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을 선택하는 특별한 기준 2 - 개정판
김형경 지음 / 푸른숲 / 2006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나는 오늘 학생 상담을 앞두고 있다. 지난 4월 1일부터 복지관에서 운영하는 야학의 전담 교사가 되었다.  지난 한달간 일을 배우고 상담에 참관하며 숨가쁘게 보냈다. 이번달도 행사가 참 많고 1:1 상담이 잡혀있다. 물론 담당 선생님이 하시는데 오늘은 선생님이 외부에 나가셔야 해서 내가 하게 되었다. 어젯밤 얼마나 걱정이 됐는지 모른다. 나 자신도 모르는 내가 누군가와 얘기를 나눠야 한다니. 게다가 어제는 한 학생에게 대해서 뜻모를 화가 계속해서 나서 집에 오면서 내가 왜이러는 걸까 고민 또 고민해야했는데 상담이라니... 그래서 인지 빨리 내 문제부터 해결해야 할 것 같았고 내 문제를 더 들여다 봐야한다고 여겼던 것 같다. 책을 읽으면서 열심히 형광펜질을 하였다. 그래 그래 바로 이거야 그래 그래! 라며 고개를 많이도 끄덕였다. 이런 나를 지켜보던 남편은 "야! 책을 읽는게 아니라 무슨 공부하는 것 같다야!"라고 말을 하였다. 아무런 대꾸를 하지 않았지만 정말 나는 공부하는 심정으로 책을 읽었다. 그리고 이 대목을 발견하고는 가슴이 먹먹해 왔다. 

  맞벌이하는 세진의 후배부부에게 기은이라는 딸이 있는데 생 후 삼개월부터 시골 할머니가 키웠다. 여름휴가 동안 아기와 함께 지내기 위해 데리고 왔는데 네 살먹은 기은이의 눈빛이 벌써 상처입은 눈빛이었다는 것이다. 그리고 세진은 이 아이 기은에게 자신의 모습을 본다. 안아주려해도 안기지 않는 점, 언니가 제 것을 탐내자 순순히 양보한 점, 작은 서운함에 크게 상처 받는 모습 등... 그리고 세진은 의사에게 묻는다 어떻게 해야하는거냐고. 그러자 의사는 말한다 [무조건 사랑해줘야 합니다. 아이가 귀찮다고 느낄 만큼 사랑해줘야 해요] 나는 아직 아이인것 같다. 아직도 사랑받고 싶다. 내가 귀찮다고 느낄 만큼 누군가 나를 사랑해줬으면 좋겠다. 내가 무엇을 잘할 때만 사랑해주는 것이 아니라 내가 아무것도 하지 못해도, 실수를 해도 용납되어지고  귀찮으리만큼 사랑받고 싶은 것이다. 일단은 그 대상이 남편인 것 같다. 철저하게 사랑받고 싶은 것이다. 남편에게 묻곤 한다. 내가 불구가 되어도, 지금보다 더 못생겨지고 뚱뚱해져도 사랑할 수 있느냐고. 남편은 당연하지라고 대답한다. 그러나 내가 한 시간 가까이 설겆이할 때 TV나 만화책 보느라 나에게 전혀 관심을 갖지 않는 남편을 향해 눈물 바람을 날리며 뭐가 당연히 사랑하는거냐고 따져 물었다. 귀찮으리만큼 사랑받는 일...쉽지 않을 것 같다. 그런데... 

  나는 지금 그래야하는 상황이다. 나도 받지 못해 힘들어 죽겠는데 우리 야학 아이들을 향해 그런 사랑을 해야한다. 아이가 귀찮다고 느낄만큼 사랑해줘야 한다. 나의 콤플렉스를 자꾸 건드려 나로 하여금 화를 돋우는 그 아이를 향해 귀찮을 만큼 사랑해줘야 한다. 나는 그럴 수 없는 몸인데 말이다. 책은 박세진에 대해서 [올바름, 정의, 그런 것을 위해 사는 것 같아요] 라고 말한다. 그것은 페르소나에 대한 지적인 것이다. 스스로 훌륭한 사람이라는 페르소나를 내보이면서 성격의 다른 면은 깊이 억압한 채 그 페르소나가 자기 자신이라고 착각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는 것이다.  나 또한 어릴 때부터 자선사업가가 꿈일 정도로 페르소나로 철저히 나를 감추었다. 나 가진 것도 없어서 동네 수퍼에서 도둑질을 했던 내가 그 모든 것을 덮어버릴 수 있는 것으로 찾은 것이 어려운 사람들 도와주는 것이었다. 그리고 그것은 오늘까지도 계속되고 있는 것이다. 나는 철저하게 이중적이다. 중학교 때 일기장을 보면 내 안에는 악마가 있다며 그것 때문에 괴로워 하는 일기로 가득차 있다. 이 이중성에서 벗어 날때 나는 비로소 진짜 사랑을 할 수 있을 것 같다.  

  이곳에 오기 전 학원에서 학생과 아주 크게 싸웠다. 정말 패고 싶도록 미운 감정이 솟아 올랐다. 악다구니를 치고 얼굴이 씨뻘개졌다. 원장이 말려서 그 싸움은 일단락 됐다. 그 다음. 그 학생을 만나 내 이야기를 했다. 나는 열등감 덩어리라고. 너때문에 화가 난게 아니라 나 때문에 화가 났던 것 같다고. 그러면서 나는 아이앞에서 울고 말았다. 어린 아이처럼 그렇게 엉엉... 학원을 그만두고 나오던 날 그 아이로부터 편지를 받았다. 죄송하다는 말과 선생님은 저의 유일한 상담자였다는 말이 적힌...   

  나의 부족함을 인정하고, 나의 부도덕성을 인정하고, 열등성을 인정하고, 솔직하게 그렇게 학생을 대해야겠다. 그리고 나를 가장 사랑해주는 남편을 향해서도, 나의 가족과 친구들을 향해서도. 책 한번 읽었다고 해서 내 문제가 해결된다면 35년간 이 문제를 끌어안고 살지도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나는 조금씩 내 문제에 다가가고 있음을 확신하고 이 책이 그 기폭제가 되어준 것을 인정한다. 오늘보다 안나아있을지도 모를 내일이지만 나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를 사랑해줘야겠다. 귀찮으리 만큼~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김천의 김씨 2010-09-27 21: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이 책을 전에 읽다가 말았습니다. 최근에 어떤 자매에게 이 책을 권유하고, 좀 찔려서 다시 읽고 있는 중인데 뭔가 도움이 될까 싶어 인터넷에서 찾다가 들렀습니다. 교회에서 하는 내적치유와 세진이 상담하는 부분이나 세진이 절에서 행하는 일들과 관계설정이 가능한지요?
아니면 서로 따로따로 인가요? 세진을 상담하는 의사가 종교에 대해 말하지 말라고 하는 부분, 어떻게 보아야 하나요? 그냥 궁금해서

2010-10-01 11:08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