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에게 잠시 신이었던 문학과지성 시인선 508
유희경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1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처음 시인 이름 알았을 때는 여자인가 했어요. 언제 남자라는 걸 알았을까요. 저도 잘 모르겠어요. 인터넷 책방에서 책소개에 나온 시인 사진을 봤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언젠가 밤에 10시가 넘어서도 라디오를 켜두었어요. 그날 마침 유희경이 나왔어요. 딱 하루 나오는 게 아니고 한주에 한번 나오는 거였는데 그 뒤에 챙겨 듣지는 않았습니다. 밤이어서. 예전에는 늦은 밤에 라디오 방송 듣고는 했는데, 지금은 컴퓨터를 쓰는군요. 요즘은 라디오 방송에서 시인 목소리 가끔 들을 수 있어요. 그렇게 목소리 듣기 전에는 시인한테 환상을 가지고 있었을지도. 시인뿐 아니라 글 쓰는 사람 모두한테. 이제는 글 쓰는 사람도 그렇게 다르지 않구나 생각해요. 다른 건 세상을 더 잘 보려 한다는 거겠지요. 글 쓰는 사람도 친구 만나면 사는 이야기하고 맛있는 거 먹으러 가기도 하겠습니다. 글 쓰는 건 일이어서 더 마음 써서 하겠지요.

 

 라디오 방송에 나온 시인이나 소설가는 말도 잘해요. 지금은 말 잘하는 사람이 글도 잘 쓴다고 하더군요. 저는 말 잘 못해요. 할 말도 별로 없고. 그래도 쓰다 보면 할 말이 생각나기도 합니다. 바로 해야 하는 말이 아니어서 그렇군요. 유희경 시집 사고 바로 보고 싶었는데 미루다가 이제야 만났습니다. 제가 좀 알아들을 수 있기를 바랐는데. 시가 어떤 풍경 같기도 이야기 같기도 하네요. 모두 그런 건 아니지만. 이야기라 해도 제가 알기 쉽게 쓰는 것과는 다릅니다. 시작과 끝은 없고 한 장면이 있는 듯해요. 다른 건 상상할 수밖에. 그런 걸 바로 상상할 수 있다면 좋겠지만 쉽지 않네요. 시를 오래 바라보게 하려는 건지도 모르겠습니다. 빨리 보기보다 어떤 풍경이고 어떤 이야긴지 천천히 봐야 그걸 조금이라도 그릴 텐데.

 

 

 

 아이가 돌을 던진다. 잔디 위를 굴러 비석에 부딪혔을 때 어떤 소리가 난다 그 소리는 가족 중 몇몇을 뒤돌아보게 만든다 아무도 아이를 말리지 않는다

 

 아이는 재차 돌을 던진다 잔디 위를 굴러 비석에 닿는 돌은 또 다른 소리를 만든다 여전히 아이를 말리는 사람은 없다

 

 옆에서, 상복에 묻은 잔디를 떼어내던 여자가 한숨을 쉰다 한숨에도 어떤 소리가 있다 아무도 돌아보지 않는다 아무도 말리지 않는다

 

 죽어버린 사람은 이 자리에 없다 그는 이제 이 자리에 없다 이 자리에 없는 그도 어떤 소리를 가지고 있을 것이다 아무도 듣지 못했고 어쩌다 나는 뒤를 돌아보았다

 

 겨울 볕은 아래로 아래로 굴러 내려가고 오늘은 뜨끈한 데가 있다 운다 울음에는 아무런 소리도 없다 나는 그렇게 생각했다

 

-<脫喪>, 14쪽

 

 

 

 조용한 가운데 소리가 들리는군요. 아이가 돌을 굴려 비석을 치는 소리 여자의 한숨 소리. 아이가 돌을 굴려 비석을 치는 건 조금 슬프게도 보입니다. 죽은 사람이 아이 아버지 같아서. 아이는 아버지가 죽은 걸 알지만 사람이 죽는 게 어떤 건지 몰라서 돌을 굴리는 건 아닐지. 심심해서. 제목인 탈상(脫喪)은 어버이 삼년상을 마친다는 뜻이군요. 아이가 지금보다 어렸을 때 아이 아버지가 죽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다른 사람은 아이 아버지가 젊은 나이에 죽어서 여전히 슬퍼하는 것 같습니다. 여기에 나온 ‘나’는 누굴까 잠깐 생각해 봤는데, 시인일까요. 그렇겠네요.

