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고 나면 사라지는 말이어도

마음에는 깊이 새겨진다네

좋은 말이든

안 좋은 말이든

 

차갑고 날카로운 빛을 내는 말보다

따스하고 부드러운 빛을 내는 말이 더 좋네

 

 

 

희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40세, 미혼출산
가키야 미우 지음, 권경하 옮김 / 늘봄 / 201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언제부터 사람은 엄마 아빠가 다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게 됐을까. 오랜 옛날에도 엄마 아빠가 다 있었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아주아주 옛날. 좀 멀리 갔나. 그때는 사람이 그리 많지 않고 동물처럼 본능대로 살았을지도 모를 일이다. 시간이 흐르고 사람이 이성이라는 걸 갖게 되고 여러 가지가 생기고 아빠 엄마가 아이를 기르게 됐겠지. 어느 나라나 아빠는 밖에서 일하고 엄마는 집안 일과 아이를 길렀다. 다시 많은 시간이 흐르고 이제는 남성만 바깥에서 일하지 않고 여성도 자신이 가진 힘을 쓸 수 있게 됐다. 차별이 아주 없지 않지만. 여전히 여성이 집안 일과 아이를 길러야 한다는 생각은 그대로다. 이건 한국이나 일본이나 마찬가지다. 유럽 같은 서양은 어떨까. 거기라고 다르지 않겠지만 그나마 유럽은 결혼을 그렇게 크게 생각하지 않는다(프랑스만 그럴까). 누가 혼자 아이를 기르든 말든 그걸 안 좋게 보지 않는다. 아이한테 꼭 엄마 아빠가 다 있어야 할까. 엄마나 아빠에서 한사람이 없으면 그렇게 이상한 걸까.

 

 한국에도 결혼하지 않고 아이를 낳은 사람이 없지 않을 듯하다. 하지만 살기 어렵겠지. 미혼이라는 말을 비혼이라는 말로 바꾸자고도 하던데. 굳이 그런 말 안 쓰고 혼자라고 하면 안 될까. 아이가 있든 없든. 난 그저 혼자다. 앞으로도 그럴 거고. 결혼하지 않고 아이를 갖고 낳아서 기르겠다고 생각하는 사람 참 대단하다. 아이가 자라는 건 빠를지 몰라도 그 시간을 사는 건 쉽지 않을 거다. 갓난 아기는 손이 아주 많이 갈 테니. 동물은 세상에 나오자마자 자기 발로 걷지만 사람은 그렇게 되기까지 시간이 걸리고 그 뒤에도 이것저것 가르치고 돌봐야 한다. 가르치는 것보다 사랑도 줘야 한다. 그런 귀찮은 일을. 난 귀찮다고 생각하고 그럴 일이 없어서 다행이다. 아이를 기를 때 느끼는 기쁨이 있겠지. 뭐든 경험해 보는 게 좋다 말하는 사람도 있지만 난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그런 거 모르면 어떤가.

 

 일본 사람도 남 말 하기 참 좋아하는구나 싶다. 미야무라 유코는 시골에서 나고 자랐지만 도쿄 대학에 다니고 여행사에서 일했다. 인한 지 열일곱해째로 서른아홉살이다. 회사 후배와 캄보디아로 일하러 가서 그곳 분위기에 휩쓸리고 만다. 얼마 뒤 유코는 임신한 걸 알게 된다. 유코는 서른아홉이어서 아이를 낳을 수 있는 건 이번이 처음이자 마지막이라 여긴다. 딱히 유코는 아이를 가졌으니 결혼하려는 마음은 없다. 이렇게 생각해서 다행이구나. 유코는 잠시 아이를 나을까 말까 생각한다. 결혼은 하지 않고 아이를 낳으면 둘레에서 안 좋게 보겠지. 유코 친척이나 고향 사람은 이런저런 말을 많이 했다. 회사에도 유코가 임시한 게 알려진다. 그런 게 퍼지다니. 실제로도 그럴까. 난 남 말 하는 걸 안 좋아해서 그런 말 듣지도 않는 건지도. 유코도 잠시 안 좋은 생각을 한다. 고등학교 동창생과 호적으로만 결혼하고 나중에 헤어지는 걸로. 유코는 그 동창생을 별로 좋아하지 않았지만 동창생은 유코한테 마음이 있었다. 유코는 후배가 자기 아이냐고 물었을 때 그렇지 않다 하고 고등학교 동창생 아이라 한다. 그 동창생은 스님이다. 그런데 유코는 나중에 정말 스님인 본요 호적에 올린다. 본요는 괜찮은 사람이다.

