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
정용준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1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생각해보니, 문학과지성사의 책을 읽은 것이 굉장히 오래된 일인 것 같다. 마지막으로 읽은 게 한강의 <바람이 분다, 가라>였는데.. 문득 신문에서 나온 세 출판사의 매출 규모에서 문지만 두 자리 수였던(물론 단위는 억 단위다) 기억이 나면서, 그래서 그런가... 하는 씁쓸한 생각이 들었다. 갑자기 이런 얘기를 하는 건, 정용준의 <가나>라는 이 소설집의 성향은 뭔가 문지 스타일 같다,는 생각이 책을 다 읽고 나서 들었기 때문이다.

 

제목을 '불구자들의 세계'라고 하려다가, '의'를 지우고 '과'를 썼다. 아무리 생각해도 그들이 세계에 속해 있지는 않은 것 같아서. 그의 소설에는 너무나 많은 불구자들이 등장한다. 아니면 불구자가 되거나. 어디까지나 신체적인 특징으로 말한 것이지만, 그런 불구자가 갖고 있는 속성 때문인지, <가나>에 실린 소설들은 하나같이 다 어둡고, 절망적이다. 그리고 신체적인 특징이 갖고 있는 불구성은, 결국 그들을 정신적인 불구자로 만든다. 어떤 의미에서든, 그들은 한 발 재겨디딜 곳조차 없는 극한에 있다.

 

요즘 나오는 젊은 작가들의 소설과는 달리, 정용준의 소설은 전형적인 스토리의 문법을 따른다. 그래서 그런지 굉장히 잘 읽혔다. 하지만 전형적인 문법이 다루는 이야기는 하나하나가 다 묵직하다. 하지만 그 묵직함의 무게가 어느 정도인지 가늠하기는 어렵다. 그들이 말을 하지 않으니까. '떠떠떠, 떠'나 '굿나이, 오블로'처럼 벙어리이기도 하고, '벽'에서처럼 입을 다물 수밖에 없는 상황이기도 하기에, 그들은 자신들이 왜 이렇게 되었는지 잘 말해주지 않는다. 그 점이 더더욱 나를 이 잔혹한 세계에 끌어들인 것 같다. 그들의 무게를 어떻게든 재보려는 사람의 마음으로. 이름조차 몰랐다가 아는 선배가 빌려줘서 읽게 되었는데, 아무래도 나는 정용준이라는 이름을 잊지 못할 것 같다.

 

그럼에도 하나 아쉬운 건, 문장이다. 이 책에 수록된 단편들 전체를 아울러 가장 두드러지고 아름다운, 모두가 찬사를 아끼지 않는, 바로 그 문장. 물론 문장은 미문이라는 말로 차마 다 표현하지 못할 만큼 아름답다. 너무나 아름다운 묘사가 인물들의 비극을 더욱 부각시킬 만큼. 하지만 읽으면서 이건 뭔가 좀 어색하다,라고 느끼는 순간이 몇 번 있었다. 비유가 너무 인위적이었다고 해야 할까. 전부가 그런 것은 아니었지만, 드문드문 그런 생각을 했다. 너무 미문에 집착한 결과일까,하는 의문과 함께. 동의하지 않는 사람이 훨씬 많을 것 같지만, 내 감상은 그렇다.

 

그렇다고 정용준 소설의 가치가 떨어지는 것은 아니다. 요즘 작가들에게서 찾아볼 수 없는 서사가 뚜렷하고, 그런 서사를 미문으로 감쌀 줄 아는, 그런 작가를 만나게 된 것 같다. 물론 이것만 가지고 정용준이라는 작가가 어떻다라고 말할 수는 없겠지만(작가의 본질은 장편에서 찾을 수 있다고 생각하기에), 굉장히 궁금해지고, 장편을 찾아서 읽어봐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보물선 2015-06-25 20: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바벨>을 이어서 보시면 더욱 !

아무 2015-06-25 21:28   좋아요 1 | URL
내일 찾아서 읽어보려구요 ㅎㅎ 독특한 개성이 정말 대단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