, to avoid consorting with the dishonest, to choose, where possible, to work with honest people and have honest friends, to be brining up their children to be honest. Where relevant, we expect them to uphold the ideals of truth and honesty in their jobs; if they are academics, to be resistant to fashion and scrupulous in their research; if they are teachers, to resist pressure to teach what they do not believe, or if doctors to defend the importance of trust between doctor and patient, or if in business, to resist sharp practice and argue for honesty as the best policy.

 

우리는 또한 그 사람들의 정직함에 대한 태도가 반영된 신뢰성 있는 행동을 예상한다. 리는 사람들이 부정을 반대하며, 싫어하고, 통탄하리라 생각하고, 정직을 찬성하며, 좋아하고, 높이 생각하리라 생각한다. 그래서 우리는 사람들이 실제 사람이건 가상의 인물이건 그들의 정직함에 대해 칭찬이나 옹호의 말을 하고, 부정에 연루될 기회를 기피하고, 정직한 사람들을 선택하고, 가능한 그런 사람들과 일하며, 정직한 친구들을 사귀고, 자식들이 정직한 사람으로 자라도록 기를 것이라고 기대한다. 이어지는 맥락에서, 우리는 그들이 자신들이 종사하는 일에서 진실과 정직의 이상을 지켜가리라고 생각한다. 만일 학자라면, 유행을 뒤쫓지 않으며 양심적으로 연구를 하고, 선생이라면, 스스로 믿지 않는 바를 가르치라는 압력에 굴하지 않고, 의사라면, 의사와 환자 사이의 신뢰의 중요성을 옹호하고, 사업가라면 화려한 정책에 신경쓰지 않고 정직이 최상의 방책임을 주장하리라 기대한다.

   

And this spills over into the emotions we expect from them. We expect them to be distressed when those near and dear to them are dishonest, to be unresentful of honest criticism, to be surprised, shocked, angered (as appropriate) by flagrant acts of dishonesty, not to be amused by certain tales of chicanery, to despise rather than to envy those who succeed by dishonest means, to be unsurprised, or pleased, or delighted (as appropriate) when honesty triumphs.

 

그리하여, 우리의 기대는 넘쳐 그들의 감정으로까지 흘러간다. 우리는 사람들이 가깝고 소중한 이들의 정직하지 못한 모습을 괴로움을 느끼고, 솔직하게 제기된 비판에 복수심을 품지 않으며, 부정직한 꼴사나운 행동에 놀라고, 충격받고, 분노하며, 그럴듯한 궤변에 놀아나지 않고, 부정한 수단으로 성공한 이들을 부러워하기는 커녕 오히려 경멸하고, 정직함이 승리할 당연하다 여기거나, 만족스러워하거나, 기뻐하리라 생각한다.    

 

Finally, we may not actually expect, but may notice, if we are fortunate enough to come across someone thoroughly honest, that they are particularly acute about occasions when honesty is at issue. If we are less than thoroughly honest ourselves, they put us to shame, noticing, as we have failed to do, that someone is obviously not to be trusted, or that we are all about to connive at dishonesty, or that we are all allowing someone to be misled. As Stephen Hudson has rightly remarked: The unity of character is extremely labyrinthine. It couples systematically a person's values, choices, desires, strength or weakness of will, emotions, feelings, perceptions, interests, expectations and sensibilities.

 

마지막으로, 아마도 우리는, 만일 우리에게 완벽하게 정직한 사람을 발견할만큼의 행운이 있다면 사람들이 정직함이 문제시 되는 특히나 매사에 엄격하다는 것을 예상이 아니라 깨달음으로 알아차리게 것이다. 만일 우리가 완전하게 정직한 우리 자신에 미친다면, 그들은 우리에게 지금까지 우리 스스로 인지하지 못했던 , 누군가를 분명하게 믿지 못하거나 부정을 묵인하려 들거나, 누군가가 잘못된 길로 가는데도 내버려 두고 있다는 것을 알려주면서 우리를 부끄럽게 것이다. 스테판 허드슨 Stephen Hudson 정확하게 말한 것처럼, ‘인격의 통일은 지극히 복잡하다. 그것은 사람의 가치, 선택, 욕구, 의지의 강점과 약점, 감정, 느낌, 인식, 관심, 기대와 감수성이 체계적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But this is not the Aristotelian concept. Despite a few awkward exceptions (friendship, gratitude), a virtue is generally held to be a character trait, a state of one’s character. If you have the virtues of, say, generosity, honesty, and justice, generous, honest, and just is the sort of person you are. Clearly, one can give the appearance of being a generous, honest, and just person without being one, by making sure one acts in certain ways. And that is enough to show that there is more to the possession of a virtue than being disposed to act in certain ways; at the very least, one has to act in those ways for certain sorts of reasons. But, in fact, we think of such character traits as involving much more than tendencies or dispositions to act, even for certain reasons.