 

 한국도 호적이 있는 걸로 아는데 일본과 조금 다를까. 일본 드라마를 보면 여자가 아이를 낳고 아이 아버지한테 아이를 인지해달라는 말 하는 걸 본 적 있다. 아버지가 없으면 호적에 올릴 수 없는 걸까. 한국은 여성이 결혼해도 성이 바뀌지 않는다. 일제강점기를 지났는데도 그렇게 되지 않아 다행이구나. 한국도 여러 가지 바뀌었다. 엄마와 아빠가 헤어지고 다시 결혼했을 때 아이 성을 바꿀 수 있게 되고, 동성동본도 결혼할 수 있게 됐다. 동성동본은 좀 멀어야겠지. 십육촌 이상이어야 하던가. 바뀐 것도 있지만 그대로인 것도 있다. 아들이다. 이게 바뀌려면 시간이 더 걸리겠지. 내가 딸이어서 이런 생각을 하는구나. 남자였다면 몰랐겠지. 가진 사람보다 못가진 사람을 더 생각하는 세상이 되면 좋겠지만 가진 사람은 못가진 사람이 어떤지 잘 모른다.

 

 여기에는 결혼하지 않고 아이를 낳으려는 유코 이야기뿐 아니라 다른 나라 사람과 결혼한 사람이나 시어머니와 사이가 안 좋은 며느리도 나온다. 유코 오빠하고 언니구나. 한국도 다른 나라 사람과 결혼한 사람 다르게 보기도 하고 시어머니가 며느리를 힘들게 하기도 하는구나. 가키야 미우 소설을 보면 한국과 비슷한 느낌이 들기도 한다. 내가 잘 모르는 건지도 모르겠지만 비슷한 면 많은 듯하다. 세상은 쉽게 바뀌지 않지만 조금씩 바뀔 거다. 세상이 조금씩이라도 바뀌고 좋아지기를 바란다.

 

 

 

희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새는 언제나 노래해요

슬플 때도

기쁠 때도

 

새가

웃기도

울기도 할 텐데

그건 알 수 없네요

 

어쩌면 조금 다를지도 모르겠어요

기쁠 때는 기쁜 노래를

슬플 때는 슬픈 노래를

하겠지요

 

귀 기울이면 새 마음을 알까요

 

새는 친구 새를 부를 때도 노래해요

그건 어떤 노래일지

멋진 노래일 거예요

 

새도 무척 슬퍼서 울 때 있겠지만

그것도 노래로 나타내요

이런 생각을 하니 새가 무척 멋지네요

 

 

 

희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빨강 머리 앤 (양장) TV애니메이션 원화로 읽는 더모던 감성 클래식 2
루시 모드 몽고메리 지음, 애니메이션 <빨강 머리 앤> 원화 그림, 박혜원 옮김 / 더모던 / 2019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여러 번 읽은 책이 거의 없는데 ‘빨강머리 앤’은 여러 번 봤다. 여러 곳에서 나온 걸로. 열권으로 나온 것도 다 봤지만 생각나는 건 별로 없다. 그때는 그냥 읽기만 했으니. 읽기만 해도 잘 볼 수 있을 텐데 깊이 못 봤다. 지금도 책을 깊이 있게 보지 못하지만. 내가 <빨강머리 앤> 만화영화를 언제 봤는지 모르겠다. 몇해 전에 다시 본 건 한국말이 아닌 일본말이었다. 루시 모드 몽고메리는 캐나다 사람인데 책은 미국에서 먼저 나오고, 만화영는 일본에서 만든 게 잘 알려졌다. 그 만화영화는 1970년대에 만든 거였다. 그렇게 오래전에 만들었다니. 말하는 건 많이 어색하지 않지만 해설은 옛날 느낌이 난다. 빨강머리 앤에 나온 성우에서 길버트 역을 한 사람은 여전히 성우로 활동한다. 앤을 맡은 사람은 앤이 에이번리에 오기 전 이야기로 만든 <안녕 앤>에서 해설을 했다.