 

 

 

꿈을 꾸었다

편지를 쓰다 마는

쓸 말이 없었는지

쓸 수가 없었는지

어지러워 펜을 내려놓고

바짓단을 걷어올린 강이

첨벙대는 소리를 듣다가

잠에서 깨어버렸다

커튼 틈으로 볕이 들고

아무도 없고 아무 소리도

들리지 않았다

 

-<음악을 가둔 방──빛과 그림자>, 55쪽

 

 

 

 시에서 편지를 쓰는 꿈을 꾸어서. 저는 가끔 편지를 받는 꿈을 꾸기도 했습니다. 요새는 별로 안 꾸지만. 꿈속에서는 늘 편지를 못 봐요. 편지를 봤는데 봤다는 걸 잊어버린 걸지도. 이 시가 실린 곳을 폈다가 손에 묻은 볼펜 잉크를 책에 묻혔습니다. 조심해야 했는데. 지금은 마음이 안 좋아도 시간이 흐르면 잊어버리겠지요. 나중에 펴 보고 아쉽게 여길지도.

 

 

 

 겨울이었다 언 것들 흰 제 몸 그만두지 못해 보채듯 뒤척이던 바다 앞이었다 의자를 놓고 앉아 얼어가는 손가락으로 수를 세었다 하나 둘 셋, 그리 熱을 세니 봄이었다 메말랐던 자리마다 소식들 닿아, 푸릇하기만 한 것은 아니었다 그제야 당신에게서 꽃이 온다는 것을 알았다 오는 것만은 아니고, 오다 오다가 주춤대기도 하는 것이어서 나는 그것이 이상토록 좋았다 가만할 수 없어 좋아서 의자가 삐걱대었다 하나 둘 셋, 하고 다시 열을 세면 꽃 지고 더운 바람이 불 것 같아, 수를 세는 것도 잠시 잊고 나는 그저 좋았다

 

-<봄>, 112쪽

 

 

 

 기다리던 봄이 와서 기뻐하는 모습이 보입니다. 하나 둘 셋 하고, 다시 열을 세면 여름이 올 것 같아 수를 세지 않는 건 귀엽게 보이는군요. 수를 세지 않아도 시간은 흐를 텐데, 이 시에서 말하는 사람은 추운 겨울이나 더운 여름보다 따듯하고 꽃 피는 봄을 좋아하는가 봐요. 봄 싫어하는 사람 별로 없겠네요. 봄은 올듯 말듯 하다가 어느 순간 곁에 와 있지요. 어느 철이든 그렇던가요. 먼저 왔던 철이 떠나기 아쉬워서거나 다음 철을 만나려고 주춤 거리는 걸지도.

 

 앞부분까지 쓰고도 볼펜 잉크 묻힌 거 생각했습니다. 저는 책을 깨끗하게 보는 걸 좋아해요. 책이 닳도록 여러 번 보는 사람도 있고 책에 무언가 적거나 밑줄 긋는 사람도 있는데. 그렇게 하면 책을 더 깊이 볼 수 있을까요. 책은 누군가 한번이라도 보면 헌 책이겠지요. 새 책 같은 헌 책, 이젠 헌 책이다, 하면 좀 나을지. 책 보기 전에 엄마가 시킨 거 안 해서 벌 받았나 봅니다. 앞으로는 귀찮아도 엄마 말 잘 듣도록 해야겠습니다.

 

 

 

희선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0-04-28 19:5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0-04-29 01:51   URL
비밀 댓글입니다.
 
