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그리스인 조르바 니코스 카잔차키스 전집 1
니코스 카잔차키스 지음, 이윤기 옮김 / 열린책들 / 200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르바를 처음 읽었던 건 고2 때였다. 그 때는 공부만 아니면 다 재미있던 시절이었고, 공부하는게 너무 싫어서 하루종일 책만 읽은 날도 많았다. 토요일 아침부터 저녁까지 <까라마조프 가의 형제들>을 읽는 것 말고는 아무 것도 안하던 그런 때에 나는 조르바를 만났다. 책을 읽으면서 어떤 것에도 구속받지 않고 자신의 심장을 따르던 조르바가 어찌나 부러웠던지!

얼마 전 학교 수업 시간에 전형성에 대해 배울 때, 자신이 읽은 소설에서 가장 인상 깊었던 인물을 골라 그 이유를 적어오는 과제가 있었다. 나는 외국 소설 남자 부분에서 망설일 것도 없이 조르바를 써서 냈다. 과제를 하면서 오랜만에 다시 읽어보고 싶다, 라는 생각이 들었고 마침 내 폰에는 <그리스인 조르바>가 이북으로 있었다. 그러니까 이 책은 내가 처음으로 이북으로 읽은 책인 셈이다.

예전에 이북이 처음으로 등장해서 종이책을 대체할 것이라는 이슈가 나왔을 때 나는 코웃음을 쳤었다. 이북이 대신할 수 없는 종이책의 감각과 느낌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시간이 지나 스마트폰으로 이북을 접하고 나니, 정말 이북이 대체할 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을 했다. 물론 아직도 종이책에 대한 내 생각은 변하지 않았고 이북을 살 일은 없을 테지만, 오늘날처럼 바쁜 세상에 책을 쉽게 만날 수 있는 접근성에 놀랐기 때문이다. 종이책 넘기듯이 책장이 넘어가는 디테일이란.. 사실 지옥철 안에서, 만원버스 안에서 책을 읽기란 쉽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이북이 어디서나 편하게 읽을 수 있는 책의 대안이 되지 않을까하는 생각이 들었다. 스마트폰에 빠져 책을 만날 기회가 거의 없는 요즘의 청소년에게도.

지하철을 탈 때나 버스 안에서 틈틈이 읽었기에 다 읽는 데 한 달이 조금 넘게 걸렸다. 몇 년만에 다시 만난 조르바는 여전히 매력적이고 자유로운 영혼이었지만, 예전에는 보이지 않았던 것들도 조금씩 보였다. 크레타 섬의 아름다운 정경을 묘사한 장면이나 조르바를 바라보는 `나`의 모습은 전에 읽을 땐 주목하지 않았던 모습들이었다. 하지만 좋은 면만 있었던 건 아니고, 전에는 보이지 않았던 조르바의 여성차별적인 발언들이 자주 보여서 조금 안타까웠다. 남자인 나도 좀 심하다고 느끼는데 이걸 읽는 여성 독자들은 어떨까.. 하는 생각도 들고.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르바는 여전히 매력적이다. 진정한 자유를 얻은, 아니 쟁취한 사람은 조르바뿐일 거라고 나는 생각한다. 그래서 지금까지도 이 책이 계속 사랑받고, 우리가 카잔차키스의 이름을 기억하는 것이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일곱시 삼십이분 코끼리열차
황정은 지음 / 문학동네 / 200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황정은의 소설을 읽게 된 지는 얼마 되지 않았다. 처음 시작이 <계속해보겠습니다>였고, <야만적인 앨리스씨>, <百의 그림자> 순으로 읽어내려가 여기까지 이르렀다. 어쩌다보니 역주행을 하게 되었는데, 그래서 이 작가가 이런 상상력의 소유자였다는 사실을 이 단편집을 읽고서야 알았다(<百의 그림자>에서 그림자가 일어서긴 하지만 그 정도야 뭐...) 기상천외한 상상력을 만날 준비가 없이 만난 그녀의 소설은, 신선하면서도 충격적이었다. 마치 박민규의 <카스테라>를 읽는 느낌이었다고나 할까. 하지만 황정은의 상상력은 박민규의 그것과는 많이 달랐다. 작품을 하나하나 읽으면서, 예사롭지 않은 작가구나...하는 생각을 많이 했다.

