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의 기별] 서평을 써주세요
바다의 기별
김훈 지음 / 생각의나무 / 2008년 11월
평점 :
절판


소설가 김훈을 만난 건 방송에서 노대통령이 '칼의 노래'를 감동적으로 읽었다는 말 한마디 때문이였다. 언젠가부터 누구의 추천도서나 베스트셀러는 나와 맞지 않다는 소신으로 피해 다녔는데 그땐 왜 그 책이 그렇게 읽고 싶었는지 지금 생각해봐도 신기하다. 그리고 며칠 걸리지 않아 책을 다 읽었다. 특별한 감동보다 이전까지 이순신은 초등학교 한 쪽에 자리 잡은 동상과 백원의 이미지였다면 외롭지만 뚝심(?) 있는 조선의 영웅이란 한 문장이 덧붙여졌을 뿐 큰 변화는 없었다. 그러나 '현의 노래' '남한산성'으로 소설가 김훈은 베스트셀러 작가 대열에 들어섰지만 그의 책은 더 이상 읽지 않았다.

언젠가 수필에 열광하던 시절이 있었다. 소설은 작가의 구상과 상상으로 만들어지지만 수필은 한 다리 건너서 만나는 것이 아니라 직통으로 만날 수 있으니깐 말이다. 그래서 때론 더 재밌고, 작가와 친해질 수 있는 좋은 안내자라 생각했다. 하지만 어느 순간부터 수필과 소설 사이에 혼돈이 일어나기 시작했다. 친해진다는 건 어느 정도 거리가 필요할 때보다 방해될 경우도 있다는 사실. 그래서 되도록 작품을 많이 읽어본 작가가 아니라면 구태여 수필을 읽을 필요가 없다고 생각했다. 그의 작품이 어떤지도 모르면서 무작정 그와 친해질 필요는 없을테니깐..(과연 친해질 가능성이 있을까? 시간을 들이지 않고 말이다.. 그건 친하다고 할 수 없지~)

자전거하면 역시 김훈이 떠오른다. 자전거를 아직 못 배운 나에겐 자전거타면서 하이킹하는 건 그림의 떡이다. 자전거 출퇴근에 세계여행까지 그야말로 마음만 먹으면 뭐든 할 수 있는 자전거를 못 탄다는 상대적 박탈감. 그런데 그는 만만치 않은 나이에도 불구하고, 전국 곳곳을 비롯해 해외까지 자전거 여행을 한다. 반바지차림에 백발의 머리위에 놓인 야구모자와 둘러맨 배낭. 연필로 글 쓰는 고집만큼이나 강단 있는 모습이지만 그 역시 자전거를 못타는 나에겐 큰 감흥을 읽으키진 못했다.


이처럼 김훈은 나와 공유할 것이 없는 작가였는데 그의 에세이를 읽었다. 그런데 꽤 맘에 드는 부분이 많아 휘리릭 페이지가 넘어가는데 이 책은 정녕 에세이인가 의문이 들었다. 부록으로 붙여진 서문과 수상소감이 과연 본래의 책이 아닌 에세이에 덧붙여 나올 필요가 있었는지 의구심이 들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족이야기나 박경리 선생님과의 일화, 강연내용은 참 맘에 들었다. 삶에 대한 그의 진중함을 느낄 수 있었으니깐 말이다. 밥값을 하기위해 기자를 시작했고, 오랜 시간이 흘러 소설가가 되었다는 그에게 밥벌이의 지겨움은 느껴지지 않는다. 그저 쓰기위해 쓸 뿐이라는 글쓰기의 의무 혹은 당위성이 느껴질 뿐이다. 그와 공유할 수 있는 무언가를 찾아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