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분은 금물, 침착하게 대하세요

1. 우선 성폭력 발생 사실을 부인하지 말고 사실로 받아들여야 한다.

2.  흥분하여 아이를 다그치지 말고 침착한 태도를 보인다.

3.  아이에게는 너의 잘못이 아니며 더 이상의 피해가 없을 것이라고 이야기해 준다.

4.  아이의 이야기 속에서 정보를 수집한다.

5.  필요한 경우 병원에 대려간다.

6.  신고 여부를 결정한다.

  이 과정에서 부모는 아이를 지켜 주지 못했다는 자책감, 분노 때문에 아이에게 화를 내거나 아이의 의사와 관계없이 고소를 진행하기도 한다. 또는 아이가 제대로 크지 못할까 너무 염려하는 부모의 모습이 오히려 아이의 상처 회복을 방해하는 경우도 많다.

 엄마들은 성폭력 피해 후 아이의 후유증이 오랫동안 남게 될까 봐 걱정을 많이 하는데, 후유증은 그런 일을 당했다는 경험 그 자체 때문이 아니라 그 경험을 둘러싼 주변인들의 반응, 대처에 따라서 좌우된다. 엄마가 너무 걱정하는 모습도, 그렇다고 그날 이후 다시는 그 부분에 대해 이야기를 꺼내지 않는 모습도 바람직하지 않다.

 당시에는 당황하지 않고 침착한 태도를 보이는 것이 중요하고, 시간이 좀 흐른 후에는 그 때 엄마가 참 힘들었지만 네가 잘 견뎌 주어서 고마웠다고, 엄마를 믿고 이야기를 해 주어서 참 기뻤다고 솔직하게 이야기하면서 서로가 감정 정리를 하는 기회를 갖는 것도 필요하다. 경황이 없는 가운데 행여 아이가 그 당시에 상처를 받은 부분이 있었다 하더라도 이런 기회를 통해 자신의 잘못이 아니었고, 부모로부터 배려와 신뢰를 받는다는 것을 새삼 확인하게 된다면 그 상처는 자연스럽게 치유될 것이기 때문이다.

 

성폭력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들

1.  평소에 아이가 성에 대해서 호기심을 보일 때 회피하지 말고 몸에 대해 교육을 한다.

2.  아이에게는 나는 항상 네 편이며 어려운 일이 생기면 즉시 도움을 청하라고 한다.

3.  싫거나 불쾌한 느낌이 들 때에는 "싫어요, 안돼요!"라고 말하도록 연습을 시킨다.

 

 여기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은 평소에 아이와 엄마가 신뢰를 바탕으로 한 충분한 대화를 하는 것이다. 늘 아이의 일거수 일투족을 감시하거나 따라다닐 수 없으므로 평소 이야기가 많이 이루어진다면 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도 있고, 초기에 대처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본다면 좋은 엄마란 어쩌면 아주 간단하게 정의내릴 수 있는 것일지도 모른다.   내 아이를 믿는 것, 그리고 내 아이가 믿는 사람이 되는 것이다.

 

성교육 및 성교육 관련 상담 기관

내일여성센터의 탁틴스쿨

 => www.youth-n.com      02-3141-6191

서울시립청소년 성문화센터의 '아하! 성문화센터'

 => aha.ymca.or.kr      02-677-9220

지역사회교육협의회의 '부모 카페'

 => www.kace.or.kr     02-424-8377

한국성폭력 상담소

 => www.sister.or.kr    02-338-5801

 

성교육 관련 책과 비디오

쉿, 나도 어른이 되어 가고 있어요 1,2 (웅진닷컴)

성교육 영상백과 시리즈 신세대 성교육 가이드 (초등학생용)

내 몸은 보물이에요 (비디오)

만화로 보는 성교육 1,2 (비디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진/우맘 2004-10-03 00: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울 아파트의 할아버지 몇 분이 딸아이를 예뻐하세요. 그런 호의가 흔쾌하게만 받아들여지지 않는 것이...이런 세상이 참 싫네요.
 

NQ(Network Quotient)란?

네트워크 사회에서 다른 사람과의 소통 능력임과 동시에 서로 어울려 살기 위새 갖추어야 할 공존 능력을 말합니다. 그렇다면 자녀의 NQ를 늘리기 위해서는 어떻게 도와주어야 할까요?

 

1. 가족과 친척, 친구에 대해 알게 하세요.

가족, 친척, 친구의 이름, 생일, 연락처, 기념일 등을 알게 하세요.

이런 내용을 칸이 넓은 달력에 기록한 후 눈에 띄는 곳에 걸어두고,

달력의 기록을 보여 특별한 날에는 전화를 걸게 하세요.

특히 자주 만날 수 없는 먼 곳에 있는 친척이나 친구에게 연락을 하는 것이 좋아요.

