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모 비룡소 걸작선 13
미하엘 엔데 지음, 한미희 옮김 / 비룡소 / 1999년 2월
평점 :
품절


세상이 어지러울 정도로 빨라 산속에서 혼자 흙집을 짓고 사는 분을 알고 있다. 전화로 질문을 하면 편지로 답신을 보내오시는 분이고, 햇빛이 있을 때에만 활동하시기 때문에 저녁7시면 하루종일 가장 수고한 발을 정성스레 닦고 저녁식사를 한 후 백열등 아래 편지를 쓰거나 책을 읽으시고 9시면 잠자리에 드시는 분이다. 두달에 한번 전기세를 3천원 정도를 내신다고 하고, LPG 가스는 2년만에 처음 교체했다고 하신다. 난로에 천천히 밥을 하고 국을 끓이시는 그 분.. 나는 그 분이야 말로 느림을 몸소 실천하며 사시는 분이라고 생각해왔다. 모모를 읽으면서 이 분이 모모를 참 많이 닮아 있구나... 라는 생각이 들었다.

모모를 읽으면서 가장 와 닿았던 부분이 있다. 카시오페아와 모모가 호라 박사가 계신 곳을 가기 위해 이동하는 중에 빨리가면 느려지고 느리게 가면 빨라지는 구간이 있었는데  난 이 부분에서 미하엘 엔데가 우리에게 전해주고자 하는 메시지가 무엇인지 알 수 있었다. 느림, 여유, 더불어 삶 바로 이러한 것들을 이야기 하고 싶었던 거다.

지금 잠시 숨을 고르고 뒤를 한번 되돌아 보면 세상이 얼마나 빠르게 지나가는지 알 수 있다. 불과 7-8년전만 해도 삐삐는 최첨단의 산물이였다. 그러나 지금 아직도 삐삐 사용하는 사람이 있느냐? 라고 물을 지경이다. 우리나라 인터넷 사용자들이 웹페이지가 넘어갈때 다시 클릭 안하고 참으며 기다릴 수 있는 한계가 3초에서 2초로 줄어 들었다고 한다.  우표값이 얼마인지 아는 사람도 드물고 e-mail의 영향으로 크리스마스면 북적이던 카드 코너도 예전에 비해 확연히 줄어든 모습이다. 무엇이 이토록 우리에게 빠르게 빠르게를 강요하는 것일까? 정말 회색신사들이 우리의 시간을 잡아 먹고 있는 것일까?

모모를 읽으며 숨을 고르게 되었다. 그리고 느리게 산다는 것의 의미를 생각하게 되었다. 느리게 산다는 것은 게을러지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시간을 자신에 맞게 잘 활용하며 사는 것이다.  타인이 시간을 이렇게 쓴다하여 좇아가는 것이 아니라 타인이 이렇게 해서 성공했다! 하여 그 비결을 좇아 가는 것이 아니라 자신만의 기준으로 자신이 가장 좋아하고 즐거워하는 것을 하며 시간을 보내는 것! 그것이 바로 느리게 사는 진정한 비법인 것이다. 모모와 함께 미소짓고 행복해 하는 이들을 보면서 나의 삶도 너무 성공한 사람만 좇아가다가 가랭이 찢어질 짓 하지말고 내가 가장 좋아하는 것을 하며 행복하게 살아야겠다고 다짐하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