 

For example, we think of honest people as people who tend to avoid the dishonest deeds and do the honest ones in a certain manner-readily, eagerly, unhesitatingly, scrupulously, as appropriate. They hasten to correct a false impression their words have led you into which would be to their advantage; they own up immediately without waiting to see if they are going to be found out; they give voice to the truth everyone else fears to utter; they are concerned to make sure you understand what you are singing or agreeing to do for them.

 

We expect a reliability in the actions that reflect their attitude to honest, too. We expect them to disapprove of, to dislike, and to deplore dishonesty, to approve of, like, and admire honesty, and so we expect them in conversation to praise or defend people, real or fictitious, for their honesty, to avoid consorting with the dishonest, to choose, where possible, to work with honest people and have honest friends, to be brining up their children to be honest. Where relevant, we expect them to uphold the ideals of truth and honesty in their jobs; if they are academics, to be resistant to fashion and scrupulous in their research; if they are teachers, to resist pressure to teach what they do not believe, or if doctors to defend the importance of trust between doctor and patient, or if in business, to resist sharp practice and argue for honesty as the best policy.

 

And this spills over into the emotions we expect from them. We expect them to be distressed when those near and dear to them are dishonest, to be unresentful of honest criticism, to be surprised, shocked, angered (as appropriate) by flagrant acts of dishonesty, not to be amused by certain tales of chicanery, to despise rather than to envy those who succeed by dishonest means, to be unsurprised, or pleased, or delighted (as appropriate) when honesty triumphs.

 

Finally, we may not actually expect, but may notice, if we are fortunate enough to come across someone thoroughly honest, that they are particularly acute about occasions when honesty is at issue. If we are less than thoroughly honest ourselves, they put us to shame, noticing, as we have failed to do, that someone is obviously not to be trusted, or that we are all about to connive at dishonesty, or that we are all allowing someone to be misled. As Stephen Hudson has rightly remarked: The unity of character is extremely labyrinthine. It couples systematically a person's values, choices, desires, strength or weakness of will, emotions, feelings, perceptions, interests, expectations and sensibilities.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       대강 옮겨 놓고서 떠올라 찾아 들었던 노래. 이 노래는 본문에 나오던 drug-induced haze of contentment 에서 단박..은 아니고 그래도 몇 분 안에 떠올랐었다. 사이키델릭 밴드라는 것과, 겨우 두 곡 담긴 앨범이라는 것, 어디서 읽었는데 잘 기억하지 못하는 앨범에 얽힌 이야기 제목 정도를 알고 Baby night 이란 곡에 조금 더 끌리는 것 같다는 느낌 정도 뿐이지만. 약간의 문제로 Baby night 은 올리지 못하고 Silly Sally 만 올렸다. 실은 어제 본문을 옮기면서 한 곡 올려 두었는데, 그 부분은 아래의 본론을 다 쓰고 나서 시간이 되면 적고 아니면 혼자 넘기고 말 생각이다. 중요한 기록은 아닌 것 같기도 하고. http://www.aladin.co.kr/blog/mypaper/774757

 

2.       이번에는 내가 윤리학 교과서가 아니라 다음이 궁금해지는 그냥 책 한 권 옮기는 연습 중인 것 같은 착각을 했었다. 재미있고 아, 하는 기분이 들고 야, 맞아..하기도 하고. 그래서 더욱, 이러다 실수하지. 방심할 때가 아니지..하며 긴장 했었고, 아니나다를까 망에 걸려 고친 것도 좀 된다.

3.       배움이었다고 적을 수 있으면 좋겠는데, 그러기엔 뾰죽한 의견도 못되는 의문거리만 많았던 작업이었다. 특히, (1) 적합한 번역어가 없을 때 무리해서 어떤 말을 찾아야 하는가라는 문제랑 (2) 소위 번역투라고 하는 직역 과정에서의 몇몇 특정한 조사나 동사의 처리문제 를 좀 생각해 볼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본문대조하면서 써 보련다. 

4.       The first is the concept of eudaimonia, usually translated as 'happiness' or 'flourishing' and occasionally as 'well-being'. 이 문장이 내가 이번에 시간을 들인 생각의 거의 전부가 아닐까 싶다. 처음에 나는 이 말을 eudaimonia 는 보통 행복, 번영, 그리고 때때로 안녕 (나중에는 잘 삶) 이렇게 옮겼었다. 그런데 왜 꼭 그렇게 해야 하는지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그냥 각각의 영문번역어 뒤에 행복 이라고 통일되게 옮겼다.

