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디어의 미래 - 디지털 시대, 지적재산권의 운명
로런스 레식 지음, 이원기 옮김, 윤종수 감수 / 민음사 / 2011년 12월
평점 :
절판


  "내게서 아이디어를 얻는 사람은 나의 아이디어를 줄이지 않고 가르침을 받는다. 내 초에서 불을 붙이는 사람은 내 불을 꺼뜨리지 않고 빛을 얻는다." - 토머스 제퍼슨


  혁신의 '폭발'은 중립적 플랫폼에서 일어난다.

  새로운 기술환경에 대한 섣부른 통제는 그 불꽃을 조기에 꺼뜨려 버릴 수 있다.

  혁신 동기를 유발하면서도 혁신 역량을 제한하지 않는, 적정한(섬세한) 권리 경계 획정이 필요하다.

  유형 레이어, 코드 레이어, 콘텐츠 레이어 각각의 차원에서...


  6장에 나오는 다음 원칙은 하나의 지침이 될 수 있을 것 같다.

  어느 자원이 어떻게 활용되어야 할지 잘 모르겠을 때에는 그 자원을 공유재로 남겨 두는 편이 바람직하다. 그래야 많은 사람들이 다양한 용도를 실험해 볼 수 있다. 특정 자원의 용도가 명확하지 않고, 어떻게 사용해야 가장 효율적일지를 확실히 알 수 없다면, 가능한 한 많은 사람들이 그 자원을 사용,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반면 어떤 자원이 어떻게 활용되어야 하는지를 확실히 아는 때에는 그 자원을 통제 시스템-재산권법제-에 편입시키는 것이 타당하다. 용도가 분명한 자원은 바로 그 용도에 사용될 수 있게 하는 것이 사회적 관점에서 가장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누가 가장 잘 사용할 수 있는지를 찾아, 그에게 소유권을 부여하고 그 재산권을 행사할 수 있게 할 때, 그 자원의 효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


  대가의 풍모가 느껴진다(레식 교수의 학문적 영향력에 관해서는 다음 포스팅을 참조 http://blog.aladin.co.kr/SilentPaul/9319098).


  얼마나 팔릴지 장담할 수 없는 이런 학술서를 번역하기로 결심한 출판사와 옮긴이에게는 일단 고마운 마음이다.

  그러나 'externalities'를 흔히 쓰는 경제학 개념인 '외부성' 내지 '외부효과'가 아니라 단지 '외부적 영향'으로(159쪽),

  'hold-up'을 '버티기'나 적어도 '알박기'가 아니라 그 의미가 전혀 달라져 버리게 되는 '바가지 쓰기'로(341쪽, '바가지 씌우기'도 아니고... 차라리 그냥 '홀드업'이라고 하는 편이 나았을 것이다) 번역한 것에서 보듯,

  번역자 선정이 반드시 적합하였는지는 의문이다['winner's curse'도 '승자의 재앙'(370쪽)보다는 '승자의 저주'라 옮기는 것이 보다 일반적이라고 보인다].

  감수자 주석이 꽤 효과적이기는 한데(그러나 그 위치가 본문과 너무 안 맞다), 위와 같은 개념어 구사 등 정확한 번역에도 조금 더 신경을 써주셨더라면 좋았을 것 같다.

  미주도 어떻게 처리할 생각이셨는지, 중구난방에다, 너무 가독성이 떨어진다.


  다음과 같은 책들을 같이 읽어볼 수 있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