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리엇은 4월이 잔인한 달이라고 했지만, 나에겐 10월과 11월이 가장 잔인한 달이다. 현재 내 생활은 일정한 패턴으로 쳇바퀴 돌 듯 굴러갈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 10월 즈음이 되면 권태가 정점을 찍는 까닭이다. 그래서 이 때가 책을 가장 안 읽는 때이기도 하고, 정서적으로 가장 가라앉아 있는 시기이기도 하다. 위안이 될 만한 소식이 들려오지 않는 까닭도 있겠지만. 그래도 책은 최대한 읽으려고 노력은 하는데, 점점 읽을 수 있는 시간도 줄어 최근에는 서재에도 거의 들어오지 못했다(그래봤자 2-3일 정도 비운 것이지만). 쓰는 시간은 읽는 시간보다 더 빠르게 준다.


최근까지 나는 『모든 것은 빛난다』를 읽고 있었다. 결론이 내 마음에 들지 않을 것 같았지만 내용이 너무 흥미로워서 다른 책들을 제쳐놓고 읽는 중이었는데, 자꾸 예정에 없던 책이 불쑥 들어와 한 권을 진득하게 읽는 걸 방해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도서관 희망도서인데, 신청을 해도 오는 데 최소 2~3달은 걸리기 때문에 도착했다는 문자가 올 무렵이면 이미 잊어버리고 있던 책이 대다수다. ‘신청은 니가 원하는 때에 했지만, 오는 건 니가 원할 때가 아니란다라는 식이다. 여하튼 이번 달은 오래 전에 신청했던 책들이 돌연 폭탄처럼 쏟아졌고, 그 중 한 권이 바네사 R. 슈와르츠의 구경꾼의 탄생이었다. 이 책은 독서 모임을 같이 하는 분이 정말 재미있게 읽었다고 추천하기에 신청해 두었던 책이다(무려 넉 달 전에!). 이번 주에 문자가 왔고, 도서관에서 빌려와 맨 앞에 실린 역자 해제를 읽다가(역자 대표로 노명우 씨가 썼다) 번역이 제대로 된 것인지 의문을 품게 하는 문장을 보았다. 안 그래도 가라앉았던 기분은 짜증으로 바뀌었다.
















한국어 번역서는 본제목 ‘spectacular realities’를 직역하지 않고, 세기말 파리 군중이 사로잡혀 있는 욕망을 표현하기 위해 구경꾼의 탄생이라는 제목을 선택하였다. 또한 책에 종종 등장하는 ‘spectacle’이라는 단어는 문맥에 따라 스펙터클과 구경거리로 번역했다. 장엄한 광경임을 표현해야 하는 문맥에서는 스펙터클로 옮겼고, 구경에 해당하는 문맥이 강조될 때는 구경거리로 번역했다. 구경꾼의 탄생에서 언급하고 있는 기 드보르의 스펙터클의 사회구경거리의 사회라고 번역해야 하나, 이미 출판된 드보르의 한국어판 제목이 스펙터클의 사회이기에 독자들의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드보르의 책은 예외적으로 책 제목을 그대로 옮겼다. (41, 강조는 인용자)


마침 읽고 있었던 책이 기 드보르의 스펙타클의 사회였는데, 이 부분을 읽고 이 사람은 스펙타클의 사회도 안 읽어봤나?’라는 생각이 들면서 책을 덮을 뻔했다. 1장만 읽어봐도 스펙타클이라는 개념이 구경거리로 치환될 수 없다는 게 뻔히 보이는데 구경거리의 사회라니. 그리고 스펙터클구경거리’를 구분하는 기준도 웃기지만, 책 제목을 구경거리의 사회로 바꿔야 된다고 생각하는 상상력 자체가 어이없었다. 이 글을 보고 그 분이 번역한 사회학의 쓸모』를 읽기 싫어졌다. 이미 샀는데. 저자의 서문을 읽어보면 19세기 말 파리 문화의 변화에 따라 발생한 구경구경꾼이라는 개념에 초점을 두고 있어 구경꾼의 탄생이라는 제목으로 바꾼 것을 이해할 수는 있겠지만, 그래도 나에겐 과한 개입으로 보인다.
















이런 식으로 제목을 맘대로 바꾸는 것이 흔하지 않은 건 아니다. 죽음의 스펙터클의 원제는 HEROS: Mass Murder and Suicide’인데, 저자가 일차적으로 주목하는 것이 스펙타클과 현실의 경계가 붕괴된 모습을 보이는 다중살인사건인 건 맞다. 하지만 실제 책에서 저자의 논의가 기대고 있는 이론은 기 드보르가 아니라 보드리야르의 시뮬라시옹이다. 나는 가해자의 엄마입니다도 원제는 A Mother's Reckoning: Living in the Aftermath of Tragedy’인데, 처음에 제목을 들었을 때부터 '한국어판 제목을 너무 자극적으로 정한 것이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었다. 호기심과 반감을 동시에 부르는 제목이라고 해야 할까. 마케팅 측면에서 어쩔 수 없었다고 말할 수도 있겠지만, ‘엄마의 심판나는 가해자의 엄마입니다사이의 간극은 너무 멀어보인다. 마지막으로 빨래하는 페미니즘. 이 책의 원제는 Reading Women: How the Great Books of Feminism Changed My Life’, 그러니까 여성 읽기정도다. 제목이 너무 밋밋해서 바꿨겠지만, 다 읽고 나면 빨래하는이라는 수식어가 이 책과 너무 안 어울린다는 느낌은 분명히 있다. 차라리 부제를 적절히 축약해서 제목을 짓는 게 낫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도 든다..