그리고 지난 달력의 기록을 작은 수첩에 따로 적어두면 다음 해에도 유용하게 쓸 수 있습니다.

 

2. 책을 읽게 하세요.

자신의 주변을 살피며 따뜻한 마음을 가질 수 있도록 

가족과 이웃에 대한 이야기가 담긴 책을 읽게 하세요.

그리고 이웃의 의미, 우리 주변의 이웃, 이웃을 대하는 자세에 대해 함께 이야기를 나누어 보세요.

또 가족사랑과 이웃사랑에 대한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것도

사회성을 기르는 데 많은 도움을 줍니다.

 

3. 일기와 편지를 쓰고 가족 신문을 만들어 보세요.

다른 사람을 위해 착한 일을 했거나 부모의 말을 잘 들었다면

육하원칙에 따라 간단하게 일기로 나타낼 수 있도록 하세요.

이런 선행 일기나 효도 일기와 함께 솔직한 마음을 전해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더 가깝게 하는 편지를 써 보는 것도 좋지요.

그리고 가족의 이런저런 소식을 알리는 가족 신문을 만들어 친구, 친척, 이웃들에게 나누어 주세요.

가족과 이웃이 서로 이해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4. 뉴스를 보게 하세요.

우리 주위에서 일어나는 최신 정보를 알 수 있는 신문, TV뉴스, 인터넷 뉴스 등을 통해

이웃과 세계에 대한 관심을 가지게 하세요.

그 과정 속에서 자녀는 다른 사람들의 생각을 알게 하고

또 자신과 처지가 다른 사람들의 모습도 알 수 있지요.

그리고 이웃을 돕는 ARS 전화를 통해

더불어 살아가는 따뜻한 마음도 배우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5. 심부름을 시키세요.

슈퍼마켓에서 물건을 사오게 하거나

옆집이나 경비 아저씨께 음식을 나누어 주는 심부름을 시켜보세요.

그런 활동은 다른 사람을 생각하게 하고 예의 바른 행동을 기르는 데 도움을 주지요.

심부름을 시킬 때에는 강요가 아닌 부탁의 형식으로 말하며,

자녀의 자유 의지에 따라 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6. 인사를 하게 하세요.

인사에는 사람을 섬긴다는 뜻이 들어 있어요.

그래서 인사를 사람 일의 시작과 끝이며 사람 일 중에 으뜸이라고도 하지요.

'안녕하세요' ,  '고맙습니다',  '미안합니다' 등의 인사를 큰소리로 말하게 하세요.

이런 인사를 통해 자녀는 스스로를 낮추고, 남을 높일 줄 알며,

상대방에게 기쁨을 주는 사람으로 성장하게 될 것입니다.

 

7. 다양한 친구들과 어울리게 하세요.

특정한 친구와 어울리는 것보다 다양한 친구들과 어울릴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세요.

다양한 친구와의 경험은 사회적 능력을 습득할 수 있는 기회이며,

친구는 사회적 문제를 풀어나갈 때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지요.

그러므로 자녀의 생일에는 가족끼리 보내는 시간과 함께

친구들과 보낼 수 있는 시간을 꼭 만들어 주세요.

혹, 친구의 생일에 갈 수 없는 상황이라면 선물이나 편지 등으로

미리 마음을 전하는 것이 좋습니다.

 

8. 어른을 자주 만나게 하세요.

친척이나 이웃 중에서 아이가 본받을 만한 어른이 있다면 자주 만날 기회를 갖게 하세요.

자녀는 어른과의 만나믈 통해 오랜 경험에서 우러나오는 삶의 지혜를 배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른과 대화할 때의 옷차림과 말씨에 대해 스스로 많은 생각을 하게 될 것입니다.

 

9. 봉사 활동을 하게 하세요.

기회가 닿으면 작고 쉬운 일이더라도 다른 사람을 도와주는 봉사 활동을 직접 경험하게 하세요.

봉사활동의 경험믈 통해 자녀는 다른 사람을 배려하는 마음을 기를 수 있고,

동시에 사회 속에서 자신의 역할에 대해 자신감과 긍지를 가지게 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자녀의 창조성이 자라지 못 하도록 하는 10가지 방법>

 

1. 대세에 순응하면서 남들과 다르지 않게 행동하도록 하며,

   늘 다른 사람과 비교하면서

   그사람과 똑같은 아이가 되도록 한다.

 

2. 아이의 생활을 늘 감시하고, 조언을 해주고 규칙을 정해주며,

    아이의 놀이를 방해한다.

 

3. 남아돌 정도의 장난감을 주고, 아이가 지루해 하지 않도록 부모가 책임을 지고

   놀이나 일을 정기적으로 계획하여 준다.

 

4. 어릴 때부터 아이가 경쟁을 배우는 것을 몹시 좋아하며

   경쟁에서 이긴 것만을 칭찬해 주고,

   그 원인이 된 행동은 칭찬해 주지 않음으로써

   결과를 중시하도록 한다.