5.       그랬던 첫 번째 이유는 저자가 여기서 이 말들을 설명하는 이유는, 어떤 것도 마땅한 번역이 아니고 true happiness 라고 하는 것이 좋겠다는 대안을 내 놓고 있었기 때문이다. , 어떤 번역어도 만족스럽지 못하다고 한 것을 (거꾸로말하면 모두 행복이라는 넓은 범주에 넣어서 동일하게 봐도 되는 것을 굳이 우리말로 옮겨야 할 이유를 못 찾아서 그랬다.) 다음으로는, 예컨대 well being 의 경우 스무번도 넘게 안녕/복됨/복지/건강함 부터 계속 말을 바꾸어가며 적합한 번역어를 찾으려고 해 봤지만 결국 본문에서 상응하는 형용사를 찾을 수 없어서 불편하다는 말로 정리되는 것을 보고선, ‘만일 그렇다면 우리말 번역어도 이 저자의 논리에 맞게 형용사가 없는 것으로 골라야 한다는 말인가?’ 하는 의문이 들어서 이 부분은 내 선에서 해결할 문제가 아니라고 결론을 짓고 말았다. (그 전에 최종적으로 골랐던 말이 안녕이었기 때문에 안녕은 안녕한, 안녕하다는 등의 형용사를 쓸 수 있으니, 그동안 내가 쓴 시간이 말짱 도루묵이 된 것 같아서 에이 하는 마음에 그런 것도 좀 있기는 하다)

6.       Each translation has its disadvantages. 위에 크게 두 가지로 내가 생각해 보았던 내용을 정리한 김에 여기서 나온 have 를 예로 들어서 조금만 더 적어봐야겠다. 번역문 올리고 노래 올린 뒤 바로 적는 것이라 미처 출처와 정확한 원문은 제시할 수 없겠는데, 언젠가 어디선가에서 직역투, 번역투의 문제를 지적하는 글을 하나 읽었다. 글 전체를 동의한 것은 아니었다. 하지만 그 중에서 ‘-로부터 를 통해서 를 갖는등의 말들은 우리말의 자연스러운 의미로 풀어내기에 썩 좋은 표현이 아니라는 지적에 대해서는 공감을 했었다. 그것이 어느 정도 근거를 갖춘 주장이었는지도 잘 기억할 수 없지만, 우리말에는 소유의 표현보다는 존재의 표현으로 문장이 구성될 때 더 자연스럽다고 했던 말을 기억한다. , ‘을 갖고 있다/갖고 있지 않다의 소유적 성격의 문장 보다는 ‘-이 있다/-이 없다의 말이 더 자연스럽고 좋다는 의미였던 것 같다. 마찬가지로, (이 부분은 수동/능동의 범주에 드는 주장이겠으나) –로부터 를 통해서 보다는 에게서 으로 등으로 영어의 from through 의 의미를 너무 좁게 보고 옮기지 않는 것이 좋겠다는 주장이 있었고 그 점에 대해서 또한 공감을 좀 했다.

7.       그리 이론적인 혹은 어느 일반론적인 생각 없이 무작정 해 가고 있는 작업이라서 체계도 없고 그렇기는한데, 해 보면서 느끼는 어떤 감들은 좀 생기는 것 같고, 그것이 하나의 예로써 쌓여간다는 느낌도 어렴풋이 든다. 해 보니, 내 언어가 많이 윤활하고 풍성하다면, 그리고 내가 그 점을 주지하고 있다면 위에서의 지적을 곧이곧대로 따르지는 않더라도, 그런 점을 고려해 가면서 적절하게 글을 옮기는 일이 그렇게 어렵지는 않겠다는 생각이 든다. 그리고 실제로, 미미하기는 하지만 갖다 등의 표현은 이리저리 해 보면 다른 말로 쉽게 바꿀 수 있었다. 다른 것은 몰라도 생각을 갖다라는 말은 사실 좀 어색했었다. 생각이 들었다, 생각이 있다 생각하게 됐다. 정도면 충분하지 않나 싶고. 아무튼, 그래서 위의 문장을 결점을 가지고 있다 에서 결점이 있다 정도로 바꾸었다는 소린데, 그 자체는 그닥 큰 의미부여가 필요한 것은 아닌 것 같고 다만 시작했을 때부터 그 점을 고려해 가고 있다는 정도를 기록해 보고 싶었다.