에밀리 비룡소의 그림동화 34
마이클 베다드 글, 바바라 쿠니 그림, 김명수 옮김 / 비룡소 / 199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인 에밀리 디킨슨은 죽기 전 스물다섯해 동안 자기 집을 나오지 않았다고 한다. 스물닷새가 아닌 스물다섯해나 집안에만 있었다니. 좀 답답하지 않았을까, 나도 사람 만나는 거 안 좋아하고 멀리 가는 거 싫어하지만 가끔 밖에 나가 걷는다. 집에만 있으면 답답할 테니 말이다. 며칠 동안 집을 나가지 않는다고 못 살 건 없겠지만 조금 우울할 듯하다. 에밀리 디킨슨은 왜 스물다섯해 동안이나 집에만 있었을까. 알 수 없는 일이구나. 그래도 에밀리는 시를 썼다. 아주 많은 시를. 바깥에 나오고 나무와 바람을 만났다면 더 좋은 시를 썼을 것 같은데. 이렇게 생각하면 안 되겠다. 에밀리 디킨슨 시는 별로 못 봤다. 언젠가 보고 싶다.

 

 이 그림책은 실제 있었던 일은 아닌 듯하다. 상상이겠지. 에밀리는 2층 자기 방에서 줄에 맨 바구니에 생강빵을 넣어 아이들한테 내려주기도 했다. 조카한테 무언가를 줬다고 들은 것도 같은데. 아이는 에밀리가 사는 노란집 건너에 이사왔다. 노란집 2층 왼쪽 방에는 에밀리가 살았다. 에밀리는 낯선 사람이 나타나면 피하고 동생과 살았다. 사람들은 에밀리를 신비로운 여인이라 했다. 안 좋은 말이 아니어서 다행이구나. 아이들은 놀릴 수도 있을 텐데 그러지 않았다니 다행이다. 그런 이야기도 본 적 있어서.

 

 아이는 에밀리한테 조금 관심이 있었다. 한번도 본 적 없는데 그러다니. 어느 날 아이 집에 편지가 왔다. 그건 에밀리가 보낸 걸로 아이 어머니한테 에밀리 집에 와서 피아노를 쳐달라고 부탁했다. 봄을 전해달라고. 아직 겨울이지만 봄은 가까이에 왔다. 아이는 어머니를 따라 에밀리 집에 간다. 어머니가 피아노 한곡을 치자 에밀리가 층계참에서 봄이 온 듯하다고 말했다. 에밀리는 몸이 안 좋아서 피아노 가까이에서 듣지 못했다. 피아노 소리를 듣고 조금 힘이 났을 듯하다. 아이 어머니가 피아노를 치러 에밀리 집에 와서 다행이다. 아이가 함께 온 것도.

 

 에밀리가 사람을 만나지는 않았지만 아이는 좋아했다. 아이가 계단 밑에 나타나자 에밀리는 아이한테 가까이 오라고 한다. 에밀리는 피아노 소리를 들으면서 시를 썼던가 보다. 아이는 에밀리한테 봄을 가져왔다면서 백합 알뿌리를 내밀었다. 아이가 한 말도 시구나. 에밀리도 그렇게 생각했겠지. 에밀리는 백합 알뿌리 보답인 듯 종이에 글을 적어서 아이한테 건넸다.

 

 그림책이니 짧을 수밖에 없지만 이런 이야기도 괜찮은 듯하다. 여기 나온 것처럼 에밀리가 아이들하고는 마음을 나누었기를 바란다. 에밀리한테는 시가 있어서 그렇게 쓸쓸하지 않았을까.

 

 

 

희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 홀로 부모를 떠안다 - 고령화와 비혼화가 만난 사회
야마무라 모토키 지음, 이소담 옮김 / 코난북스 / 2015년 7월
평점 :
절판


 

 

  

 

 

 

 제목 자체부터 우울하다. ‘나 홀로 부모를 떠안다’ 라니. 본래 제목은 ‘르포 개호독신’이다. 개호(介護)는 대체 무슨 말인가 싶다. 이 말 보고 바로 알아들을 수 있는 사람 있을까. 일본말로 개호를 들었을 때는 그저 간병인가 하는 생각을 했던 것 같다. 개호는 곁에서 돌본다는 뜻이다. 아이는 돌본다고 하는 듯한데 부모는 그렇게 말하지 않는구나. 모신다고 할까. 아니 돌보기와 모시기는 조금 다르겠다. 이 책 보니 무척 우울하다. 좋은 답은 없고 누구나 겪을 수 있는 일이니 말이다. 사람은 다 나이를 많이 먹으면 치매에 걸리려나. 그게 일찍 오는 사람이 있고 늦게 오는 사람이 있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요즘은 젊을 때 알츠하이머병에 걸리기도 한다. 그건 환경 때문일까. 젊은 나이에 알츠하이머병에 걸리면 그리 오래 살지 못한다. 알츠하이머병에 걸리면 거의 열해를 넘기지 못할까.

