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년 전 오늘. 나는 그해 갓 입학한 87학번 1학년이었다.

87년은 벽두부터 전조가 심상치 않았다. 박종철 열사가 고문당해 죽고 또 그 사실을

경찰이 은폐한 것이 밝혀지면서 난리가 난 데다 살인마 전두환이 4월에 '호헌선언'으로

그 위에 기름을 부었다.

 

 

세상은 뒤숭숭했다. 불온한 공기로 팽창된 열기가  임계점을 향하고 있었다.

 

26년 전 오늘 아침도 그랬다. 신입생부터 늦게까지 학교 다니던 79학번 선배까지

정문으로 모여 스크럼을 짰다. 뭔가 터질 것 같은 분위기, 가슴은 두근거리고

아직 쏘지도 않은 최루탄 냄새가 코에 매캐하게 느껴졌다.

 

86 선배는 신입생인 우리를 모아 놓고 만약 대열이 흩어지면 모일 2차 집결지를 알려주며

만약 경찰에 잡히면 꼭 신입생이라고 말해야 한다고 몇 번이나 강조했다.

 

그날 밤 우리 과에서 일곱명이 체포되었는데 내가 첫번 째였다.

걸음도 느린데다 어리버리했으니 당연했다.

 

거리에서 사복 체포조에게 1차로 두들겨 맞고  버스로 끌려가 2차로 맞고 경찰서에서 또 맞았다.

나중에 조사하던 경찰에게 부운 얼굴로 나는 신입생이라고 했다가 더 맞았다.

어린놈의 새끼가 세상 무서운 줄 모르고 나선다고.

뭐 그런 시절이었다.  

 

사흘있다 나와보니 불은 점점 더 크게 타오르고 시위는 전국으로 확산되었다

결국 이한열 열사가 죽었다.

 

 

뭐 그 다음 일어난 일은 다들 안다. 6.29선언이 나오고 다들 승리에 취해 그게

기만 전술이란 걸 몰랐고 전국적으로 노동자 투쟁이 일어났고 그해 대선은 졌다.

往事無非一夢間 이라더니 한바탕 꿈같다.

 

 

열아홉살이었던 내가 사십대 중반의 중년이 되는 시간 동안 어찌되었든 사이사이에

갈짓자에 후진을 했어도 우리 사회와 역사는 그러저럭, 꾸역꾸역 발전했다.

 

알량하나마 절차적 민주주의도. 언론 사상 출판 집회의 자유도, 고문받지 않을 권리도

어설프나마 복지 인프라도 틀은 만들어졌다.

 

그걸 '진보'라고 부르지 말고 '개량'이고 '체제와의 타협이자 순응과 순치'라 불러야 한다고

누군가는 성마른 소리로 일갈하더라마는 그래도 허망한 자위일지언정

나는  '역사의 진보'라고 부른다.

 

우리가 이만큼이라도 온데는 우리가 절대 잊어서는 안될 두 사람,

박종철과 이한열을 생각하면 말이다. 그이들의 엄마, 아부지를 생각하면 말이다.

 

87년 유월 이전의 우리 한국 사회가 어땠냐고 ?

 

시민을 학살한 도살자가 다스리는 나라,  

물고문과 전기 고문과 성고문, 불법 도청과 불법 민간인 사찰,

언론 검열과 사상 통제가 일상화된 나라..

밤과 새벽이면 사람들이 사라져서 돌아 오지 않는 나라..

 

우리는 그런 나라를 '문명 국가'라고 부르나 ? 

 

박종철과 이한열 열사의 명복을 빈다.

오늘의 우리는 그들에게 빚졌다.

 

잊지는 말자.


댓글(2)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hnine 2013-06-10 14: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시간이 참 무섭습니다. 벌써 26년 전이군요.
저는 그때 대학3학년, 무슨 정신에 학교 다녔는지 모르겠습니다.

알케 2013-06-11 13:17   좋아요 0 | URL
제 아들 놈은 뭔 동학전쟁 이야기 듣듯이 들어요. -.-;;
뭥미 하는 표정으로....
 

일요일 밤에 잠도 안오고 술 마시기도 귀찮아 책방 정리를 했다.

그러다 오랜만에 이문구 선생의 <우리동네>를 원래 꽂혀있던 책장에서

다른 책 섹션으로 옮겼다. 아마 이 책의 판본은 1990년도나 1991년도 판본일것이다.

(그 이전 판들의 표지에는 11이라는 숫자가 없다.)

 

나와 23년을 함께 했네. 어디서 샀던가. 

1991년도면 복학해서 이젠 정신차리고 살아야지 매일 밤 술김에 다짐을 하지만

그 다음 날이면 또 맹탕으로 살던 시절이었을게다.