8.       The trouble with 'flourishing' is that animals and even plants can flourish, but eudaimonia is only possible for rational beings. 참고했던 웹문서나 책 모두 flourishing 을 번영으로 옮겨두었었다. 그런데 나는 사람이 주어인데 번영이란 말이 나오는 문장을 그리 자주 읽은 적이 없는 것 같다. 거꾸로 동물과 식물에게 번영이란 말을 쓰는 경우도 많이 보지 못했고. 뒤는 차라리 무성함이나 번성 쪽의 말이 자연스러웠던 것 같고, 앞은 그 사람이 아주 확 피었네, 요즘 (몸도 마음도) 좋은가봐그런 어감이 생각났다. 아무튼 개인의 번영 식물의 번영 모두 좀 어색한 감이 있는 것 같다. 내가 번영이라는 말 자체를 부담스럽게 여겨서 그런지도 모르겠는데 적어도 가문, 개인들로 이루어진 집단, 따라서 어느 특정한 공통된 성공/행복의 의미가 합의된, 그런 경우에 번영을 쓰는 게 아닌가 싶다.  

9.       The trouble with 'happiness', on any contemporary understanding of it uninfluenced by classically trained writers, is that it connotes something subjective. 이 문장에서 약간 걸렸다. Classically trained writers 의 의미 때문이었는데, 처음에는 고전의 저술가들로 봤었고 그렇게 옮겼다가, 나중엔 그것이 아니라 고대의 행복 등의 관념에 익숙한 사람을 뜻하는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에 망설임이 시작됐다. 여기서 고백하면, 나는 번역 자체 보다도 이런 내 안의 망설임을 다스리는데 시간을 거의 다 쓴다. 장고 끝에 악수라고 그러다 오역이나 실수 한 적도 벌써 있고, 어느 땐 좀 그렇게 시간을 쓰고선 결국 맨 처음 했던 걸로 정하네..하고는 기운이 좀 빠지기도 한다. 스물 다섯 번에서 일곱 번 정도로 정해 본 전체의 거의 반이 되어 가는데 아직도 그런 경우 내가 효율적으로, 또 효과적으로 대응할 어떤 근거 같은 것이 잡히는 것 같지는 않다. 이 경우도 꽤 고민을 해 보다가, 결국은 고전을 통해 훈련받은 정도로 애매하게 처리를 했다. Connote 는 함축내포의 의미가 있지만 의미를 띤다로 풀어서 옮겼다.

10.    It is for me, not for you, to pronounce on whether or not I am happy, or on whether my life, as a whole, has been a happy one, and barring, perhaps, cases of advanced self-deception and the suppression of unconscious misery, if I think I am happy, then I am-it is not something I can be wrong about. 여기서는 bar 의 의미 때문에 한 차례 실수를 했다. 나는 저 barring 의 의미를 순간적으로 뒤에 나오는 suppression 과 동일한 것으로 봤고 그래서 그대로 풀었다가 (당연히) 뜻이 통하지 않아서 애를 먹었다. 나중에 사전을 찬찬히 보고서야 barring excluding except 의 의미가 있는 것을 보고 다시 한 번, 어느 정도 뜻이 잡힌다..싶을 때가 더 조심하고 정확하게 번역을 해야 할 함정의 경우일 수 있다는 생각을 했다. 한 가지 더, 뒤의 wrong 의 의미가 내가 행복하느냐의 문제는 맞고 틀림의 문제가 아니다로 보는 것이 좋을지, 아니면 내가 옮긴대로 잘못/잘 생각할 수 있는중 어떻게 옮겨질 때 나은지, 막상 후자로 했지만 올리고 나서 읽으니 이건 내가 틀린다 맞다 할 문제가 아니다로 하는 편이 낫지 않았을까 싶다.  

11.    Contrast my being healthy, or flourishing. Here we have no difficulty in recognizing that I might think that I was healthy, either physically or psychologically, or think that I was flourishing, and just be mistaken. 지난 번에 and/but  등의 접속사을 옮기는 일이 의외로 번번히 어렵다고 적었는데 거기 may 와 같은 조동사도 추가를 해얄 것 같다. May 에 대해서는 일지 모른다 정도, 일 것이다 정도를 알고 아무래도 그쪽으로 먼저 해석이 되는데 이 경우는 해도 좋은지의 의미로 풀어야 더 잘 맞았다. 실제로 일 것이다로 했더니 영 말이 풀어지지 않았었다.

12.    It is all too easy for me to be mistaken about whether or not my life is eudaimonia, not simply because it is easy to deceive oneself, but because it is easy to have the wrong conception of eudaimonia, believing it to consist largely in pleasure, for example. 여기서 다시 그 연습을 했다. Have wrong conception 개념을 가지다말고 뭐가 있을까를 생각해서 골랐고, 사전에서 have 를 펴서 [품다, 갖다, 지니다, 있다, 하다, 붙잡다, 나타나()/유지하다] 등의 말들은 어느 정도 자동번역상태처럼 익혀두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 봤다.