 

황정은은 다양한 환상의 세계로 우리를 안내하지만 그 기반을 이루는 그녀의 현실인식은 등단작 <마더>와 <소년>에 가장 잘 드러나있다. <야만적인 앨리스씨>에서도 느낀 것이지만(여태껏 읽었던 소설 중 씨발, 이라는 단어가 제일 많이 나왔던...), 그녀의 소설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대부분 극단적인 상황에 몰려있다. <마더>의 주인공인 오는 자신을 낳은 여자에게 버림받았고, 자살하려는 사람들의 커뮤니티를 접속하고 있다. <소년>에 나오는 소년의 어머니는 낳고 싶지 않은 그를 낳았고, 또다른 남자와 구야를 낳았으며, 지금은 다른 남자와 함께 살고 있다. 2005년에 발표된 이 두 작품 속 인물들의 삶은 보면 볼수록 처참하고, 어떤 면에서는 끔찍하기까지 하다. 오늘날을 살아가는 우리의 모습이 이들과 다를 바가 없다는, 작가의 인식 때문일까. '단 한마디도 하고 싶지 않은 날이//365일 중에 298일이나 되는 이 세계'를 바라보는 작가의 눈은 이런 인물들을 만들어낼 수밖에 없었겠구나, 하는 생각을 한다.

 

하지만 그 이후 나오는 그녀의 작품에는 그런 처절함이 직접적으로 드러나있지 않다. 여전히 그녀의 작품 속 인물들은 <마더>나 <소년>과 다름없는 삶을 살고 있지만, 그 비극성은 환상이라는 옷을 입고 우리에게 나타난다. 초코맨의 모습으로, 오뚝이의 모습으로, 모자의 모습으로, 또는 등에 문을 달고 나타난다. 이런 환상의 차용은 삶과 현실의 비극성을 한층 밝은 이미지로 바꾸어 놓는다. 하지만 아무리 밝게 표현되면 뭐하나. 결국 그들의, 우리의 현실은 여전히 팍팍하고, 건조하다 못해 메말라서 처절한데. 작가가 꿈과 환상을 작품 속에 끌어들인 건 환상이 가져오는 밝음을 통해 현실의 비극을 더욱 부각하기 위함이 아니었을까. 이런 환상의 비애는 주변 사람들이 정말 이상한, 말도 안되는 이런 상황을 아무렇지도 않게 받아들인다는 점에서 더욱 짙어진다. 별난 존재의 등장이나 변화에 대한 세계의 무관심, 그것이 이 세계를 더욱 폭력적으로 보이게 하는 것이 아닐까.

 