 

처음 읽고 나서 너무 좋았다. 느려터지고 의뭉스러운 충청도 대천 사투리를

반도 이해하지 못했지만 그 리듬과 가락이 좋았다. 국어 사전을 옆에다 두고

한달에 두 번도 읽고 1년에 네번도 읽고 심심하면 읽었다.

그 시절 연애하던 선배하고 데이트하면서도 읽고 술 마시고 나서도 읽었다.

그러다 우리동네 김씨, 이씨, 황씨들과 정이 들었다.

 

나는 '글줄이나 읽었다'고 말하는 사람들의 기준을

이문구 선생과 <우리동네>를 알고 또 그 책을 읽었는가로 판별한다.

(내 맘이다.)

 

 학교를 졸업하고 첫 일터부터 이 땅 밖에서 일하는 기회가 많았다. 

가지고 가야 할 기본 장비 운송료 때문에 개인 화물을 최소화해야 했기에

옷가지 몇벌 외에 가져갈 수 있는 개인 짐은 최소화해야 하는 게 당시 지침이었다.

그때 내가 챙긴 것이 디스 담배 다섯 갑과 이문구의 <우리동네>였다.

 

그때부터 여태껏 멀리 떠나는 출장이나 여행 짐을 챙길 때 나는 제일 먼저 담배 한보루와

이 책을 가방 맨 아래에 넣어 둔다. 그래야 짐을 다 챙긴 것 같다.

말 그대로 먼 길 떠나는 나에게 Linius' blanket인 셈이다.

대부분 몸 팔아 돈벌러 다니는 길이었지만 이 책을 들고 세상의 절반을 다녔다.

미국도 가고 유럽도 가고 아프리카도 가고 정글도 갔다

싸늘한 사막의 밤에 돗자리를 깔고서 이 책을 읽었던 날도 있었고

눈과 얼음이 '막 날아다니는' 산 정상에서도 읽었다.

미국에 1년 가까이 살 때는 영어에 너무 스트레스를 받은 날이면

<우리동네> 김씨편을 큰 소리로 낭송하며 동네를 걸어다니기도 했다.

내 부박한 생의 위로가 되었다.

 

나는 연전에 이문구 선생이 세상 떠났을 때 이 책을 앞에다 두고

선생의 명복과 극락왕생을 기원하며 재배하고 자작 음복했다.

 

곧 이 책을 다시 가방에 넣어야 할 날이 다가 온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appletreeje 2013-06-03 15: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글줄이나 읽었다' 말할 만한 사람은 못 되지만,
이문구 선생님의 <우리 동네>,를 꼭 읽고 싶군요. ^^
(부끄 ^^;;;)
좋은 책 소개 감사드리며
알케님! 오늘도 좋은 날 되세요. *^^*

알케 2013-06-06 16:24   좋아요 0 | URL
ㅎㅎ 제 뻘 소리죠 뭐 감사합니다.

hnine 2013-06-03 19: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바로 그 199X년 쯤에 이 책을 읽었던 것 같은데, 제가 꽤 충청도 사투리에 익숙한편임에도 불구하고 읽으면서 난해했던 기억이 납니다 ^^
책 제목, 내용과 이 페이퍼의 내용이 절묘하게 어우러집니다.

알케 2013-06-06 16:25   좋아요 0 | URL
저는 충남 서해안 할매들 사투리를 이제 제법 알아듭습니다. ㅎㅎ

양철나무꾼 2013-06-05 16: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 책을 들추면 '내 몸은 너무 오래 서있거나 걸어왔다'인가(?) 그 책이 쏘옥히고 책등을 내밀것 같습니다여, ㅋ~.

알케 2013-06-06 16:26   좋아요 0 | URL
저 자리는 평론집 섹션이어서..ㅋ
 

유재현의 <아시아의 기억을 걷다>를 읽다가 이 부분에서 한참 서 있었다.

 

 

캄보디아 프놈펜의 툴슬렝(tuol sleng) 캄보디아의 고등교육기관으로 미래를 향한 크메르인들의 자

부심이었으나 1970년 미국의 배후조종으로 일어난 론놀 쿠데타 이후 툴스베이프레이(toul svey

prey)로 바뀌었다가 1975년 크메르루즈가 프놈펜을 함락하면서 150만에 달하던 프놈펜 인구를 지방

농촌으로 소개하고 진공 상태가 된 이후  S-21(security prison -21)이라는 이름의 보안대 감옥으

로 다시 바뀐 곳, 톨슬렝. 