 

 옛날에는 많은 사람이 치매에 걸리기 전에 죽었을지도 모르겠다. 지금은 사람이 오래 살아서 치매에 걸린다는 걸 안 거겠지. 오래 살아도 아프지 않으면 좋겠지만 바랄 수 없는 일이구나. 몸도 기계처럼 오래 쓰면 낡을 테니 말이다. 술 담배는 그런 걸 빨리 나타나게 할지도. 암도 있다. 암도 무섭고 치매도 무섭구나. 내가 그렇게 될까봐 그게 더 걱정이다. 언젠가는 혼자 살 테니. 혼자 살아도 정신은 멀쩡하기를 바란다. 내가 우울해진 건 아픈 부모를 보살펴야 하는 것보다 나 자신이 안 좋아질까봐서다. 좀 웃긴가. 부모가 아파서 돌봐야 한다면 그것도 걱정되겠구나. 해달라고 하는 건 대충 해도 다른 것까지 알아서 하지 못할 테니 말이다. 아픈 사람이 나오는 책을 보면 세상에 아픈 사람만 있는 것 같고, 나쁜 사람이 나오는 걸 보면 믿을 사람이 없는 세상이구나 싶다. 이 책을 보니 부모가 아파서 돌보는 사람이 아주 많고 누구한테나 올지도 모를 일 같았다.

 

 한국에도 나이 많은 사람이 많이 늘었다. 이 책이 한국에 나온 건 2015년인데 그때보다 지금 더 늘고 안 좋아졌을지도 모르겠다. 갈수록 나이 많은 사람은 늘고 새로 태어나는 사람은 줄어들겠지. 결혼을 아주 늦게 하거나 아예 하지 않는 사람도 많다. 난 별 생각없다. 이건 어릴 때도 그랬던 것 같다. 아이를 낳고 돌보는 게 쉬운 일은 아니지만 그건 나름대로 기쁨이 있을 거다. 아이는 자란다. 하지만 부모는 치매에 걸리면 갈수록 나빠지기만 한다. 치매면서 암에 걸리면 돌보기 더 힘들겠다. 부모를 정성을 다해 돌보는 사람 이야기가 가끔 나오는데, 모든 사람이 그럴 수 있을까. 아픈 사람을 돌보는 건 지치는 일이다. 형제가 있어도 혼자 사는 사람한테 그걸 떠넘기기도 한다. 일본소설에서 며느리가 시어머니 병수발을 혼자 했는데 그런 집이 많은 건 아닌 듯하다. 아내가 있어도 아들이 혼자 자기 아버지나 어머니를 돌보기도 했다. 혼자 하기보다 식구와 함께 하면 좀 나을 듯한데, 같이 하자 말하기 어렵겠지.

 

 결혼하지 못하는 것에는 상대가 부모를 모시고 싶지 않다고 해서기도 했다. 이런 일은 한국에도 있지 않을까 싶다. 아무것도 모르고 서로가 좋아서 일찍 결혼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나이를 먹으면 서로의 부모를 생각할지도 모르겠다. 아이를 낳지 않는 사람이 많은 걸 아픈 부모를 돌보는 일과 이어서 생각하기도 했다. 어떤 소설에서는 나이 든 사람이 자신이 아플 때 돌봐줄 사람을 결혼 상대로 찾기도 한다. 그건 좀 아닌 것 같은데. 시설에 들어가는 사람도 그리 많지 않고 그런 곳에 들어가려면 오래 기다려야겠지. 이 책을 보니 집에서 부모를 돌볼 때가 많았다. 일을 그만두기도 하고 일하면서 하기도 했다. 일을 안 해도 힘들고 일을 해도 아픈 사람 돌보기는 힘들었다. 부모를 돌본다 해도 자신이 좋아하는 걸 하는 시간이 조금은 있어야 한다. 그래야 덜 지치겠지. 혼자 생각하지 않고 다른 사람한테 말하면 조금 편하다고도 한다. 그런 거 말하기 어려울 것 같지만. 이것도 사람에 따라 다를 것 같다. 누군가한테 말해서 마음이 나아지는 사람도 있고 혼자 마음에 담아두는 사람도 있다. 다른 사람한테 말하기 힘든 사람은 일기 쓰면 좀 낫겠다.

