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들이 떠나간 숲은 적막하다 법정 스님 전집 7
법정 지음 / 샘터사 / 2002년 3월
평점 :
절판


추천권유도 8  

  

겨울산이 적막한 것은 추위 때문이 아니라 겨울산에 새 소리가 없어서라는 '화두'

시작되는 이 에세이는, 각박하고도 어려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가 한 번쯤은 되짚어

볼 만한 문구들로 채워진 작품이었다.

어느 때보다 '자기 성찰''미래'에 대한 준비가 필요한 시대를 밝혀 줄 명상집이었다고

작품을 평하고 싶다. 무엇을 느끼고 그 소감을 적기 보다는 책 속에서 법정스님께서 하신

말씀을그대로 옮겨 적어 보고자 한다.

읽는 이들로 하여금 그 분의 음성을, 생각을, 마음을 직접 체험해 보라는 의미로...

- 책을 통해 자기 자신을 읽을 줄 알아야 한다.

- 고귀한 성인의 말씀이라 할지라도 그것이 책 속에 갇혀 있는 한, 그것은 한 낱 그 사람이

   남긴 찌거기에 불과하다.

- 식물에도 영혼이 있다.(독일의 철학자이며 심리학자 '페히너')

- 개체의 삶은 제멋대로 아무렇게나 사는 것이 아니라 전체의 삶과 조화를 이룰 때에만

   그 가치를 부여할 수 있다.

- '사랑''이해'는 사람의 중심을 통해서 이루지고, '인간의 진실'은 말없이 묵묵히 일하는

   속에서 꽃 피어난다.

- 소유를 필요한 최소한의 것으로 제한하는 것이 정신활동을 자유롭게 한다

   소유에 눈을 팔면 마음의 문이 열리지 않는다.

- 깨달음은 굳이 말을 하자면 보름달처럼 떠오르는 것이고, 꽃향기처럼 풍겨 오는 것

   그러니 깨닫기 위해서 정진한다는 말은 옳지 않다.

   또 깨달음에 도달하는 길은 두 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자기 '자신을 안으로 살피는 것

   이고 다른 하나는 '이웃에게 나누는 자비의 실현'이다.

- 수행하는 것은 새삼스럽게 깨닫기 위해서가 아니라 그 깨달음을 드러내기 위해서이다.

- 자기반성이 결여된 종교는 온전한 종교일 수 없다.

- 공부가 됐건 무엇이든 전적으로 하라. 어중간한 것은 사람을 퇴보시킨다.

   하다가 그만두지 말라. 안 한 것만 못하다. 남에게 폐가 되지 않는 한 무슨 일이든지 

   전력을 기울여라. 그 때 자기 안에서 어떤 변혁이 일어난다.

   그 변혁의 과정에서 참된 자기 모습이 드러날 것이다.

- 흙에서 멀어질수록 병원과 가까워진다.

- '청빈(淸貧)'은 스스로 선택한 가난이고, '빈곤(貧困)'은 결핍에서 온 주어진 가난이다.

   따라서 청빈이란 단순한 가난이 아니라 자연의 순리에 따라 어려운 이웃과 더불어 사는

   덕이다.

- 향기 없는 꽃이 아름다운 꽃일 수 없듯이 향기 없는 삶 또한 온전한 삶일 수 없다.

- '지식'은 사람을 교만하게 만들기 쉬운데 '사랑'은 감화를 시킨다.

   '지식은 행동을 동반할 때'에만 가치가 있다. 덕행의 실천보다 더 좋은 설교는 없다.

- 노자(老子)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있고 없음은 서로를 낳아 주고, 쉽고 어려움은 서로를 이루어 주며, 길고 짧음은 상대를 

    들어 내주고, 높고 낮음은 서로를 다하게 하며, 음과 소리는 서로 화답하고, 앞과 뒤는 

    서로를 뒤따른다'

- 인간의 머리와 손으로 만들어 낸 문명이지만 거기에 너무 의존하게 되면 그 문명으로

   부터 배반을 당할 때가 반드시 온다. 문명은 온전하지 못한 인간의 작품이기 때문이다.

- 분수 밖의 욕구인 탐욕은 목마른 허욕일 뿐 근원적으로 내 것이 될 수 없다.

- 노동의 목적은 인간을 만들어 내는 것이며 또한 인간의 자기 표현수단.

- 온전한 삶에는 반복이란 없다, 늘 새로운 시작이 있을 뿐이다.

- 덕은 반드시 이웃을 거느리며 적게 가질수록 사랑할 수 있다.

- 진정한 자기 자신이 되려면 자기를 억제할 수 있어야 한다. 인간을 멍들게 하는 분수

   밖의 소유욕에 사로잡히게 되면, 그 소유의 좁은 골방에 갇혀 드넓은 정신세계를 보지

   못한다.

- 계절이 바뀔 때마다 지나간 세월을 아쉬워할 게 아니라 되풀이되는 이 반복 속에서 보다 

   심화된 삶을 가꾸어 나가야 한다.

- 자기 자신의 분수를 알면 욕되지 않고, 그칠 줄 알면 위태롭지 않다.

- 존재의 바탕인 침묵에 귀를 기울일 줄 아는 사람은 지혜롭다.

- 조고각하(照顧脚下)란 자신의 현 존재를 살펴보라는 법문이다.

- 궁극적인 자유는 자기로부터의 자유이다. 기도의 마지막 단계는 침묵 속의 명상이다.

- 진정한 명예란 자기 자신다운 긍지와 자존심을 뜻한 말이다.

- 균형과 조화는 모든 살아 있는 것들의 활기요 지혜다. 인간끼리 모여 사는 사회에도

   자정 능력이 있다. 그것은 건전한 가치 의식과 도덕성일 것이다.

- 감정은 소유되지만 사랑은 우러난다. 감정은 인간 안에 깃들지만 인간은 사랑 안에서 

   자란다.

- 이 세상은 우리의 필요를 위해서는 풍요롭지만, 우리의 탐욕을 위해서는 궁핍하다(간디)

- 행복의 척도는 필요한 것을 얼마나 많이 가지고 있느냐에 있지 않고 불필요한 것으로

   부터 얼마만큼 있다.

- 영혼에는 나이가 붙지 않으므로 나이가 어리다고 지레짐작으로 단정하지 말아야 한다.

- 가족과 친지들에게서 듣는 칭찬과 격려의 말은 우리 삶을 이루는 데 커다란 영향을 

   받는다.

- 정보를 많이 가지고 있는 사람은 불행하다.

- 생활에 불편함이 조금은 있어야 한다.그 불편함을 극복하기 위해 체력과 의식이 살아

   움직여 삶에 리듬을 가져온다.

- 불심(佛心)이란 큰 자비심이다. 대자(大慈)란 모든 중생(이웃)들에게 즐거움을 주는

   일이고, 대비(大悲)란 모든 중생의 고통을 덜어 준다는 뜻이다.

- 유능한 제자는 스승을 극복할 수 있어야 한다. 그래서 여러 속담이 있다.

   예로서 '쪽에서 나온 푸른 물감이 쪽빛보다 더 푸르다'(靑出於藍而靑於藍) '얼음은

   물에서 이루어지지만 물보다 차다'라는 말은 다 그런 의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