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이 없는 나의 여인은 노래한다 문학동네 시인선 156
장혜령 지음 / 문학동네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금 시인은 여러 가지 글을 쓰는 것 같다. 지금만 그런 건 아니었던가. 시인이어도 시뿐 아니라 소설을 쓰고 다른 나라 말을 한국말로 옮기기도 한다. 소설가에도 그런 사람 있기는 하구나. 이 시집 《발이 없는 나의 여인은 노래한다》를 쓴 장혜령은 산문집 《사랑의 잔상들》과 소설 《진주》를 펴냈다. 대학에서는 영화 연출을 공부했단다. 산문, 소설 그리고 시. 앞으로도 하나만 하지 않고 이것저것 쓸 것 같다. 어느 날엔가는 대학에서 공부한 영화 연출을 살려서 영화를 만드는 건 아닐지. 소설 제목 한번 본 것 같기도 한데 어떤 이야긴지는 생각나지 않는다. 아버지 이야기였던가. 그런 글은 이 시집에도 담겼다.




만난 적 없지만

같은 시간을 사는 사람, 이미 세상을 떠난 사람,

어쩌면 미래에 있을 사람의 언어를

나는 받아쓰고 있는지도 모른다.  (-시인의 말에서, 5쪽)




 시집은 5부로 구성됐다. ‘1부 받아쓰다, 눈의 언어 / 2부 번역하다, 새의 울음 / 3부 바라보다, 숲의 심장 / 4부 꿈을 꾸다, 아버지를 토하는 / 5부 노래하다, 발이 없는 나의 연인’이다. 글을 쓸 때 자신은 누군가 말하는 걸 받아쓴다고 말하는 사람이 있기도 하다. 누군가는 사람일지 자연일지. 장혜령은 ‘시인의 말’에서도 다른 사람 말을 받아쓴다는 말을 썼다. 그런 느낌은 어떨까. 난 그런 걸 느껴본 적이 없어서 말이다. 글을 쓰는 사람은 세상을 번역한다고도 한다. 2부는 번역하다다. 바라보고 꿈꾸고 노래하기도 모두 글(시) 쓰기와 상관있구나.


 몇해 전부터 한달에 시집 한권 보려고 했는데, 그거 잘 못 지킨다. 이번에는 오랜만에 시집을 만났다. 시를 다 알아듣지는 못해도 괜찮은 느낌이 들었다. 이 말 전에도 했던 것 같다. 어쩐지 시를 앞으로 더 본다 해도 잘 알 것 같지 않다. 모르면 모르는대로 봐도 괜찮겠지. 앞에 실린 시는 거의 길다. 1부. 아이가 죽었다고 하는 시는 어쩐지 슬프구나. 유키, 눈. 동생은 자신한테 언니가 있었다는 걸 몰랐던 것 같다. 부모가 일찍 죽은 아이 이야기를 하면 남은 아이는 어떤 느낌일까. 만나지 못해서 아쉬울지. 그런 마음이 클 것 같다.




이 숲에는

먼 나무가 있다

흑송이 있고 물푸레나무가 있다


가지 사이로 새어드는

저녁 빛이 있고

그 빛에 잘 닦인 잎사귀가 있다


온종일

빛이 닿은 적 없던 내부에

단 한 순간

붉게 젖어드는 것이

슬픔처럼 가만히 스며드는 것이 있다


저녁의 빛은

숲 그늘에

다른 세계로 통하는 문을 만들었다


그 속에

새 그림자 하나


날갯짓 소리가

점점 멀어지면서


비릿한 풀냄새가 난다

불타버린 누군가의 혼처럼


이 시각

돌이킬 수 없는 것이

이곳을 스쳐지나가고 있다


어디선가

물 흐르는 소리가 들리고


꿈속에서

물위에 나를 적는 사람


흔들리면서

내게 자꾸 편지를 보내는 사람


나는 그가 누구인지 알 것 같다


-<번역자>, 38~39쪽




 오래된 책을 말하는 시를 옮겨쓸까 하다가, 2부 첫번째에 나오는 <번역자>를 옮겨썼다. 여기 담긴 시가 한편도 없으면 아쉬울 거 아닌가. 세르반테스가 썼다는 《돈키호테》는 정말 어느 아랍인한테서 산 이야기일까. <모래의 책>에 그런 구절이 나온다. 그런 게 꼭 알고 싶은 건 아니다. 그걸 알고 싶은 사람은 여러 가지 찾아보겠다. 그렇게 해서 알게 되는 것도 있을 텐데, 난 그런 거 안 하는구나. 게을러서.


 제목에 나온 발이 없는 여인을 난 정말 발이 없는 사람으로 생각한 걸지도 모르겠다. 마지막에 실린 시 <세이렌의 노래>에서는 ‘아직도 눈 감으면 / 인어의 운명을 지닌 여인이 부르는 / 노래를 들을 수 있다 (124쪽)’고 한다. 발이 없는 여인은 인어였구나. 그런 말 보기 전에 떠올렸다면 좋았을걸 조금 아쉽다.




희선





댓글(6)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서니데이 2023-05-18 00:0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돈키호테는 그 시절에 그대로 쓸 수가 없었다고 해요. 그래서 앞부분을 그렇게 소개했다는 내용을 본 것 같은데... 하다가 한편에서는 그 부분에 대한 기억이 불확실합니다.^^;
하지만 가공의 이야기보다는 어디선가 들었다는 식으로 쓰는 것이 어쩌면 실제로 있을 것 같은 기분은 들어요.
희선님, 편안한 하루 보내세요.^^

희선 2023-05-18 01:15   좋아요 2 | URL
그때는 그랬군요 소설을 소설로 보면 좋을 텐데, 그런 이야기를 쓰는 것 자체를 안 좋게 여겼을지도 모르겠습니다

누군가한테 들은 이야기다 하면 실제 그런 일이 있을 것 같겠네요 기사가 없어지는 때기도 했군요 언젠가 한번 보면 좋을 것 같기도 하지만, 생각만 하고 못 볼지도 모르겠네요


희선

페크pek0501 2023-05-18 15:1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도 시집을 잔뜩 사 놓고 훑어 보기만 했지 꼼꼼히 읽지 않게 되네요.(한동안 꼼꼼히 읽다가 또 중단했죠.)
시집에 대한 리뷰를 써 보는 것도 좋을 듯싶어요. 어떤 시는 저자가 뭘 말하고 싶어하는지 잘 모르겠지만요... 그건 그것대로 내 맘대로 써도 좋을 것 같아요.

희선 2023-05-20 01:16   좋아요 1 | URL
저는 제가 보는 책은 다 쓰려고 해서... 이건 여전합니다 안 쓰면 다른 책을 못 보기도 합니다 시집도 쓰다보니 어떻게든 쓰는군요 거의 제 마음대로 써요 마음에 드는 시를 만날 때도 있고, 거의 모르겠다 싶은 거 볼 때도 있어요


희선

2023-05-21 17:2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3-05-23 01:49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