 

 이렇게 쓰다 보니 책을 봤을 때보다 덜 우울하다. 나도 말하기보다 쓰기가 낫겠다. 쓴다 해도 다 털어놓지 않지만. 한국에도 재택 의료가 있을까. 난 이것이 늘었으면 한다. 자식 딸이나 아들이 혼자 감당하기보다 부모를 시설에 보내는 것도 나쁘지 않은 방법이다. 부모가 자식 한사람만 만나는 것보다 여러 사람을 만나는 게 자극이 되기도 할 거다. 치매에 걸린 사람한테는 그게 더 낫다. 그런데 치매로 다른 사람과 잘 지내지 못하면 받아주지 않는다. 그럴 수가. 그러면 집에서 부모를 돌볼 수밖에 없겠구나. 의사 간호사가 집으로 찾아오는 것도 괜찮은 일일 듯하다. 한국도 나이 많은 사람 의료를 더 생각하고 해야 하지 않을까 싶다. 의사는 사람을 살리는 일뿐 아니라 사람이 편안하게 눈 감게 하는 일도 한다고 생각해야겠구나.

 

 

 

희선

 

 

 

 

☆―

 

 구라이시는 어머니가 죽음을 맞을 때까지 그대로 그룹홈에 맡길 생각이다. 대신 최대한 자주 어머니를 찾아가 같이 시간을 보내려고 한다. 어쨌든 지금은 어머니한테 최선을 다하고 싶다. 이제 어머니가 뭘 기뻐하고 뭘 즐거워하는지도 잘 모르겠지만, 그래도 같이 있으면서 맛있는 음식을 드리면 어머니는 즐겁게 웃는다. 구라이시는 어머니 웃음을 보려고 찾아간다.

 

 

 “어디까지나 제 경우지만 거리를 두고 사는 쪽이 좋습니다. 그래야 더 친절하게 대할 수 있어요. 꼭 같이 사는 것만이 행복은 아닙니다.”  (139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드립백 에티오피아 시다모 난세보 - 10g, 5개입
알라딘 커피 팩토리 / 2020년 8월
평점 :
품절


백자평 처음이고 알라딘 커피도 처음이다. 이걸 사고 두주가 거의 다 되어가는데 이제야 하나 뜯었다. 드립백을 뜯으니 신 냄새가 나던데 맛도 조금 시었다. 그밖에 어떤 맛을 느껴야 할까. 조금 고소한 것 같기도. 이런 말밖에 못하다니. 가끔 알라딘 커피를 마시면 커피 맛 조금 알까. -희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Dr.STONE 2 (ジャンプコミックス) (コミック)
Boichi / 集英社 / 2017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닥터 스톤 2

이나가키 리이치로 글   Boichi 그림

 

 

 

 

 

 

 지금까지 만화책 석달에 한권 나오는 게 빠르다고 생각했는데, 이건 두달 석달에 한권 나오는 것 같다. 2017년 7월에 1권이 나왔는데 벌써 15권까지 나왔다. 석달에 한권 나왔다면 열권에서 열한권 정도 나왔을 텐데. 이건 나중에 깨달았다. 책 보기 전에는 <원피스>나 <메이저 세컨드>처럼 석달에 한권 나오겠지 했는데. 어떻게 이건 두달 석달에 한권 나오는 걸까. 두달에 한권 나올 때가 더 많을지도. 지금까지 나온 거 빨리 보고 싶지만, 마음만 바쁘겠다. 아직 책은 다 못 샀다. 올해 안에 다 사고 본 다음에는 나오는대로 보면 좋을 텐데. 여전히 게으르게 지내서 어떻게 될지 모르겠다. 지금을 그렇게 잘 살지는 못하지만, 나중을 생각하기보다 지금 할 수 있는 걸 하는 게 낫겠지. 그렇게 사람은 나아가는 게 아닌가 싶다. 시간이 간다 해도 난 별로 앞으로 가지 못하는 것 같지만.

