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란 무엇인가?
문화는 곧 일상이 아닐까 싶다.
솔직히 전에는 문화란 것을 좀 어렵고 나와는 거리가 관계가 먼 거라고 여겼는데
우리 일상에 문화라는 말만 붙이면 그게 바로 문화가 되는것 같아요
인터넷 문화, 디카족 또는 디지털 문화, 독서 문화, 화장실 문화까지...
우리의 일상만큼이나 문화는 다양한 형태를 띠고 있는거 같아요


문화는 어떤것이어야 하는가?
글쎄요 딱! 문화란 이래야한다! 라는 정형화된 것은 없다고 생각해요
그런데 제가 여기 계신 다른분들처럼 작가 또는 예술계통 종사자도 아닌 일반인의 입장에서 봤을때  
문화란 이래야 한다의 가장 첫번째 멀리 있지 않아야 한다라고 생각해요
제가 즐거운 문화읽기를 보면서 가장 기뻐하며 봤던 순간을 꼽는다면 2004년 3월에 방송했던 자사호에 관련된
방송인데요 자사호와 관련해서 차문화에 대해 다루었는데요  그때 박성봉 선생님께서 월간 다도 편집장님에게
일회용 종이컵에 마시는 녹차를 우리는 흔히 마시는데 그것도 좀 더 음미하면서 마실수 있는 방법이 없느냐 라고
여쭤봤거든요 그때 편집장 님께서 80도 정도의 물에 2분정도를 울어내고 두번 세번 계속해서 마시면 우주의
일부분을 마시는거다! 그런 말씀을 해주셨어요 그리고 김지은씨께서 관심을 가지고 마시면 그냥 차한잔 마시는게
아니라 문화를 마시는거다! 그런말을 했거든요 (너무 기억력이 좋은가? ^^:;) 그 방송을 보면서 비싼 자시호에 차를 우려내어
먹는것도 차문화이지만 이렇듯 멀지 않은곳에 있는것이 문화!! 이구나
그래서 문화란 종이컵과 녹차티백만큼이나 가까워야 한다고 생각해요 ^^


우리 시대 우리 사회에서 문화란 어떤 위치에 놓일 수 있는가?
문화적인 수준을 말하는건가요? 저는 그것을 논하는 입장은 안되구요 보통의 사람들이 말하는
문화를 말하자면 아직은 사치품 쯤으로 여기는 사람들이 굉장히 많아요
저도 그중 한명이였구요! 그러니까 의식주가 해결되고 나면 그 다음에 할수 있는것이 바로 문화또는 문화생활이라고 생각을 하죠
그렇지만 즐거운 문화읽기 114회를 함께 하면서 문화란 의식주와 함께 하는것이다라는것을 깨달았어요
주거문화. 음식문화, 의복문화 이렇게 말하는 것처럼 화는 의식주를 상위하는것이 아니라 동등선위에 있다는것이죠


문화는 정말 즐거운 것인가?
문화는 즐거운게 맞죠! 하지만 처음부터 계속 말해왔듯이 문화는 일상이거든요
일상에서 기쁜일만 있을수는 없죠 슬픈일도 있을수 있고, 아픈일도 있을수 있고..
문화에 있어서 중요한건 지금 처한 상황이 아니라  문화를 대하는 태도인거 같아요.
함민복 시인은 참 가난하시더라구요 그런데 손바닥만한 화분 두개를 사놓으시고는 당신이 소유한 유일한 땅이라면서
참 기뻐하시더라구요
그런것을 보면서 문화라는것은 어떻게 마음을 쏟느냐에 따라 즐거울수 있는거 같아요


문화가 즐겁기 위해서 어떤 과제가 선결 돠어야 할것인가?
무엇이든 그것을 교육이라고 생각하면 참 재미가 없는거 같아요
문화 교육을 합니다. 오셔서 보세요~ 라고 하면 너무 딱딱해지고 또다시 한걸음 뒤로 주춤하게 되죠
생활속에서 자연스럽게 묻어나는 여러형태의 문화들을 자주 보여주고 일상의 문화들이 가치가 없는것이 아니라
미술작품이나 문학작품 또는 공연작품과는 또 다른 형태의 문화라는것!을 자꾸 이야기해주면 문화가 가볍고 가깝고 즐겁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이런것들이 먼저 해결되면 미술이나 그보다 더 어렵고 또 복잡한 문화에 대해서도 거부반응 없이 다가갈수 있을꺼라고 생각해요


문화 프로그램과 문화의 관계
제가 1회부터 정말 열심히 즐거운 문화읽기를 보면서 너무 즐겁고 많이 배운점은 문화라는것이 어렵지 않다는것이였어요
돈이 많이드는것도 아니고 나와 아주 상관없는것도 아니라는거였죠
이 프로를 통해서 생활이 모두 문화라는 생각을 가지면서 무엇을 하든지 뭐 청소를 하든지 설것이를 하든지..ㅋ.
참 정성껏 하게 되었고 미술, 음악, 공연,책 문화도 아주 가까워졌답니다.
전에는 주말에 인사동에 술이나 전을 먹으러 갔다면 지금은 일단 갤러리 먼저 둘러보고 여유가 되면 차한잔 하는 그런
시간을 갖게 되었죠
몰라서 못하는 경우가 참 많아요
예전에 컴퓨터 길라잡이라는 책이 있었거든요 초보자용 중급자용 전문가용 이런식으로 나누어져서
저는 문화 프로그램이 문화 길라잡이의 역할을 해줘야 한다고 생각해요 초보자용 으로 말이죠
초보자들이 문화에 눈을 뜨면 문화 전도자가 될테고 그럼 문화에 대한 인식과 생각들이 한층 성숙해지겠지요
그럼으로 문화 프로그램의 역할은 참 중요합니다.
절대로 문화프로는 한 계층에 국한되면 안되구요 사회 전반적인 이야기를 조금씩 다루어낼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 합니다.
그런면에서 가끔 2580 분위기를 내기도 했던 즐거운 문화읽기는 독보적이고 최고의 프로그램이죠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