개인적으로 이 책에서 가장 잘 쓰여졌다고 생각하는 단편은 <모자>였다. '세 남매의 아버지는 자주 모자가 되었다.'로 시작하는 이 작품에는 시도때도 없이 모자로 변하는 아버지가 등장한다. 이런 설정은 프란츠 카프카의 <변신>의 영향을 받은 것처럼 보였다. 하지만 <변신>이 계속 벌레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밑바닥으로 내려가는 모습을 그렸다면 <모자>의 아버지는 모자와 사람의 상태를 끊임없이 왔다갔다한다. 이는 아버지가 모자로 변하게 하는 어떤 상황이 있다는 것일텐데, 그렇다면 그 상황이라는 건 무엇일까? 처음에 나는 세계의 불합리성에 직면했을 때 모자로 변하는 것이라 생각했다. 불합리성에 이의를 제기하고 저항해야 할 상황에 그럴 수 없는 모자로 변한다고 생각했는데, 다시 생각해보니 아버지는 자신이 초라해지는 순간, 아무것도 할 수 없어 무기력해지는 순간에 모자가 되는 것이 아닐까,하는 생각이 들었다. 아버지는 실직한 자신을 첫째가 외면했을 때, 라디오를 고쳐주지도 사주지도 못한다며 둘째가 울 때, 셋째의 학부모 참관일에 모자가 되었고, 아내와 어머니가 싸우고 있을 때 모자가 되었고, 할아버지가 밥알을 흘렸다며 엉덩이를 때렸을 때 홀로 모자가 되었다. 그리고 자식들을 성추행한 예비군에게 항의하러 간 순간에도 모자가 되어버렸다. 자식이 자신을 외면하고, 서로 다투는 아내와 어머니 사이에서 아버지는 모자가 되는 것 말고는 아무 것도 할 수가 없는 것이다. 가족 내의 아버지의 존재에 대한 이야기를 모자라는 상상력으로 치환한 작가의 감수성은 감탄할 만한 것이었다. 이래서 황정은의 이름이 이렇게 자주 나오는구나하는 생각도 들고.

 

별 세 개 반을 주고 싶었으나, 알라딘은 반이 안 되기에 세 개를 준다. 각 작품마다 그 차이가 너무 많이 난다,라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나의 이해력이 문제일 수도 있겠지만, <문> 같은 경우에는 인물들이 너무 흐릿하다는 생각이 들었고, <곡도와 살고 있다>는 곡도라는 애완동물과 마지막에 나오는 병아리 이야기가 의미하는 바를 찾기가 너무 힘들었다(사실 지금도 잘은 모르겠다). 이 외에도 몇 가지 아쉬웠던 것들이 있었지만, 작가의 상상력이 이제까지 본 적 없던 색다른 것이며 그것이 그저 기발한 상상에서 끝나지 않고 작품 속에 잘 녹아들어 의미를 이루고 있다는 건 분명하다. 작가의 다른 소설들도 읽으면서 많은 생각을 하게 되었고, 다음이 기대되는 작가라는 생각이 든다. 북콘서트에서 문예창작과에 다닌다던 한 독자분이 교수님들이 황정은 작가분의 책을 정말 많이 추천한다고(그 분은 '정말'에 강세를 뒀다) 말했었는데, 왜 추천하는지 이유를 알겠다. 이제 <파씨의 입문>만 남았네...

 

의문점, 왜 <일곱시 삼십이분 코끼리열차>는 제목을 이렇게 지었을까? 이 제목이 갖는 의미는 무엇일까? 작품 안에서 코끼리열차는 일곱시 이십분이 막차고 작품은 일곱시 십칠분에서 끝나는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는 나를 파괴할 권리가 있다 - 제1회 문학동네신인작가상 수상작, 3판 김영하 컬렉션
김영하 지음 / 문학동네 / 2010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여긴 북극 같아."
유디트가 차창에 얼굴을 기대며 말했다.
"북극?"
"허영호라는 사람 알아? 어제 TV에서 허영호라는 사람이 북극을 정복하는 걸 보여줬어."
"그런데?"
"허영호거 썰매를 끌고 북극점을 향해 가는데 말야. 북극은 거대한 얼음덩어리라서 바다 위에서 끊임없이 조금씩 움직이고 있대. 그래서 허영호는 마지막까지 극점 주위를 뱅뱅 돌아야만 했대. 그러다 가까스로 북극점에 도달해서 깃발을 꽂고 사진을 한 방 찍고는 황급히 그곳을 떠났다는 거야. 그 순간에도 북극점은 어디론가 움직이고 있었을 거야."
"북극점이 움직이는 게 아니고 그들이 서 있는 얼음덩어리가 부유하는 거지."
"그게 그거지. 우리가 떠다니든 북극점이 움직이든 결국 마찬가지 아냐? 그럴 때 없어? 길거리를 걷다가 문득 발걸음을 멈추고 두리번거릴 때 말야. 여기가 어딜까 하면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백의 그림자 - 2010년 제43회 한국일보문학상 수상작 민음 경장편 4
황정은 지음 / 민음사 / 2010년 6월
평점 :
절판