 

 어느 날 지구에 빛이 비치고 제비와 사람은 모두 돌이 된다. 내가 못 본 건지 모르겠는데 지난번에는 못 본 말 제비를 이번에는 보았다. 인류가 모두 돌이 되고 거의 3700년이 지나고 돌에서 깨어난 센쿠와 타이주 그리고 유즈리하는 인류를 정화할 기회라 한 츠카사와 싸울 화약을 만들려고 하코네로 갔다. 온천에는 화약을 만드는 재료에서 하나인 황이 있다. 센쿠는 츠카사와 거래하는 것도 생각했지만 그게 잘 될지. 잘 안 되겠지. 화약을 만들면서 타이주가 여러 가지가 섞인 것을 바위로 내려쳤더니 불꽃이 튀고 터졌다. 센쿠는 그런 일은 없겠지 했는데 나중에 거기에 황철광이 있다는 걸 떠올린다. 돌과 돌을 부딪쳐 불을 피우기도 하던데 거기에는 철도 있어야 하는구나. 불꽃이 튄 뒤에는 검은 연기가 솟아올랐다. 츠카사가 그걸 보기 전에 불을 끄려 했는데, 다른 데서 연기가 올랐다. 센쿠는 불을 더 피워야 할지 꺼야 할지 망설이다 피우기로 한다.

 

 연기는 다른 사람 말고도 츠카사도 보았다. 센쿠는 그렇게 될 걸 알고도 불을 피웠다. 츠카사는 유즈리하를 인질로 잡고 센쿠를 협박했다. 돌에서 사람을 깨우는 걸 만드는 방법을 말하라 한다. 그걸로 츠카사는 자기 마음에 드는 사람만 깨우려는 거겠지. 츠카사가 유즈리하를 잡고 있어서 센쿠는 그걸 말한다. 처음에는 센 척했지만. 츠카사는 센쿠한테 과학을 버리면 죽이지 않겠다고 한다. 센쿠가 그 말에 그러겠다고 할 리 없겠지. 츠카사는 센쿠 목을 한번에 쳐서 쓰러뜨렸다. 센쿠는 정말 죽었을까. 그러면 만화 끝나겠지. 나뭇가지를 주우러 갔던 타이주가 유즈리하 목소리를 듣고 돌아오고 센쿠를 안고 츠카사를 피해 숲으로 간다. 그전에 타이주는 바위를 들고 위로 던지고 유즈리하는 화약이 든 항아리를 츠카사쪽으로 던졌다. 바위가 떨어지고 화약과 부딪쳐 불이 났다. 황철광과 부딪쳤다 해야 할까. 그렇다 해도 츠카사는 아무렇지 않았다. 그건 타이주도 알았다.

 

 센쿠는 어릴 때부터 과학에 관심을 가졌다. 초등학교 1학년 때 우주에 가겠다고 말한다. 선생님은 좋은 꿈이다 했는데, 센쿠는 지금 바로 가겠다 한다. 그 뒤 센쿠가 한 건 과학책 읽기다. 센쿠 아빠는 그런 센쿠를 보고 여러 가지를 사준다. 실험하는 건가. 그걸 사려고 차를 팔았다. 아이한테 그런 거 해주는 부모 별로 없을 것 같은데. 센쿠는 실험하고 중학생 때는 로켓을 우주로 쏘아올리려 한다. 그런 거 해도 괜찮을까. 로켓은 우주로 가지 못하고 터졌지만 유즈리하가 만든 인형 세개는 우주로 갔다. 타이주는 어릴 때부터 친구고 유즈리하는 초등학생 때 만났으려나. 지난번에 타이주가 다섯해 동안 유즈리하를 좋아했다고 했으니.

