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명화로 만나는 생태 2 - 조류 ㅣ 명화로 만나는 생태 2
김성화.권수진 지음, 이철민 그림 / 국립생태원 / 2021년 8월
평점 :
지구에 사는 생물에는 하늘을 나는 새도 있다. 새가 있어서 사람은 비행기를 만들었다. 새가 없었다면 사람은 하늘을 날려고 했을까. 하늘을 나는 것에는 새뿐 아니라 곤충도 있구나. 곤충인 잠자리를 본 뜬 게 헬리콥터겠다. 새는 공룡이 있던 때도 있었다. 시조새라고 해야 하나. 공룡에 날개가 있었을지도 모르는 화석을 찾았다고 한 듯하다. 지금은 공룡이 사라졌지만, 아주 사라지지 않았다고도 한다. 새는 하늘과 땅 사이에 살아서 ‘새’다. 이 말 처음 안 것 같다.
이 책은 《명화로 만나는 생태》 두번째로 조류인 새를 다루었다. 새만 나오지 않고 그림을 먼저 보여주고 그 새가 어떤지 알려준다. 새는 여기 담긴 것 말고도 더 있겠지만, 여기에는 공작 고니 기러기 흰뺨오리 매 독수리 따오기 두루미 갈매기 비둘기 올빼미 물총새 딱따구리 제비 참새 까치 까마귀 앵무새 벌새 펭귄 스무가지 새가 나온다. 새는 비슷한 것끼리 목으로 나누고 목은 세세하게 ‘과’로 나누고, 과는 세세하게 ‘속’으로 나누고, 속은 세세하게 ‘종’으로 나눈다. 이런 거 전문가는 잘 기억해야겠다. 나 같은 사람은 그저 새 이름으로만 안다. 새 이름 아는 것도 있고 모르는 것도 많다. 여기 담긴 건 사람과 가까이에 사는 것도 있고 평소에 보기 어려운 것도 있구나.
사람이 새 생활을 다 아는 건 아닐 거다. 새는 사람을 무서워해서 모습을 잘 나타내지 않는단다. 제비는 산에 살다 사람이 사는 처마 밑에 둥지를 만들었더니, 뻐꾸기나 천적인 황조롱이가 가까이 오지 않는다는 걸 알고 사람이 사는 곳으로 오게 됐단다. 하지만 요즘은 제비 보기 어렵다. 내가 어릴 때는 제비를 봤는데. 지금은 제비가 집을 지을 곳이 마땅치 않고, 농사에 농약을 많이 써서 제비가 줄어들고 이제 사람 가까이에 살기 어렵다고 느끼고 다른 곳으로 갔을지. 따오기는 한국에서 거의 사라졌다. 논에 사는 새인데. 따오기는 내가 어릴 때도 못 봤다.
참새는 사람과 가까이 사는 새구나. 참새가 곡식을 먹는다고 한때 중국에서 참새를 없앴다. 그때 농사가 잘 됐을까. 참새는 벌레를 잡아먹기도 하는데, 참새가 있어서 농사가 잘 되기도 하는 건데, 사람은 참새와 조금 나눠 먹는 걸 아깝게 여겼구나. 제비도 벌레를 많이 잡아먹는다고 한다. 지구에 사람만 살면 안 되지. 새뿐 아니라 다른 동물도 함께 살아야 한다. 독수리는 동물 사체를 청소하기도 한다. 독수리도 많이 줄지 않았던가. 포유류에서는 하이에나가 동물 사체를 청소하던가.
<갈대와 기러기>, 안중식
<호취도>, 장승업
조선시대 사람이 그린 그림이나 백자가 담기기도 했다. 안중식이 그린 <갈대와 기러기>에는 편안한 노년을 보내라는 뜻이 담겼단다. 그림에 그런 뜻을 담기도 하는구나. 장승업이 그린 <호취도>에서는 멋진 매를 볼 수 있다. 지금은 매도 보기 어렵던가. 조선시대에는 매로 사냥하기도 한 것 같은데, 매도 일제강점기 때 많이 사라졌던가. 청나라에서 좋은 매를 바치라고 한 것 같기도 하고. 새는 가슴 근육이 발달하고 뼈가 가벼워서 난다. 새가 날려면 공기가 있어야 한다. 깃털이 있는 건 새뿐이고 깃털은 최고 보온재고 방수 비옷이기도 하다. 깃털 때문에 사람이 새를 많이 잡기도 했다. 오래전에는 깃펜도 있었구나. 그건 저절로 떨어진 것만 썼기를.
