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라임 오렌지나무 - MBC 느낌표 선정도서, 보급판
J.M 바스콘셀로스 지음, 박동원 옮김 / 동녘 / 2003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어릴적 이희재 선생님의 만화로 처음 접했던 나의 라임 오렌지 나무를 드디어 책으로 읽었습니다. 너무 늦게 읽었나요... 이희재 선생님께서 원작의 감동을 그대로 얼마나 잘 만화로 옮겼는지 알수 있게 되었고 나의  라임 오렌지 나무는 어떤것으로 읽어도 그 감동만은 어쩔수 없음도 알게 되었습니다. 저는 이 책의 안쪽 표지에 [어린 시절의 꿈을 꾸다] 라고 적어놓았습니다. 저는 책을 읽고 난 후에 또는 읽기 전에 이렇게 표지에 글을 쓰는 습관이 있습니다. 결혼 전에는 거의 모든 책에 이렇게 글을 썼는데(어떤 의미에서의 내 책이다! 라는 표식같은 거였지요) 결혼 후에는 잘 안써지더군요. 아무래도 남편과 함께 하는 책이고 공동 소유이다 보니 그러한가 봅니다. 아무래도 어린 시절의 꿈을 꾸다..라는 글을 쓴건 책을 읽기 전이였던거 같습니다. 어린 시절 보았던 그 악동이를 닮은 제제..그 제제가 보고싶단 의미가 컸던것 같습니다. 실제로 나의라임 오렌지 나무의 어린 시절은 꿈을 꿀만한 넉넉함이 없습니다. 글로리아 누나에게 맞고 또또가 형에게 맞고 아버지에게 허리띠로 맞고... 그에게 꿈이라면 꿈이랄까..그것을 가능케 하는건 오롯이 밍기뉴와 뽀르뚜가 아저씨뿐이였습니다. 그마저도 제제가 어른이 되기전에 아직 꿈을 더 크게 가지기도 전에 사라져 버립니다.

제제와 함께 있다보면 뒷목이 뻣뻣해오고 목구멍이 자주 매캐해집니다. 혼자 책상 머리에 앉아 제제 때문에 우는 모습을 아무에게도 보여주고싶지 않아 참다보면 점점더 뒷목이 당겨옵니다. 그냥 소리내어 울고 맙니다. 사실 나의 어린시절도 그다지 꿈을 꾸기에는 버거운 날들이였습니다. 제제에 비해 짖궂은 장난은 하지 않았기에 야단 맞는 일은 많지 않았지만 너무나 가난했기에 단 한번도 산타클로스나 크리스마스 선물에 대해 생각하지 못하고 어른이 되었습니다. 얼마전 본 영화 폴라 익스프레스를 보면서 나이  서른이 된 이 나이에 산타클로스가 믿고 싶어졌습니다. 어린 시절 단 한번도 성탄절에 찾아와주지 않았던 산타클로스를....

예전에 톰소여의 모험을 읽고 난 후 그의 어른된 모습이 많이 궁금했더랬죠. 제발 아주아주 잘 자랐기를 바라면서... 제제.. 잘 살고 있겠죠? 그는 작가가 된걸까요?  멋진 차를 끌고 뽀르뚜가 아저씨가 제제에게 했던 것처럼 또 다른 제제에게 꿈을 꾸게 도와주고 있을까요? 꼭 행복했으면 좋겠습니다. 그 아픈마음 다 치유되고 멋진 어른으로 자신의 어린 아들 딸에게 밍기뉴 한그루를 선물해주는 멋진 어른이 되어있었으면 좋겠네요. 이희재님이 그리신 만화 나의 라임 오렌지 나무를 보면 어른이 된 제제가 아빠에게 얻어 맞은 떼떼라는 아이에게 빵을 사주고 딱지를 주는 장면이 있습니다. 이건 아마 이희재님의 상상이 빚어낸거겠죠? 전 꼭 제제가 그런 삶을  살았길 바랍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테스 2006-01-23 19: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이거 읽고 리뷰 썼는데 같은 책을 읽었네요.
멋진 책이죠.....

이쁜하루 2006-01-23 21: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네 정말 멋진 책이죠! ^^ 테스님 드뎌 쓰신거예요? 그럼 읽어봐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