 

 유즈리하와 타이주는 센쿠가 살아날 방법이 있으리라 생각한다. 유즈리하는 센쿠가 츠카사가 목을 치게 이끌었다는 걸 떠올린다. 그 말을 듣고 타이주는 센쿠가 예전과 다르게 목을 움직여서 소리를 낸 걸 기억해 내고 센쿠 목을 본다. 센쿠 목에는 돌이 있었다. 돌을 깨는 액체를 끼얹으면 다친 곳이 낫는다는 걸 떠올리고 그걸 센쿠 목에 끼얹었다. 돌은 깨지고 센쿠가 가장 먼저 돌에서 깨어난 이야기가 잠시 나온다. 이 이야기가 처음이 아니고 여기에서 나오다니. 센쿠는 혼자서도 여러 가지를 해냈다. 처음부터 잘 한 건 아니지만 불 피우는 연장을 만들고 동물은 덫으로 잡고 집을 짓고 옷도 만들었다. 그러다 지쳐서 힘 쓸 사람이 있어야 해 하고는 타이주를 찾아낸다. 타이주는 센쿠와 가까운 곳에 있었다. 어떻게 하면 타이주가 깨어날까 하다가 박쥐가 있고 질산이 떨어지는 동굴을 찾았다. 센쿠 머리카락에 붙은 돌에 질산을 닿게 했더니 돌이 깨졌다. 하지만 타이주와 다른 사람은 질산만으로 돌아오지 않았다. 그래도 센쿠는 생각했다. 타이주도 자기처럼 깨어 있다고 여기고 타이주를 질산이 떨어지는 동굴로 옮기고 깨어나기를 기다렸다. 지금은 타이주가 센쿠가 깨어나기를 기다렸다.

 

 목신경이 끊어지고 다시 붙는다고 사람이 살아나는 건 환상일 테지만 센쿠는 살아났다. 신경이 잠깐 끊어졌다 붙으면 괜찮을까. 돌에서 세포로 돌아갈 때 다친 곳을 낫게 하는 걸 보고 타이주는 그 돌이야말로 의사라 한다. 센쿠가 뭔가를 떠올리고 유즈리하한테 말했는데 그 말은 뭘까. 유즈리하는 수예부로 손재주와 끈기가 있다는데 그걸로 뭘할 수 있을까. 깨진 돌을 뭔가로 꿰매는 건 아니겠지. 이 수수께끼는 나중에 풀리겠다. 센쿠는 타이주와 유즈리하한테 스파이로 츠카사한테 가라고 한다. 언젠가를 대비하고. 센쿠는 지금 사는 사람을 동료로 만들 생각이다. 센쿠와 타이주 헤어지다니. 다시 만나겠지. 돌에서 깨어난 사람 말고 다른 사람이 있었다. 여자아이는 츠카사와 싸우려 했는데 츠카사는 언제든 자신이 쓰러뜨릴 수 있다 여기고 나무를 쓰러뜨려 여자아이를 움직이지 못하게 하고 그곳을 떠난다. 빨리 돌아가서 질산을 차지하려고.

 

 나무가 쓰러지는 소리를 듣고 센쿠가 달려왔다. 센쿠는 도르래를 만들어서 나무를 들어올린다. 여자아이는 코하쿠로 센쿠가 하는 걸 보고 놀라워했다. 내가 보기에도 참 놀라웠다. 뭔가 만들려 해도 원리를 알아야 할 텐데 난 아는 게 없구나. 앞으로 센쿠는 어떤 걸 만들지. 그건 만화영화를 봐서 조금 알지만, 책 보면서 뭔지 말해야겠다. 에도시대로 타임슬립한 사람이 지금 의술을 펼치는 이야기가 있는데, 그런 것과 비슷한 느낌이 든다. 지난날로 가면 돌아와야 하지만, 이건 시간이 많이 지난 앞날이니 돌아가지 않아도 괜찮다.

 

 

 

*더하는 말

 

 

 

 

 

 

 처음에도 책속 그림 올리고 싶었지만 뭘 찍으면 좋을지 몰라서 못 찍었는데 이번에는 몇 장 찍었다. 첫번째는 센쿠가 돌에서 깨어나고 날짜를 적는 거다. 센쿠는 줄곧 초를 세고 그걸 날짜로 바꿨다. 그런 걸 하다니. 정말 대단하다. 다음은 센쿠와 타이주가 서로가 있어야 한다고 하면서 깨어나라 하는 모습이다. 마지막은 센쿠가 도르래를 만들어 커다란 나무를 들어올리려는 거다. 무턱대고 도르래를 만든 게 아니고 나무 무게는 어느 정도고 어느 정도 힘을 줘야 들어올릴 수 있는지 계산했다. 그런 거 보기만 하고 계산하다니. 대단하다는 말밖에는 못하겠다.

 

 

 

희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