 

 

1975년부터 크메르 루즈에 의해 이루어진 대규모 숙청 과정 (1958~60년 중국의 대약진 운동과 같은

사회주의 개조과정)에서 이 '죄악의 언덕, 톨슬렝,에서만 1만 5천여명의 시민이 고문으로 살해되었다.

 

이곳 본관 입구 철문에는 그 시절에 만들어진 크메르어와 영어로 병기한 10개 조항의 수용자 수칙이 붙여져 있다. 그 10개의 조항 모두 가슴 떨리는 것들이지만 나는 그 중 6번 조항에서 목도 아프고 눈도 아팠다. 

 


6. While getting lashes or electrification, you must not cry at all.

   채찍질이나 전기 고문이 가해질 때 절대 울어서는 안된다.

 

 

유재현은 책에서 툴슬렝은 '사실'이지만 '진실'이라고 단언할 수 없다고 했다. (p156)

 

1979년 12월 25일에 침공해 1988년까지 28년간 캄보디아를 점령했던 베트남군은 명분없는 자신들

의 침략행위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대 국민, 대 서방 프로파간다 정책의 기조를 '폴 포트는 악마

였고 캄푸치아 공산당은 악마라는 사실의 선전'에 집중했고 그 상징조작의 도구로 '툴슬렝'을 활용했

다고 그는 서술했다. 

 

즉 툴슬렝은 '정치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고도로 조직화된 곳'이라는 것이다.

맞을 수 있을 것이다. 아니 맞을 것이다. 나도 이성적으로, 아니 정치적 공정함의 잣대로 봐도

옳은 말일 것이다. 롤랑 조페의 <킬링필드>식의 선전 속에 은폐된 5년간의 미군의 폭격으로

황폐화된 농토, 살인적인 식량난 그리고 반공주의적 편향성의 서구 학자들과 예술가들이 날조해낸 

허위의 역사를 감안하면 말이다. 

 

 

하지만 말이다. 그 무엇으로 포장하였든 저기서 고문받고 죽은 수만명의 사람들은 실존했던 사람들이

다. 개조해야 할 쁘띠계급의 관리였든, 론놀정부의 스파이였든, 당성이 희박해진 변절자였든, 참혹한

식량난의 와중에 쌀을 매점매석한 악덕 상인이었든, 그 누구든 말이다. 그들은 살아 숨쉬고 말하는 인

간이었다는 건 '진실'이다. 혁명이 관념을 넘어 광기가 되면, 그래서 통제 불능의 상태가 되면 그땐

이념의 광휘는 핏빛 광기가 되는 것인가. 

 

회의실 구석에서 오후 내내 생각했다. 채찍을 맞으면서, 전기 고문을 당하면서, 아니 더 흉칙한 고문

을  당하면서도 '절대 울어선 안되었던' 사람들의 그 숱한 밤들, 열대 몬순 기후의 그 습하고 길었을 밤들을... 

...

 

 

이거 참.

아, 이거 정말.

'절대 울어선 안된다니...'

 

What's fuck the human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묵직하고 풍성한 사유와 잘 벼린 시선으로 현대 미국의 이면을 유려하고 담백한 문장에 담았던

<거꾸로 달리는 미국> 때문에 알게 된 유재현. 그를 다시 만나고 있다. '동남아시아의 역사'라는

테마로 기획하고 있는 '어떤 일'의 레퍼런스 리서치로 시작했다가 빠져들고 있다.

 

필리핀,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대만, 태국, 인도차이나 국가들을 엽서 풍경이나 지리가 아니라 '역사와 이념'으로 설명하고 해설하며 분노하는 그의 책들을 보며  많이 배우고 있다. 킬링 필드의 진실, 대만 2.28.사건에 대해서도, 인도네시아에서 일어난 학살과 필리핀의 정치적 현실과 고달픈 민중의 삶..그리고 낙인과 같은 아시아 지역에서의 미제국주의의 망령도.

 

그의 책들을 다 읽고 나서 긴 리뷰 하나를 마음 먹고 쓰고 싶다.

 

아시아의 오늘을 걷다 : 민주화 속의 난민화, 그 현장을 가다
거꾸로 달리는 미국- 유재현의 미국사회 기행을 정말 권한다.

 

 

특히 <아시아의 오늘을 걷다>는 2009년판이니 현재와  5년의 시차가 있는데도

 

전혀 위화감이 없는것이 되려 슬프다. 어떤 변화도 없었다.

지난 5년 간 그 나라들의 민중들에겐.

 

 

유재현 선생. 최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4년이나 지났지만

그날 아침의 황망함과 당혹스러움은 잊혀지지가 않네.

세상에.

 

너무 일찍 온 만큼 먼저 간 사람.

내가 뽑은 대통령.

노무현.

 

R.I.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