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 (반양장)
알랭 드 보통 지음, 정영목 옮김 / 청미래 / 2002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그 때 나는 사랑에 빠져 있진 않았지만, 사랑에 빠지려는 마음의 준비를 하고 있었던 것 같다.
그래서 이 남녀의 사랑, 아니 정확히 말하면 이 남자의 사랑에 깊이 빠져들었다.
그녀가 왠지 생각나고, 궁금하던 단계를 거쳐 그녀가 그의 마음 대부분을 차지하게 됐을 때
아무런 이유도 뚜렷한 사건도 없이 이별은 서서히 다가온다.
그러나 남자는 그 이별을 받아들일 준비가 전혀 돼 있지 않다.
왜 이렇게 된 건지, 뭐가 그녀를 변하게 했는지 모른 채 그저 이별을 맞이했을 뿐이다.
인정하지도 못하고 전혀 이해되지도 않는 상황에서 고통스러워 하던 그는 결국...
새로운 만남을 가지게 된다(?) - 정확히 쓰여 있지 않지만 새로운 사랑에 빠질 것이다(!)
사랑이 먹구름처럼 지나가며 많은 비를 쏟아버린 뒤, 밝은 햇살이 비치며 또 다른 사랑이 다가오고,
뭐 그렇게 인생도 흘러가는 법이다.
라고 그 때의 나는 생각했던 것 같다.
지금의 나는... 이 책에서 작가의 언어표현력에 놀란다.
사람의 감정이란 걸 꼭 꼬집어 말하기가 어려운데
그 남자의 내면을 맑은 거울처럼 들여다 보고 이렇게 분명한 어조로 전달할 수 있다니...
사랑과 그냥 제멋대로 살도록 건드리지 않고 놔 두는 것을 동시에 말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그럭저럭 별탈없이 살고 있다면 우리는 대체로 사랑받지 못 하고 있는 셈이다. 연인들 사이가 공공연한 적대감 이상으로 잔인한 상황을 드러낼 수도 있다는 사실을 사람들은 왜 인정하지 않는 것일까. (심지어는 가능성조차 고려해 보지 않는 것일까)
어떤 재앙이 닥칠 때면 어김없이 우리는 왜 그처럼 끔찍하고 견딜 수 없는 형벌을 당해야 하는지 이해하려고 일상적인 인과적 설명을 넘어선 이유를 찾고자 한다. 그 사건이 압도적이면 압도적일수록 우리는 객관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어떤 의미를 그것에 부여하려 하고, 일종의 심리학적 운명론으로 빠져드는 경향이 있다. 슬픔으로 당혹하고 탈진한 나는, 끝날 줄 모르는 물음표와 혼돈을 이해하려는 마음에서 비롯된 상징들, 즉 '하필이면 왜 나지? 왜 이런 일이? 왜 지금?' 등과 같은 물음표로 질식되기 시작했다. 내 주위에 맴도는 이유없는 사건의 이유를 설명해 줄 근원이나 징조나 잘못을, 내가 입은 상처에 잘 듣는 진통제를, 개별 사건들의 연계점들을, 아무렇게나 흩어져 있는 내 인생의 점과 선들 위에 혹시라도 연결되어 있을 행동유형을 찾고자 과거를 샅샅이 찾아 헤맸다.
나는 세계가 내 영혼을 반영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새삼 깨달았다. 세계는 독자적인 실재이며 내가 사랑에 빠졌든 그 사랑에서 벗어났든, 행복하든, 불행하든, 살아있든, 죽었든 아무 상관없이 돌아가고 있었다. 내 기분에 따라 세계의 모습이 달라지기를 기대할 수 없었고, 내 사랑따위에는 아랑곳하지 않는 이 거리의 거대한 콘크리트 구조물에게도 그것을 기대할 수 없었다.
이 책은 명료한 단어로 '사랑'을 이야기한다.
그래서 최근에 사랑의 아픈 경험이 있으신 분들에겐 최고의 치료제가 될 수 있을 듯 하다.
누구도 어떻게 추스릴 수 없었던 감정을 조금이나마 정리할 수 있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