 

 만화영화 이야기를 한 건 이 책에 만화영화 그림이 담겨서다. 어디선가는 만화영화 그림으로 만화책을 냈던데. 예전에 나온 건 그리 길지 않았는데 요새 나온 건 긴 것 같다. 만화책으로 보고 싶으면 그걸 봐도 괜찮겠다. 빨강머리 앤은 일본에서 만든 만화영화 캐릭터가 인상 깊어서 다른 모습은 앤이 아닌 것 같다. 이런 생각 나만 할까. 만화가가 그린 빨강머리 앤도 있다. 그건 못 봤지만. 빨강머리 앤은 드라마로도 만들었다. 몇해 전에도 만들었나 보다. 앤은 오랫동안 많은 사람이 좋아하는구나. 이번에 앤을 보면서 나한테 이런 친구가 있다면 좋겠다 생각했다. 난 말하기보다 듣는 걸 좋아하니 말이다. 앤이 하는 말 잘 들을 텐데. 듣기도 하고 같이 이야기도 나누면 즐겁겠다. 예전에는 활발했던 앤을 부러워했던 것 같다. 지금도 다르지 않구나. 앤은 나하고는 반대다. 난 지금도 말 잘 못하고 사람 대하기 어렵다.

 

 부모가 일찍 죽은 앤은 어렸을 때 이 집 저 집에서 아이를 돌보았다. 앤은 자신을 바라는 사람이 없다 여겼다. 그러면 성격이 어두워질 것 같은데 앤은 그렇지 않았다. 앤은 상상을 했다. 예전에는 이런 생각 못했다. 나이를 먹고 앤이 참 대단하다 여겼다. 몇해 전에 앤이 프린스에드워드 섬 에이번리에 오기 전 이야기를 담은 <안녕 앤>을 보면서는 조금 울었다. 앤이 무척 안됐다는 생각이 들어서(어쩌면 그때 내 기분이 안 좋아서 그랬을지도). 그것도 소설 봤는데 별로 생각나지 않는다. 그건 루시 모드 몽고메리가 쓴 게 아니고 공모에 붙은 거였을 거다. 여기에도 앤이 마릴라와 화이트샌즈에 가면서 말하는 어린 시절 이야기가 조금 나온다. 농장 일을 도와줄 남자아이를 기다리던 마릴라는 매슈가 데리고 온 여자아이 앤 셜리를 만났을 때는 무척 놀랐지만, 앤이 하는 말을 듣고 화이트샌즈에 가면서 앤을 좋아하게 됐다. 마릴라는 자기 마음을 바로 몰랐겠지만 마음 깊은 곳에 그 마음이 있었을 거다.

 

 책이 나오고 오랜 시간이 흐르고도 많은 사람이 앤을 좋아하는 건 왤까. 앤이 긍정스럽고 밝아서겠지. 앤이 사는 곳도 좋아서가 아닐까 싶다. 프린스에드워드 섬 에이번리가. 이곳은 바다로 둘러싸이고 나무와 농장 시냇물……. 도시가 아니다. 지금은 쉽게 볼 수 없는 곳이다. 여전히 시골은 있겠지만. 앤이 살았던 시대는 전기도 차도 거의 없었다. 자연에 둘러싸인 곳. 그런 걸 바로 느끼지는 못해도 무의식은 편안함을 느낄 거다. 뺄 수 없는 것에서 하나는 마음의 친구 다이애나다. 이걸 부럽게 여기지 않는 사람은 별로 없을 거다. 앤과 다이애나는 조금 다르지만, 다르기에 친하게 지냈겠지. 앤은 퀸스 학교에 다닐 때도 다이애나를 잊지 않고 편지를 보냈다. 나이를 먹고 서로의 가정을 갖게 되고는 어릴 때만큼은 아니었겠지만. 이런 것도 생각하다니.