포유류에는 땅에서 바다로 간 고래가 있다. 새에도 바다로 간 게 있다. 그건 펭귄이다. 펭귄은 하늘이 아닌 물속을 날아다닌다. 펭귄이 남극에 산다고만 생각했는데, 펭귄은 짝짓기와 새끼를 돌볼 때만 남극 땅에서 지내고 다른 때는 바다에서 지낸단다. 이거 처음 안 것 같다. 펭귄이 먹을 건 바다에 있구나. 새에는 처음 짝과 평생 사는 것도 많다. 새가 그러는데 사람은 마음이 바뀌기도 하다니. 새 머리가 작아서 머리가 나쁘다고 여기기도 하는데, 새에도 똑똑한 게 있다. 까치, 까마귀, 앵무새. 한자 이름보다 한글 이름으로 말하는 게 나은 새에는 고니(백조), 두루미(학)가 있다. 학과 두루미 다른 새로 여기고 비슷하게 생겼다고 생각했던 것 같다. 학보다 두루미라는 말을 생각해야겠다.
까마귀는 모두 까만색이다. 까만색은 눈에 잘 띌까. 까마귀는 무리를 지어 살고 서열이 있다. 까마귀가 모두 똑같이 보여도 까마귀는 서로를 알아본다. 서열 1위는 서열 2위는 경계하지만 서열이 낮은 까마귀한테는 너그럽단다. 까마귀는 서열 2위가 서열 꼴찌를 괴롭히면 서열 1위가 나서서 서열 2위를 막는단다. 그렇게 해서 까마귀는 큰 싸움을 하지 않는다. 한국에는 비둘기가 많은데, 오래전에 풀어놔서다. 비둘기는 먼 곳에서도 집을 찾아온다. 사람이 훈련을 시켜야 한다. 세계 전쟁 때 많은 사람을 구한 비둘기도 있다. 이젠 그런 비둘기가 사라졌다.
<물가의 물총새>, 빈센트 반 고흐
<까치>, 클로드 모네
고흐가 까마귀를 그린 그림 <까마귀와 밀밭>은 알았는데, 물총새를 그린 <물가의 물총새>는 처음 보았다. 물총새는 물고기를 아주 잘 잡는단다. 고흐는 어렸을 때 동물이나 자연을 잘 봤다는 게 지금 생각났다. 그림을 그리는 사람은 뭐든 잘 보겠다. 모네 그림 하면 수련이 생각나는데, 여기에는 까치를 그린 <까치>가 실렸다. 그때는 그 그림을 좋게 평가하지 않았던가 보다. 책에서 그림도 보고 새를 알기도 해서 괜찮았다.
*더하는 말
밑에 글을 옮기다 보니 느낌표가 자주 나왔다. 아이들 책이어서 그런 거겠지만. 그냥 써도 될 것 같은데. 느낌표의 안 좋은 기억이 있어서 마음 쓴 건지도. 지난 시월에 기러기가 온 걸 소리로 알았는데, 이번에도 기러기가 온 걸 소리로 알았다. 2024년에도 기러기가 한국을 찾아왔구나. 지난해에 왔던 기러기와 같은 기러기일까.
희선
☆―
새들은 우리가 모르는 나침반을 갖고 있어!
그게 어디에 있냐고?
새 몸속 어딘가에!
그건 몸속에 있는 철 화합물일지도 모르고, 시신경 속에 들어 있는 무언가일지도 몰라. 어쩌면 새의 유전자 속에 얼마나 가야 하는지, 어느 방향으로 가야 하는지 알려 주는 프로그램이 새겨져 있을지도!
하지만 기러기는 프로그램대로만 움직이는 기계가 아니야. 해와 달이 떠오르고 지는 곳, 별자리와 바람, 냄새, 산과 들, 강 모습도 표지판으로 이용해. 그리고 배워! 어린 새는 처음으로 태어난 고향을 벗어나 겨울을 나러 먼 길을 날아가. 어른 새와 함께 무리 지어 하늘을 날며 가는 길을 배우고 익히고 기억해.
대단해, 대단해! 한번 간 길을, 그렇게 먼 길인데도 그 조그만 머릿속에 다 기억하다니! 정말이야. 한번 이동을 하고 나면 기러기 머릿속에 지도가 생겨! (32쪽~33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