13.    'Well-being' is also a better translation than 'happiness' in this respect, but its disadvantages are that it is not an everyday term and that it lacks a corresponding adjective, which makes for clumsiness. 분야마다 다르리라 생각하는데, ‘윤리 아리스토텔레스 그리고 well being’ 을 열쇳말로 검색했을 때 무척 다양한 말들로 이 말이 옮겨진 걸 확인했다. ‘복지잘 삶및 그 유사한 말들이 다수가 아니었나 싶다. 나는 이 말을 주로 신체적으로 그리고 정서적으로 안녕한 상태, 즉 개인의 좋은 상태로 제일 먼저 파악했었고 well being<<welfare 로 개인과 집단/사회로 단위를 달리해서 느꼈다. 종이사전와 온라인 페이지들을 뒤적이다가 아래의 글을 읽었는데, 참고삼을만 한 것 같아서 옮겨 본다.

14.    Ross ε?δαιμουια 원래좋은 신에 의해 돌보아진(watched over by a good genius) 의미하지만 일반적인 그리스어 용법에서는 번영(good fortune) 의미하며 종종 외적인 번영과 관련하여 쓰인다고 지적한다. 따라서행복(happiness)라는 일반적인 번역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학에서는 적절하지 못하다. 왜냐하면 행복이란 영원, 깊이, 평정의 암시로 인해즐거움과는 구별되지만 감정의 상태를 의미하는 반면, 아리스토텔레스는 ε?δαιμουια 일종의 행위라고 주장하기 때문이다. 다시말하면 비록 즐거움이 행복을 동반하기는 하지만 그것은 어떠한 종류의 즐거움도 아니다. Ross 오해가 적은 ”well-being” 이라는 번역이 적절하다고 주장한다. Aristotle, Sir David Ross, 190p

15.    However, despite the undoubted fact that ‘happiness’ can have this subjective connotation, it does seem that we also have a more objection notion much closer to that of eudaimonia, a notion of ‘true(or real) happiness’, or ‘the sort of happiness worth having’. 마치 일부러, 절대 have 는 갖다의 의미를 쓰지 말아야지..하는 그런 것은 없었고, 이럴 때 여러 번 이것저것 써 보면서 균형감을 갖는 것이 좋을 것 같아서 여기서도 가질만한 가치가 있는 행복을 얻을만한으로 바꾸었다. 그러면서 한 가지 생각해 본 것은 이 경우는 비단 외국어 직역투를 순화하려는 차원에서가 아니라, being happy /have happiness 에서의 have 의 의미가 무엇인가 하는 차원에서 결정되는 것은 아닌가 하는 점이었다. 생각을 말로 잘 풀어야 할텐데 자신은 없고, 아주 간단히 말하면 여기서의 have 는 집과 차와 물건을 가져서, 그것처럼 갖게 되는 행복의 의미가 아니라, 마치 앎처럼 실천->좋은 습관-> 그래서 도달하게 되는 어느 경지의 의미인 것은 아닌가 하는..;;

 

 

16.    We tend to say that someone may be happy, though not worth having’. We tend to say that someone may be happy, though not truly happy, if they are living in a fool’s paradise, or engaged in what we know is pointless activity, or brain-damaged and leading the life of a happy child. When we hope that our children will grow up to be happy and have happy lives, we hope for more than that they will lie around all day in a drug-induced haze of contentment. 누구에게나 잘 안 풀리는 말이 있으리라 생각하는데, 나는 led by 란 말이 나올 때마다 좀 고약스럽다. 어떻게 옮겨도 자연스럽지 않고. 이번에는 두 번 나왔는데 그 때마다 해 놓고서 바꾸기를 아주 여러 번 했고 어느 것도 썩 마음에 들지 않았다. 사소한 부분이지만 밑줄 친 부분의 경우는 빼면 안 될 것 같고 해석을 하자니 수동형으로 하거나 풀어쓰거나 어느 쪽도 일단 하고나면 문장을 느슨하게 만드는 것 같아서 큰 무리가 없다면 빼고 싶은 그런 예였다.

 

 

17.    The second is the concept of a virtue (or vice) itself. 순전히 내가 잘 모르기 때문에 어쩌면 쓸데없는 시간을 썼는지도 모르겠다. 어쨌든 나는 vice 를 꼭 악덕으로 옮겨야만 하는지에 대해서 고민을 했다. 이전의 번역에서 나는 이 말을 부덕으로 옮겼고, 그때 내가 이 말에 대해 떠올렸던 관념은 덕이 없음쪽이 강했다. 그런 사용에 대해서 집에 있는 책 덕의 부활 vice 를 부덕으로 했던 것을 참고로 했다. 그러니까 실제로 나는 그 책의 역자가 부덕이라 할 때의 부덕을 부도덕으로 했는지 악덕의 동의어로 봤는지 아니면 나처럼 덕이 없는으로 봤는지는 모르고서 옮긴 셈이다.  