마뜨료슈까는요, 라고 무재 씨가 강판에 무를 갈며 말했다.
속에 본래 아무것도 없는 거예요. 알맹이랄 게 없어요. 마뜨료슈까 속에 마뜨료슈까가 있고 마뜨료슈까 속에 다시 마뜨료슈까가 있잖아요. 마뜨료슈까 속엔 언제까지나 마뜨료슈까, 실로 반복되고 있을 뿐이지 결국엔 아무것도 없는 거예요. 그러니까 있던 것이 부서져서 없어진 것이 아니고, 본래 없다는 것을 확인한 것뿐이죠.
무재 씨, 그건 공허한 이야기네요.
그처럼 공허하기 때문에 나는 저것이 사람 사는 것하고 어딘가 닮았다고 늘 생각해 왔어요.
라고 말하며 무재 씨는 주먹만 하게 줄어든 무를 쥔 손으로 마뜨료슈까를 가리켜 보였다.

은교 씨, 나는 특별히 사후에 또 다른 세계가 이어진다고는 생각하지 않고요, 사람이란 어느 조건을 가지고 어느 상황에서 살아가건, 어느 정도로 공허한 것은 불가피한 일이라고 생각했거든요. 인생에도 성질이라는 것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면, 그것은 본래 허망하니, 허망하다며 유난해질 것도 없지 않은가, 하면서요. 그런데 요즘은 다른 생각을 하고 있어요.
어떤 생각을 하느냐고 나는 물었다.
이를테면 뒷집에 홀로 사는 할머니가 종이 박스를 줍는 일로 먹고산다는 것은 애초부터 자연스러운 일일까, 하고.
무재 씨가 말했다.
살다가 그러한 죽음을 맞이한다는 것은 오로지 개인의 사정인 걸까, 하고 말이에요. 너무 숱한 것일 뿐, 그게 그다지 자연스럽지는 않은 일이었다고 한다면, 본래 허망하다고 하는 것보다 더욱 허망한 일이 아니었을까, 하고요.

하늘이 굉장하네요.
네.
나는 이런 광경을 보고 있으면 인간은 역시 유별하다는 생각이 들어요.
유별이요?
시끄럽고 분주하고 의미도 없이 빠른 데다 여러모로 사납고.
……무재 씨, 그건 인간이라기보다는 도시에 관한 이야기 같아요.
도시일까요?
하며 무재 씨가 웃었다.

뒤돌아서다가 무재 씨의 그림자를 밟을 뻔했다. 무재 씨는 여전히 엔진 덮개를 열어 둔 채로 이제는 일어서서 덮개 속을 내려다보고 있었다. 묵묵히 생각에 잠긴 무재 씨의 뒤꿈치로부터 짙은 빛깔로 늘어진 그림자가 주변의 것들과는 다른 기색으로 곧장 벌판을 향해 뻗어 있었다. 불빛의 가장자리에서 벌판의 어둠이 그림자를 빨아들이고, 그림자가 어둠에 이어져, 어디까지가 그림자이고 어디부터가 어둠인지 알아볼 수 없었다. 마치 섬 전체가 무재 씨의 그림자인 듯했다.

묵묵히 수그러진 무재 씨의 고개 위로 불빛이 번져 있었고 그 너머로 바로 어둠이 내려와 있었다. 막막하고 두려워 사발 모양의 가로등 갓을 올려다보았다. 여기는 어쩌면 입일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어둠의 입. 언제고 그가 입을 다물면 무재 씨고 뭐고 불빛과 더불어 합, 하고 사라질 듯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계속해보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