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t this is not the Aristotelian concept. Despite a few awkward exceptions (friendship, gratitude), a virtue is generally held to be a character trait, a state of one’s character. If you have the virtues of, say, generosity, honesty, and justice, generous, honest, and just is the sort of person you are. Clearly, one can give the appearance of being a generous, honest, and just person without being one, by making sure one acts in certain ways. And that is enough to show that there is more to the possession of a virtue than being disposed to act in certain ways; at the very least, one has to act in those ways for certain sorts of reasons. But, in fact, we think of such character traits as involving much more than tendencies or dispositions to act, even for certain reasons.

 

그러나 이것은 아리스토텔레스적 개념이 아니다. 곤란한 몇 개의 예외가 있기는 해도(우정, 감사), 덕은 대체로 일종의 성격적 특성, 즉 한 사람의 인격적 특성으로 파악된다. 만일 당신에게, 이를테면, 너그러움, 정직,  그리고 정의의 덕이 있다면, 너그럽고 정직하고 정의롭다는 것은 당신이라는 사람의 성품이 되는 것이다. 분명히, 사람은 실제로 그런 덕있는 사람이 되지 않고서 도 일정한 방식으로 행동을 확실히 함으로써 관대하고 정직하고 정의감있는 사람이라는 인상을 줄 수 있다. 그것은 덕을 지니는 것이 특정한 방식으로 행동하려는 성향 이상의 것임을 충분히 보여준다. 적어도 사람은 어떤 이유에서 그런 방식에 따라 행동을 취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렇지만 우리는 실제로, 어떤 이유에서라도,  성격은 행위의 경향이나 성향 이상을 의미한다고 생각한다.     

 

For example, we think of honest people as people who tend to avoid the dishonest deeds and do the honest ones in a certain manner-readily, eagerly, unhesitatingly, scrupulously, as appropriate. They hasten to correct a false impression their words have led you into which would be to their advantage; they own up immediately without waiting to see if they are going to be found out; they give voice to the truth everyone else fears to utter; they are concerned to make sure you understand what you are singing or agreeing to do for them.

 

예를 들어, 우리는 정직한 사람이란 부정한 행위를 피하려고 하고, 정직한 행동을 이런 어떤 방식, 기꺼이, 열심히, 확고히, 철저히 하는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사람들은 자신들에게 유리하게끔 말한 것에 대해서 그런 인상을 서둘러 바로잡고자 하며, 자신의 오류가 발견되는지를 지켜보지 않고 즉각 잘못을 털어 놓으며, 남들이 말하기 두려워 하는 진실을 표명하고, 자신들을 위해 하겠다면서 서명이나 동의 중인 것을 당신이 이해하고 있는지 확실히 두려고 한다.    

 

We expect a reliability in the actions that reflect their attitude to honest, too. We expect them to disapprove of, to dislike, and to deplore dishonesty, to approve of, like, and admire honesty, and so we expect them in conversation to praise or defend people, real or fictitious, for their honesty, to avoid consorting with the dishonest, to choose, where possible, to work with honest people and have honest friends, to be brining up their children to be honest. Where relevant, we expect them to uphold the ideals of truth and honesty in their jobs; if they are academics, to be resistant to fashion and scrupulous in their research; if they are teachers, to resist pressure to teach what they do not believe, or if doctors to defend the importance of trust between doctor and patient, or if in business, to resist sharp practice and argue for honesty as the best policy.

 

우리는 또한 그 사람들의 정직함에 대한 태도가 반영된 신뢰성 있는 행동을 예상한다. 리는 사람들이 부정을 반대하며, 싫어하고, 통탄하리라 생각하고, 정직을 찬성하며, 좋아하고, 높이 생각하리라 생각한다. 그래서 우리는 사람들이 실제 사람이건 가상의 인물이건 그들의 정직함에 대해 칭찬이나 옹호의 말을 하고, 부정에 연루될 기회를 기피하고, 정직한 사람들을 선택하고, 가능한 그런 사람들과 일하며, 정직한 친구들을 사귀고, 자식들이 정직한 사람으로 자라도록 기를 것이라고 기대한다. 이어지는 맥락에서, 우리는 그들이 자신들이 종사하는 일에서 진실과 정직의 이상을 지켜가리라고 생각한다. 만일 학자라면, 유행을 뒤쫓지 않으며 양심적으로 연구를 하고, 선생이라면, 스스로 믿지 않는 바를 가르치라는 압력에 굴하지 않고, 의사라면, 의사와 환자 사이의 신뢰의 중요성을 옹호하고, 사업가라면 화려한 정책에 신경쓰지 않고 정직이 최상의 방책임을 주장하리라 기대한다.

   

And this spills over into the emotions we expect from them. We expect them to be distressed when those near and dear to them are dishonest, to be unresentful of honest criticism, to be surprised, shocked, angered (as appropriate) by flagrant acts of dishonesty, not to be amused by certain tales of chicanery, to despise rather than to envy those who succeed by dishonest means, to be unsurprised, or pleased, or delighted (as appropriate) when honesty triumphs.

 

그리하여, 우리의 기대는 넘쳐 그들의 감정으로까지 흘러간다. 우리는 사람들이 가깝고 소중한 이들의 정직하지 못한 모습을 괴로움을 느끼고, 솔직하게 제기된 비판에 복수심을 품지 않으며, 부정직한 꼴사나운 행동에 놀라고, 충격받고, 분노하며, 그럴듯한 궤변에 놀아나지 않고, 부정한 수단으로 성공한 이들을 부러워하기는 커녕 오히려 경멸하고, 정직함이 승리할 당연하다 여기거나, 만족스러워하거나, 기뻐하리라 생각한다.    

 

Finally, we may not actually expect, but may notice, if we are fortunate enough to come across someone thoroughly honest, that they are particularly acute about occasions when honesty is at issue. If we are less than thoroughly honest ourselves, they put us to shame, noticing, as we have failed to do, that someone is obviously not to be trusted, or that we are all about to connive at dishonesty, or that we are all allowing someone to be misled. As Stephen Hudson has rightly remarked: The unity of character is extremely labyrinthine. It couples systematically a person's values, choices, desires, strength or weakness of will, emotions, feelings, perceptions, interests, expectations and sensibilities.

 

마지막으로, 아마도 우리는, 만일 우리에게 완벽하게 정직한 사람을 발견할만큼의 행운이 있다면 사람들이 정직함이 문제시 되는 특히나 매사에 엄격하다는 것을 예상이 아니라 깨달음으로 알아차리게 것이다. 만일 우리가 완전하게 정직한 우리 자신에 미친다면, 그들은 우리에게 지금까지 우리 스스로 인지하지 못했던 , 누군가를 분명하게 믿지 못하거나 부정을 묵인하려 들거나, 누군가가 잘못된 길로 가는데도 내버려 두고 있다는 것을 알려주면서 우리를 부끄럽게 것이다. 스테판 허드슨 Stephen Hudson 정확하게 말한 것처럼, ‘인격의 통일은 지극히 복잡하다. 그것은 사람의 가치, 선택, 욕구, 의지의 강점과 약점, 감정, 느낌, 인식, 관심, 기대와 감수성이 체계적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