 

18.    Vice 에 어떤 의미들이 있나 사전을 좀 들여다 봤고, 그 중에서는 밑줄 친 부분에 아무래도 눈이 갔다. 하지만 아직도 vice 가 사전적 의미를 몰라서가 아니라 덕없음이 아닌 악덕으로 옮겨져야 하는 근거를 완전하게는 이해를 잘 못하겠다. 악덕이라고 할 때는 내 고정관념 때문인지는 몰라도 죄의 어감을 강하게 느껴서 어물쩡 생각이 그랬던 것 같다. 

 

19.    vice1 n. An evil, degrading, or immoral practice or habit. //Sexual immorality, especially prostitution.//A flaw or imperfection; a defect. //A physical defect or weakness//An undesirable habit, such as crib-biting, in a domestic animal. //A character representing generalized or particular vice in English morality plays.

 

 

20.    Suppose someone were described as having the virtue of honesty. What would we expect them to be like? Most obviously (1)we expect reliability in their actions; they do not lie or cheat or plagiarize or casually pocket other people’s possessions. You can rely on them to tell you the truth,(2) to give sincere references, to own up to their mistakes, not to pretend to be more knowledgeable than they are; you can buy a used car from them or ask for their opinion with confidence. In thinking about virtues, many people stop here-(3)or indeed, rather earlier, (4) with just a couple of examples-and are thereby led to describe the virtues as no more than mere tendencies to act in certain ways, perhaps in accordance with a rule. 

21.    (1)을 풀 때 시간이 좀 걸렸다. 하지만 앞이 좀 자연스럽고 괜찮은 문장을 고른다고 시간을 쓴 것이라면 (2) 는 그 정확한 뜻을 무엇으로 정할 지 몰라서 그랬다. 맨 처음 저 문장을 봤을 땐 그 사람 어때?’ 하고 물었을 때 정직하게 평가해준다의 의미로 봤고, 그런데 그런 고용이나 입학사정 시의 조회하는 의미는 아닌 듯해서 그 말을 일반적으로 풀어서 적었다. 확인차 웹문서 검색을 했을 때, 내가 본 글 대부분은 신원조회 또는 참고인이 되어주다의 의미로 나와 있었다. (3) 에서는 역시 and but 처럼 or 도 어느 하나로만 말을 풀지 않도록 몇 가지 의미를 암기할만하도록 익혀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또는 혹은 아니면 도 있지만, 사전에서 보고서, 아 맞네, 그런 말이 있었지..했던 것이 아니였다. (4) 가 좀 헛갈린다. 처음에는 쉽게 겨우 몇 개의 예만 보고서 멈추고 만다로 했다가, 지난 번의 for all 생각이 나서 with 의 다른 의미를 생각해 보고 사전을 찾았더니, 2 [관계 입장] 해서[대해서]; 있어서는, 경우 의 말이 있어서, 그렇다면 몇 개의 예의 경우는 그보다도 일찍 멈추고 만다로 해야 하는지 그만 헛갈렸다. 한참 생각하다가 just 에 의미를 부여하고서 원래 했던 대로 옮기기는 했다. thereby 는 경우에 따라  굳이 옮기지 않아도 된다는 생각을 볼 때마다 하면서도 꼭 옮기게 된다.

22.  지난 번 작업과 관련해서, 추가로 Aristotelian 에 대해 아리스토텔레스의 추종자라는 말로 푸는 것도 한 방법이겠다는 생각을 웹문서 읽다말고 했다. (내가 읽었던 예: 맥킨타이어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단순한 추종자가 아니다.) many 를 대다수라고 무심코 옮겼는데 majority many 일 수는 있겠지만 many majority 는 아닌 듯해서 앞으로는 다수나 많은으로 하려고 한다.

 

23.    아래의 둘은 번역과 상관없는 몇 마디. 옮기다 말고 잠시, 요즈음의 황우석 교수의 이번 사안에서 드러나는 (그 상황을 무엇이라고 제목을 달아야 하는지부터 문제라는 생각도 드는데) 현상들, 기본은 서로 다 잘되자/번영/잘 삶을 향하고 있는 주장들일텐데 그 점들을 공리주의적인 혹은 덕의 관점 어디서 보는 윤리고 선인가로 따져보면 나에게 좋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했다. 현재는 공리주의도 덕 윤리학도 잘 모르니 가능하지 않은 생각이겠지만. 며칠 전에 마이페이퍼에 문구를 옮겼었는데 중요한 결정과 판단일수록 선택지를 늘여서, 대안을 넓혀가며 생각해 보라던 저자의 주장도 오늘 다시 생각났었다.

