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흔의 서재]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마흔의 서재
장석주 지음 / 한빛비즈 / 201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서른이 엊그제 같은데 어느새 마흔을 향해 달려간다. 스물에서부터 시간이 어떻게 지나갔는지 모르겠다. 서른은 먼 나라 이야기라고만 생각했는데 벌써 마흔이라니.. 난 내 삶에 마흔은 안 올 줄 알았다. 하지만 시간은 속절없이 내 의지와는 다르게 흐르고, 나이에 맞게 살지 못하는 것 같아 아쉬움만 늘어간다.

책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그렇겠지만 스무살부터 나만의 서재를 꿈꿨다. 언젠가 내가 세상을 떠나는 날 누군가 내 서재를 보며 '~ 이런 사람이였구나..'란 생각이 들만한 서재를 만들어 보리라, 또 나의 아이에게 다른 건 몰라도 멋진 서재를 물려줘야겠구나란 그런 생각으로 책 읽고, 사고 그랬던 것 같다. 하지만 살다 보니 책 읽을 시간은 다른 것에 빼앗기고, 하루 한 줄도 읽지 못하는 날이 늘어갔다. 다시 시작해보리란 생각으로 책을 읽으려는데 사람 습관이 무서운 것인지 책 읽기에 소홀했더니 진도도 안 나가고, 속도도 안 붙어 힘들다.

마흔을 불혹이라지만 요즘 세상에 그런 사람이 몇이나 있을까 싶다. 유혹이 너무나도 많은 세상. 매 순간 선택을 해야 하고, 빠른 선택을 강요하는 세상에서 하지 말아야 할 것도 해야 할 것이 너무 많은 나이 마흔.  그러기에 저자는 '마흔의 서재'가 필요하다고 말한다. 자신을 둘러보고, 사색하는 시간이 절대 필요하다고 말이다. 그런 의미에서 저자가 부럽다. 부러우면 지는건데 그래도 부러운건 부러운거다. 자연을 벗하고, 자신의 서재에서 책을 읽고, 글을 쓰며 사색하는 삶을 살아가는 그가 해준 책 이야기는 그래서 가감이 없었다.  

새해가 되어 무언가를 시작해야 할 것 같고, 아무것도 하지 않는 두려움이 몰려오는 시기 이 책을 읽으면서 적지 않은 위로를 받았다. 생각해보면 그랬던 것 같다. 대학생활에 적응하지 못했을 때, 직장생활이 힘들었을 때, 퇴직과 이직을 반복하며 말 못할 고통을 받았을 때, 병원생활로 가슴이 터질듯이 아팠을 때 나에게 위로가 된 건 다름아닌 책이였다. 밤새 책을 읽으며 고민을 잊었고, 희망을 가졌고, 정화가 되었던 것 같다. 그런데 그 좋던 책을 왜 읽지 않고 지냈던 걸까? 어쩌면 난 마음과 다르게 흘러가는 삶을 인정하기 싫었나보다. 온전히 나를 바라보기 두려워 애써 외면하며 그렇게 지냈었나 보다. 그렇기에 앞으로의 남은 인생을 더 잘살기 위해 책을 읽고, 사색을 하라는 저자의 말에 몹시 부끄러웠다.

마흔은 인생의 오후 즈음이라 한다. 언젠가부터 일출보단 일몰이 좋아지는 걸 보니 나이를 먹어가긴 하나 보다. 해가 떠오르는 밝음도 좋지만 해가 지는 어둠도 나쁘지 않다. 어차피 하늘은 모두 붉은 기운을 간직하고 있으니깐.. 나약해지지 않기 위해 더 잘 살기 위해  멋진 서재를 완성하기 위해 다시 책과 마주해야겠다. 그리고 정말 마흔이 되었을 때 이 책을 다시 읽어봐야겠다. 과연 서른 중반의 나와 마흔의 내가 느끼는 같음과 다름이 어떤지 이 책으로 비교해볼 수 있겠지.

산다는 건 세상에서 가장 어려운 일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살아갈 가치가 충분함을 오늘밤 한 권의 책으로 또 다시 느껴본다. 그것만으로도 독서의 의미는 충분한 것 같다. 열심히 읽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