 

5. 안전한 쪽에 서서 무슨 일이 있어도 위험을 피하도록 가르치고,

    그림을 그릴 때는 선 밖으로 절대 못 나가게,

    글씨는 정자로 쓰도록 강요하여

    고정관념을 키워준다.

 

6. 언제나 아이는 틀리고 부모는 옳다는 태도를 취하여

   아이가 자주적으로 생각하지 못하도록 한다.

 

7. 아이가 문제에 부딪쳤을 때 안절부절하며 즉시 도와 줌으로써

    해답을 찾을 기회를 주지 않는다.

 

8. 아이가 혼자 있고 싶어해도 그런 시간을 만들어 주려 하지 않음으로써

   틀에 박힌 생활에 안주시킨다.

 

9. 부모를 기쁘게 하기 위해 언제나 순종할 것을 장려하고,

   인생의 지표로서의 윤리관을 심어 주려고 하지 않는다.

 

10. 인생에서 여러 가지 모험을 해 보는 것이

     불필요한 시행착오를 낳게 할 것임을 강조함으로써

     단념하도록 한다.

 

                                                  -  http//www.cream@cream.co.kr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 9세 이전에 돈에 대해 올바른 가치를 가르쳐라.

   보통 초등학교 2학년쯤 되면 좋고 싫음의 가치가 분명해지기 때문이다.

   16세(중학교 3학년)부터는 자신의 재산을 갖게 하라.

 

2. 원가의식을 심어 주자.

   태어나서 지금까지 자신에게 들어간 돈(원가)이 얼마인지를 알고 자라야 한다.

   부모의 사랑은 돈으로 계산할 수 없지만,

   이만큼 자라기까지 필요한 물질적 자원의 양이 얼마인지를 가르친다.

   부모로부터 부채(빚)를 지면서 인생을 살아간다는 것을 알려주기 위함이다.

 

3. 자기자신만의 자본(기술과 지식)이 필요하다고 가르쳐라.

   남의 기술과 지식으로 돈을 버는 시대는 갔다.

   빌려 쓰는 사용료(로열티)는 경쟁력을 떨어뜨린다.

 

4. 번 돈은 반드시 사회에 되돌려 줌을 가르쳐라.

   성공의 가장 중요한 의미는 봉사에 있다.

   미국 부모들은 용돈 기입장에 기부금 항목을 별도로 두고 있다.

 

5. 경제 모델은 부모이다.

   부자는 습관이 만든다.

   어릴 때부터 일을 하게 해서 고생을 경험시킨다.

                                                       

 

                                                 - 출처 : 소년 조선일보 (2001.11.0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 엄마가 키워야 정서적으로 안정된다.

   "애는 역시 엄마가 키워야 해."

   흔히들 이런 생각을 많이 한다.

   또 미리 양육자나 알머니 손에서 자라는 아이들은

   뭔가 다른 점이 있다는 편견도 많다.

   물론 돌까지는 엄마가 키워주면 안정감과 친밀감을 형성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된다.

   그렇지만 맞벌이 엄마들의 경우 짧은 시간이라도 집중적으로 놀아주고

   아빠가 육아에 적극 참여한다면 별 문제가 될 것은 없다.

   오히려 괜한 죄책감이 아이와의 관계에 걸림돌이 될 수도 있다.

 

2. 기는 무조건 살려 주어야 한다.

   만 3세까지는 자기중심적일 수밖에 없으므로

   아이가 양보심이 없고 천방지축이라고 해서 너무 나무랄 것은 아니다.

   그렇지만 이 때부터 조금씩 친구나 형제들에게 양보하고,

   사람들 많은 데서 지켜야 할 예절을 가르쳐야

   만 3세 이후 자율성이 발달할 때 잘 적응할 수 있다.

   유치원에 가면 다 배운다는 생각은 잘못이다.

   아이의 뜻을 존중하되 옳고 그름의 기준을 잃어서는 안된다.

 

3. 칭찬은 무조건 많이 해 줄수록 좋다.

   칭찬을 많이 해서 아이에게 자신감을 심어주는 것은 당연하다.

   그러나 칭찬을 너무 남용하는 것은 아닌지 되돌아 본다.

   만 3세 정도가 되면 자신의 행동이 칭찬받을 만한 것인지 아닌지를 알기 시작한다.

   이 때부터는 이유가 확실할 때만 칭찬을 해 주어야 한다.

   칭찬을 할 때는 어떤 점이 칭찬받을 만한 것인지를 꼭 짚어준다.

   그렇지 않으면 아이는

   ' 아니, 왜 칭찬을 하지?  뭔가 다른 이유가 있나? '

   하는 의심을 품을 수 있다.

 

                                                    - 출처 : 한겨레신문(2001.04.2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