 

24.    어제 올렸던 노래 제목은 Don’t just do something 이었다. 길게 적기도 했지만, 노래 제목 자체로 기록으로서는 충분하겠다는 생각이 든다. 어제 오늘은 아무래도, 한 반, 거기 조금 못미치게 했다는 마음에 코를 박고 있다 말고 잠시 고개를 들어 저쪽도, 주위도, 바람인지 그러리란 믿음인지 다만 추측인지 모를 것들을 둘러봤던 것 같다. 날 멈추게 하던 그 상념들은 하지만, 끝에는 다 나는 왜 여기서 이걸 하려고 했지…’ 의 질문으로 흘러가지 않았나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e first is the concept of eudaimonia, usually translated as 'happiness' or 'flourishing' and occasionally as 'well-being'. Each translation has its disadvantages. The trouble with 'flourishing' is that animals and even plants can flourish, but eudaimonia is only possible for rational beings. The trouble with 'happiness', on any contemporary understanding of it uninfluenced by classically trained writers, is that it connotes something subjective. It is for me, not for you, to pronounce on whether or not I am happy, or on whether my life, as a whole, has been a happy one, and barring, perhaps, cases of advanced self-deception and the suppression of unconscious misery, if I think I am happy, then I am-it is not something I can be wrong about. Contrast my being healthy, or flourishing. Here we have no difficulty in recognizing that I might think that I was healthy, either physically or psychologically, or think that I was flourishing, and just be mistaken. In this respect, 'flourishing' is a better translation of eudaimonia than 'happiness'. It is all too easy for me to be mistaken about whether or not my life is eudaimonia, not simply because it is easy to deceive oneself, but because it is easy to have the wrong conception of eudaimonia, believing it to consist largely in pleasure, for example. 'Well-being' is also a better translation than 'happiness' in this respect, but its disadvantages are that it is not an everyday term and that it lacks a corresponding adjective, which makes for clumsiness.

첫째는 보통 ‘happiness-행복 ‘flourishing-행복 때때로 ‘well-being-행복으로 옮겨지는 eudaimonia 라는 개념이다.  어느 것이든 제각기 번역상의 불리함이 있다. eudaimonia flourishing-행복이라고 옮기게 되면 심지어  식물들조차 무성하게 자랄 있지만, eudaimonia 오로지 이성적 존재에게만 가능한 개념이라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happiness-행복이라 번역할 때의 문제는 전을 통해 교육받는 저자들의 영향을 받지 않은, 행복에 관한 모든 현대적인 이해는 주관성을 띤다는 것이다. 행복한가 아닌가, 혹은 삶이 전반적으로 행복한 삶이 되고 있는가 아닌가를 판단하는 것은 나지 네가 아니다. 그래서 고도의 자기기만과 무의식적인 고통의 억압이라는 경우를 배제한다면, 나는 내가 행복하다고 생각하면 행복한 것이다. -이것은 내가 뭔가 잘못일 있는 종류의 것이 아니다. 나의 건강함 또는 있음과 대조해보자. 우리는 내가 육체적, 정신적으로 건강하다고 생각해도 좋은지, 또는 지내고 있다고 생각해도 되는지 좋은지, 아니면 단순히 착각하고 있는지를 인지하는데 아무런 어려움이 없다. 이런 점에서 ‘flourishing-행복 ‘happiness-행복보다 eudaimonia 받는 나은 번역이다. 나는 너무  쉽게 나의 삶이 행복한가 아닌가에 대해 잘못된 판단을 한다. 이유는 내가 단순히 자신을 속이기 쉬워서가 아니라 예컨대, 행복은 주로 쾌락에 있다고 믿는 eudaimonia 대한 잘못된 생각을 품기가 쉽기 때문이다. 점에서는 ‘well-being-행복 ‘happiness’ 보다 좋은 번역이겠으나   말은 그것이 일상적인 말이 아니라는 점과 상응하는 형용사가 없어서 쓰기 불편하다는 불리함이 있다.   

 

However, despite the undoubted fact that ‘happiness’ can have this subjective connotation, it does seem that we also have a more objection notion much closer to that of eudaimonia, a notion of ‘true(or real) happiness’, or ‘the sort of happiness worth having’. We tend to say that someone may be happy, though not worth having’. We tend to say that someone may be happy, though not truly happy, if they are living in a fool’s paradaise, or engaged in what we know is pointless activity, or brain-damaged and leading the life of a happy child. When we hope that our children will grow up to be happy and have happy lives, we hope for more than that they will lie around all day in a drug-induced haze of contentment.