구경꾼의 탄생을 읽다가 성질이 나는 바람에 주절주절 썼지만, 개인적인 느낌이기에 비판의 여지도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그래도 구경거리의 사회는 용납할 수 없다!). 책이 팔리지 않는 시대에 너무 많은 것을 바라는지 모르겠으나, 한 사람의 독자로서 책 제목도 잘 다루어 주었으면 싶다. 괜히 열폭해서 썼다는 생각도 들지만(이게 다 희망도서 때문이다).

 

+) 스펙타클의 사회4장까지 읽었는데, 얇은 책이지만 내용이 정말 깊다는 생각이 여러 번 들었다. 물론 풀어서 설명하고 논증하는 책이 아니어서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도 꽤 있지만. 종종 기 드보르는 후기 자본주의 시대에 새로운 자본론을 쓰려고 했던 걸까라는 생각도 들고.. 다만 수전 손택이 타인의 고통에서 세계의 부유한 곳, 그것도 뉴스가 오락으로 뒤바뀌어 버린 곳에서 살아가고 있는 극소수의 교육받은 사람들이 세계를 바라보는 습관을 보편화한다고 비판한 것을 기 드보르가 들었다면 어떻게 반박했을까라는 의문은 풀리지 않았다. 손택은 사라예보를 당일치기로 갔다왔던 몇몇 주목할 만한 프랑스인들이라는 말까지 썼는데, 남은 부분을 읽고 나면 기 드보르의 반박을 정리할 수 있을까.




댓글(3) 먼댓글(1)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어느 구경거리에 대한 보고서
    from 공음미문 2016-10-23 01:13 
    프란츠는 갑자기 이 대장정이 끝에 다다랐다는 인상을 받았다. 침묵의 구경꾼들은 유럽으로 좁아들었고, 대장정이 완수되는 공간은 지구 한복판에 있는 조그만 연단에 불과하게 되었다. 한때 연단 밑에 몰려들던 군중은 이미 오래전부터 외면한 터였고, 대장정은 관중이 없는 고독 속에서 계속되었던 것이다. 프란츠는 생각했다. 그렇다, 세상의 무관심에도 불구하고 대장정은 계속되었지만, 그것은 신경질적이고 과민한 어떤 것으로 변해 버렸다. 어제는 미국의 베트남 점령에
 
 
AgalmA 2016-10-23 01:1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아무님의 마지막 문단을 보고 밀란 쿤데라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생각이 나서 먼댓글로 남겼습니다.
기 드보르에 대한 아무님의 정리를 기대하며/

아무 2016-10-23 09:42   좋아요 1 | URL
<스펙타클의 사회>는 천천히 읽고 있는 중이에요. 포스트잇도 열심히 붙여가면서 읽고 있는데, 이러다 책 페이지 수만큼 포스트잇을 붙일 것 같아 걱정입니다 ㅎㅎ 아마 리뷰를 쓰게 되면 예전에 썼던 리뷰처럼 장황하게 쓰진 못할 것 같고, 기 드보르처럼 짧게 짧게 쓰지 않을까 싶네요^^;; 다만 읽다보니 스펙타클이라는 단어가 오늘날 너무 남용되는 것 같다는 느낌도 받았습니다. 원래 의미와 상관없이 막 쓰는 느낌이랄까.. 그러다보니 단어에 때가 타서 그 진의가 상실된 것 같다는 생각도 들어요.

읽으면서 국내에 번역된 책이 너무 없다는 것도 아쉬웠어요. 자서전이나 평전 같은 책도 찾기 어렵고... 개인적으로는 <스펙타클의 사회에 대한 논평>이란 책도 번역돼서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AgalmA 2016-10-23 12:0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도 <스펙타클의 사회> 읽을 때 옮겨 쓰다가 지쳤던 기억이ㅎㅎ; 문장마다 전율하게 하는 힘이 있죠. 기 드보르 일생을 봐도 그렇고 마르크스랑 비슷하긴 했죠. 사상의 힘도, 레닌의 보조를 받던 상황도.
기억하기로 기 드보르가 생활이 어려워져 사람들에게 전설처럼 회자되는 <스펙타클의 사회>을 재출간해야 했을 때 탐탁지 않게 생각한 거 보면 성격 나오잖아요ㅎ 그의 다른 글, 평전 꼭 보고 싶은 사상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