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순간의 물리학 - 우리는 누구인가라는 물음에 대한 물리학의 대답
카를로 로벨리 지음, 김현주 옮김, 이중원 감수 / 쌤앤파커스 / 2016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몇해 전에 책 제목 《모든 순간의 물리학》을 봤는데, 그때 내가 생각한 건 어떤 일이 일어나는 걸 물리로 말하는 거였다. 그것도 쉽지 않겠지만. 그런 책 이야기 들어본 것 같은데, 내가 듣거나 본 말은 다른 책에 나올까. 책이 얇고 그리 어렵지 않다는 말이 있어서 한번 볼까 하고 봤는데 무슨 말인지 하나도 모르겠다. 모르면서 이걸 쓰다니. 책을 보면 뭔가 생각나거나 내가 아는 걸 쓰지만, 이번에는 아무것도 생각나지 않는다. 물리학 아는 게 하나도 없으니 그럴 수밖에 없겠다. 내가 물리학을 조금이라도 안 다음에 이걸 봤다면 나도 이걸 보면서 아름답다느니 쉽다느니 하는 말했을지. 못했을 것 같다.

 

 과학에 이제야 좀 더 관심 갖게 됐다. 물리학을 말하는 건 처음인가. 《떨림과 울림》(김상욱)을 보기는 했는데, 그것도 다 이해하지 못했다. 여기에서 맨 처음에 말하는 건 아인슈타인이 말한 일반상대성이론이다. 그냥 상대성이론이라 하면 안 될까. 일반을 붙이는 것과 붙이지 않는 차이는 뭘까. 내가 이렇다. 난 중력하면 여전히 뉴튼을 생각했는데, 아인슈타인이 알아낸 새로운 중력 이론이 일반상대성이론이구나. 상대성이론이라는 말은 알았지만 그게 뭔지 잘 몰랐다. 이 책을 쓴 카를로 로벨리는 아인슈타인 이론이 어떤 걸 하는지 알면 쉽다고 한다. 중력장이라는 말도 들어봤는데, 그걸 생각한 게 아인슈타인이었구나. 잘 알지도 못하면서 이 말을 쓰다니. 블랙홀 이야기도 했는데.

 

 세상은 아인슈타인 상대성이론과 양자이론으로 알 수 있다고 한다. 양자이론은 알기 어렵다는데. 이 말이 나온 건 1900년대라 한다. 그럴 수가, 내가 양자역학이라는 말을 들은 건 몇해 전이다. 학교 다닐 때 한번도 못 들은 것 같다. 듣고 잊어버렸을지도. 양자이론이 있어서 지금 많은 사람이 쓰는 컴퓨터가 있단다. 그렇구나. 지구가 둥글다는 걸 알게 되고 지구가 해를 도는 행성이라는 걸 알게 된다. 옛날 사람은 지구를 중심으로 생각했구나. 지구는 우주에 많은 은하에 있는 먼지 같은 건데. 지구가 그러면 그 안에 사는 사람은 얼마나 작을지. 사람은 먼지보다 더 작겠다.

 

 우주는 빅뱅이 일어나고 팽창했다. 지금도 팽창한다. 블랙홀 속으로 들어가면 모든 게 사라질지, 우주도 그렇게 사라질지. 우주도 둥글다고 한다. 언젠가 다른 책에서 그런 말 봤다. 우주 끝이 있을지도 모르겠지만, 가기는 어렵겠지. 우주에서 생명체가 사는 별은 지구 하나뿐일까. 이것도 아직 알아내지는 못했다. 아주아주 나중에 알게 될지, 그런 거 알기 전에 인류가 사라질지. 인류는 지구를 자신들이 살기 힘든 곳으로 만들었다. 처음에는 잘 모르고 그랬겠지만, 이제는 아니 조심해야 할 텐데 그러지 않는구나. 경제만 생각하고 잘 살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빈부격차는 심해지기만 하는데. 그건 자본주의가 만들었구나. 새 것을 사면 얼마 안 쓰고 버리고, 또 새 것을 산다. 돈이 돌고 돌아야 하는 것과 물건을 많이 만들고 새 것을 사게 하는 건 다르지 않구나. 그것 때문에 지구는 쓰레기로 넘쳐난다. 공기도 안 좋아지고 기후변화도 일어났다. 걱정이다.