 

 

 

 

 

 

 

 

 오랜만에 다시 앤을 만나서 즐거웠다. 만화영화 그림이 담긴 것도 좋았다. 몇해 전에 다시 만화영화를 봤을 때 난 앤이 마릴라 자수정 브로치를 정말 갖고 나갔다가 반짝이는 호수에 떨어뜨렸는지 알았다. 그렇게 생각하게 만화영화를 만들어서구나. 마릴라가 다른 데서 자수정 브로치를 찾은 걸 보고 다행이다 여겼다. 그날 앤은 조금 늦게 교회 소풍에 가고 태어나고 처음으로 아이스크림을 먹었다. 지금 아이들은 그게 얼마나 기쁜 일인지 모를 거다. 지금은 모자란 게 없는 시대니. 아니 어딘가에는 부모가 없어서 힘들게 사는 아이가 있겠다. 그런 아이가 있다는 것도 잊지 않아야 할 텐데. 매슈는 앤이 마음껏 상상력을 펼쳐도 그대로 받아들였다. 마릴라는 앤을 조금 엄하게 대하는 쪽을 맡았다. 그렇게 나누지 않아도 될 것 같은데 이런 건 옛날이나 지금이나 다르지 않은 것 같다.

 

 책을 보다 벌써 아는 끝이 다가오면 아쉽다. 난 매슈가 세상을 떠나는 모습을 보면 늘 슬프다. 매슈가 갑자기 세상을 떠났지만 앤을 만나서 기뻤겠지. 마릴라가 앤을 고아원으로 돌려보내지 않고 돌아왔을 때 매슈는 가장 기뻤을 거다. 마릴라 또한 앤이 있어서 매슈가 죽었을 때 슬픔을 견딜 수 있었겠지. 사람과 사람이 만나고 기뻐하고 슬퍼하기도 하는 이야기구나. 앤은 앞으로도 많은 사람이 좋아하겠다.

 

 

 

희선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tella.K 2019-12-29 15:0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정말 빨간머리 앤처럼 여러 버전으로 보게되는 이야기가 또 있을까 싶네요.
저도 어린이 문고본으로, 만화 영화로, TV 시리즈로 봤는데
질리지가 않아요. 다시 책으로 읽으면 어떨지 모르겠어요. 그림이 좋네요.

가끔 제 서재에 조용히 댓글 남겨 주시고 관심가져 주셔서 고마웠습니다.
내년에도 좋은 책 많이 읽으시고, 시도 꾸준히 써 주시기 바랍니다.
세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

희선 2019-12-30 00:57   좋아요 1 | URL
사실 저는 어릴 때는 잘 몰랐어요 우연히 책방에서 책을 봤지만 그렇게 관심을 가지지 않았네요 만화영화 보고 더 좋아하게 되고 책을 보게 됐어요 이 책은 여러 가지가 있고 오랫동안 나오기도 하는군요 여기에는 만화영화에 나온 장면이 있어서 더 반가웠습니다

올해 이제 얼마 남지 않았네요 늘 그렇지만 뭐 하고 살았나 싶어요 아직은 아니지만 마지막 날이 지나면 한해를 보냈구나 하겠습니다 올해초에 한해를 끝까지 살아야겠구나 했거든요

stella.K 님 고맙습니다 올해 마지막 날까지 보내시고 늘 건강하게 지내세요


희선
 

 

 

 

잘 지냈어

 

시간은 정말 잘 가

 

꽃은 피고 지고 다시 피고 져

 

좋은 때는 짧아

 

앞으로도 잘 지내

 

 

 

희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