 

그러나, ‘행복이라는 말에 이렇게 주관적인 의미가 담길 있다는 확실한 사실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위에 eudaimonia 개념에 훨씬 가까운 보다 객관적인, ‘(또는 진정한) 행복true happiness’  또는 얻을만한 가치가 있는 행복이라는 개념을 가지고 있는 같다. 우리는 만일 사람들이 덧없는 행복의 환상 속에 살고 있거나, 우리가 알고 있는 무의미한 일에 빠져 있거나,  또는 뇌의 손상을 입거나 해서 그들의 삶이 행복한 어린 아이의 그것에 이르게 경우 비록 진정한 행복은 아닐지라도 아마도 그들은 행복해하는지 모른다고 말하는 경향이 있다. 우리가 우리의 아이들이 행복하게 자라서 행복한 삶을 살게 되기를 희망할  , 우리들은 아이들이 약물에 취한 몽롱한 만족감에 젖어 하루를 빈둥거리게 되는 이상을 바란다.          

 

The second is the concept of a virtue (or vice) itself. Suppose someone were described as having the virtue of honesty. What would we expect them to be like?

Most obviously we expect reliability in their actions; they do not lie or cheat or plagiarize or casually pocket other people’s possessions. You can rely on them to tell you the truth, to give sincere references, to own up to their mistakes, not to pretend to be more knowledgeable than they are; you can buy a used car from them or ask for their opinion with confidence. In thinking about virtues, many people stop here-or indeed, rather earlier, with just a couple of examples-and are thereby led to describe the virtues as no more than mere tendencies to act in certain ways, perhaps in accordance with a rule. 

 

번째는 (또는 악덕) 개념이다. 정직함의 덕이 있다는 평을 듣는 사람들을 가정해 보자. 우리는 사람들이 어떨 것이라고 예상하는가

가장 분명하게 우리는 그들의 믿음직한 행위를 예상한다. 사람들은 거짓을 말하거나, 속임수를 쓰거나, 남의 것을 도용하거나, 다른 사람의 물건을 슬쩍하지 않는다. 당신은 그들이 당신에게 진실을 말하며, 솔직한 답변을 주고, 실수에 대해 숨김없이 인정하며, 알고 있는 것보다 많이 아는 것처럼 굴지 않을 것을 신뢰할 있다. 그래서 당신은 사람들에게서 중고차를 구입하거나 확신을 가지고 그들의 의견을 물을 있다. 덕을 고려함에 있어서, 많은 사람들이 여기서, 아니 실제로는 단지 개의 예를 들면서 이보다 일찍 멈춘다. 그렇게되면 덕은 어느 특정한 방식으로, 아마도 규칙에 따라 행동하려는 경향에 불과하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e first is the concept of eudaimonia, usually translated as 'happiness' or 'flourishing' and occasionally as 'well-being'. Each translation has its disadvantages. The trouble with 'flourishing' is that animals and even plants can flourish, but eudaimonia is only possible for ratinoal beings. The trouble with 'happiness', on any contemporary understanding of it uninfluenced by classically trained writers, is that it connotes something subjective. It is for me, not for you, to pronounce on whether or not I am happy, or on whether my life, as a whole, has been a happy one, and barring, prehaps, cases of advanced self-deception and the suppression of unconscious misery, if I think I am happy, then I am-it is not something I can be wrong about. Contrast my being healthy, or flourishing,. Here we have no difficulty in recognizing that I might think that I was healthy, either physically or psychologically, or think that I was flourishing, and just be mistaken. In this respect, 'flourishing' is a better translation of eudaimonia than 'happiness' . It is all too easy for me to be mistaken about whether or not my life is eudaimon, not simply because it is easy to decieve oneself, but because it is easy to have the wrong conception of eudaimonia, believing it to consist largely in pleasure, for example. 'Well-being' is also a better translation than 'happiness' in this respect, but its disadvantages are that it is not an everyday ter, and that it lacks a corresponding adjective, which makes for clumsiness.

 

However, despite the undoubted fact that ‘happiness’ can have this subjective connotation, it does seem that we also have a more objection notion much closer to that of eudaimonia, a notion of ‘true(or real) happiness’, or ‘the sort of happiness worth having’. We tend to say that someone may be happy, though not worth having’. We tend to say that someone may be happy, though not truly happy, if they are living in a fool’s paradaise, or engaged in what we know is pointless activity, or brain-damaged and leading the life of a happy child. When we hope that our children will grow up to be happy and have happy lives, we hope for more than that they will lie around all day in a drug-induced haze of contentment.

 

The second is the concept of a virtue (or vice) itself. Suppose someone were described as having the virtue of honesty. What would we expect them to be like?

 

Most obviously we expect reliability in their actions; they do not lie or cheat or plagiarize or casually pocket other people’s possessions. You can rely on them to tell you the truth, to give sincere references, to own up to their mistakes, not to pretend to be more knowledgeable than they are; you can buy a used car from them or ask for their opinion with confidence. In thinking about virtues, many people stop here-or indeed, rather earlier, with just a couple of examples-and are thereby led to describe the virtues as no more than mere tendencies to act in certain ways, perhaps in accordance with a rul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