 

 지구에서 인류가 사라져도 지구는 아무렇지 않게 여길 거다. 인류가 사라졌으니 지구는 다시 좋아질 수 있다 생각하겠지. 우리 손으로 우리가 사라지게 하지 않아야 할 텐데. 사람도 자연 한 부분이다. 그걸 잊지 않아야 한다.

 

 

 

희선

 

 

 

 

☆―

 

 물리학은 우리가 더 멀리 내다볼 수 있는 창문을 열어줍니다. 그 창문으로 내다보면 놀라움을 금할 수 없는 세상이 펼쳐졌습니다. 우리는 아주 많은 선입견을 가지고 있고, 우리가 예측하는 세상 모습은 작은 부분이고 확실치도 않습니다. 우리 스스로도 그걸 잘 압니다. 세상은 우리 눈앞에서 조금씩 늘 바뀌고, 우리도 그걸 느낍니다.  (90쪽)

 

 

 


댓글(6)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람돌이 2021-03-06 00:04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아 과학책은 언제나 저에겐 넘사벽입니다. 그래서 알라디너분들의 리뷰를 눈팅하는 것만으로 만족합니다. ㅎㅎ 아까 갑자기 왠지 모르깄는데 우주가 팽창한다는데 이러다가 어느날 갑자기 팡 터지는거 아냐? 라는 생각을 했다죠? 아 저의 과학사고 수준이 이렇습니다 ㅠㅠ

희선 2021-03-06 23:51   좋아요 0 | URL
저도 잘 모릅니다 그냥 조금 관심이 생겨서 볼까 했는데, 쉽지 않을 듯합니다 조금만 보고 오래 안 볼지도 모르겠습니다 다시 과학책 봐야지 하는 마음이 생길 때가 올지도 모르죠 그런 마음은 아주 사라지는 건 아니니... 우주가 팽창한다는 걸 그렇게 생각할 수도 있군요 저는 그저 우주가 팽창해서 우주 끝은 아주 멀어지겠구나 했는데... 혹시 빅뱅은 예전에 있던 우주가 팽창하고 터진 건 아닐지... 그러면 지금 우주도 언젠가... 별 생각을 다했습니다


희선

scott 2021-03-06 00:2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과학책 우주 만큼 좋아해요
세상의 모든 이치 자연 생태계 인간이 예측하는데로 흘러 가지 않는다는것!
코로나 팬더믹으로 더더욱 절실하게 느끼고 있네요 ^.^

희선 2021-03-06 23:53   좋아요 1 | URL
scott 님은 여러 가지 다 좋아하시는군요 과학이 재미있는 것 같기는 한데 어렵네요 과학은 시간이 가면 바뀌기도 하잖아요 그건 가설이 잘못돼서 그런 거기는 하겠습니다 생태계는 사람이 어떻게 할 수 없는 거지요 그걸 안 좋게 만들지 않으면 좋을 텐데...


희선

감은빛 2021-03-06 08:0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어떤 영화에서 지구를 침공한 외계 생명체가 인간을 기생충에 비유하더라구요.
지구 입장에서는 인간이라는 존재를 그렇게 여길수도 있겠다 싶어서 좀 감정이입이 되었어요.

희선 2021-03-06 23:55   좋아요 0 | URL
외계 생명체도 사람을 그렇게 보다니... 지구는 사람만 없어지면 좋아할지도 모르죠 그렇게 안 되게 해야 할 텐데... 지금도 지구는 안 좋아질 것 같습니다


희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