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나들이 - 쓰면서도 잘 모르는 생활 속
MBC 아나운서국 우리말팀 엮음 / 시대의창 / 2005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내가 가장 좋아하는 TV 프로그램은 상상플러스 올드 앤 뉴 이다. 우리말의 아름다움도 느낄 수 있고 무엇보다 사라져 가는 우리말이 이 프로그램을 통해서 생명을 되찾는 느낌이 들어서 참 좋아한다. 요즘 들어서는 영화 홍보의 장으로 사용되거나 문제 풀기 전에 일부러 비어나 속어들을 함부로 사용하는것 같아 눈살이 찌뿌려 지지만 본래의 취지나 우리말 되살리기에 큰 공을 세우고 있다는것은 부인할 수 없기에 여전히 내게는 최고의 프로그램이다. 그런데 잘 생각해보면 하루에 한번 그것도 약 3분 에서 5분 정도 방송 되는 각 방송사들의 우리말 나들이, 바르고 고운 말 등이 이 프로그램의 시작이 아니였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이 책을 펴는 순간 내 머릿속에는 어느새 이거 상상 플러스에 보내볼까? 하는 생각이 먼저 들 정도였다. 또 상상 플러스에서 방송된 말들도 몇몇 눈에 띄었다.

책을 읽으면서 내가  잘못 사용하거나 잘못 발음하고 있었던 우리말들이 참 많은 것을 알게 되었다.

잘못 사용하는 말                                                       바르게 고친 말

남사스럽다                                                               남세스럽다 (남우세스럽다)
빼꼼하다                                                                   빠금하다
입맛을 돋구다                                                         입맛을 돋우다
새털같이 많은 날                                                    쇠털 같이 많은 날
애기                                                                           아기 (아가)
금슬                                                                           금실
시라소니                                                                   스라소니
부시럭                                                                       부스럭
바램                                                                           바람
두리뭉실                                                                  두루뭉술하다
엄한 사람                                                                 애먼 사람
찌뿌둥하다                                                              찌뿌듯하다
꺼림직하다                                                              꺼림칙하다
그리고 나서                                                            그러고 나서
괜시리                                                                      괜스레
핼쓱하다                                                                  핼쑥하다
금새                                                                          금세
허구헌 날                                                                 허구한 날
단촐하다                                                                   단출하다

잘못 발음한 말                                          바르게 발음한 말

깡소주 깡보리밥                                       강소주 강보리밥
떨어진 물건을 줏을까요?                       떨어진 물건을 주을까요?
끝이[끄시] 끝을[끄슬]                               끝이[끄치] 끝을[끄틀]
빚이 많다 [비시]                                        빚이 많다 [비지]
전기가 끊기다[끈기다]                             전기가 끊기다[끈키다]
맑다[말따] 맑고[막꼬] 맑지[말찌]            맑다[막따] 맑고[말꼬] 맑지[막찌]
깊숙이[깁쑤키]                                          깊숙이[깁쑤기]
굵직굵직[굴찍굴찍]                                  굵직굵직[국찍국찍]

전체적으로 두 꼭지로 나누어져 있는데 첫번째 꼭지는 방송했던 우리말들로  발음이나 잘못 사용하고 있는 우리말을 바르게 고쳐주었고, 두번째 꼭지는 사라져가는 우리말에 대해서 실어 놓았다. 전에 백석 시인의 시집을 읽으면서도 느낀거지만 우리 고유의 말들을 보면 아니 들어보면 참 부드럽고 아름답다고 느껴진다. 지금 우리가 사용하는 말들은 잘못 사용되고 변형되어서 된소리가 참 많이 들어가는데 그런 된소리가 거의 없다. 실생활에서도 자주 사용하여 사람들사이의 관계를 좀 더 부드럽게 만들며 살았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암니 옴니 : 다 같은 일인데 자질구레하게 어금니 앞니 따진다는 뜻으로, 아주 자질구레한 것을 이르는 말
저어하다  : 염려하거나 두려워하다
발맘발맘  : 남의 뒤를 살피면서 한 발 한 발 뒤따르는 모양
사부작사부작 : 별로 힘들이지 않고 계속 가볍게 행동하는 모양
마기말로  : 실제라고 가정하고 하는 말로 = 만약, 만일
해찰스럽다 : 일에는 마음을 두지 아니하고 쓸데없는 다른 짓을 하려는 데가 있다
애면글면 : 몹시 힘에 겨운 일을 이루려고 갖은 애를 쓰는 모양
은결들다 : 원통한 일로 남모르게 속이 상하다
홈홈하다 : 얼굴에 흐뭇한 표정을 띠고 있다
매골 : 축이 나서 못쓰게 된 사람의 모습 = 폐인
초름하다 : 마음에 차지 않아 내키지 않다
시쁘다 :  마음에 차지 않아 시들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