떨림과 울림 - 물리학자 김상욱이 바라본 우주와 세계 그리고 우리
김상욱 지음 / 동아시아 / 201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학교 다닐 때 과학 별로 좋아하지 않았다. 그걸 좋아하지 않은 건 어려워서겠지. 재미를 느낄 수도 있었을 텐데 아쉽다. 나와는 다르게 과학이나 수학에 관심을 가지고 공부한 사람도 있겠다. 부럽구나. 과학 수학만 그럴까. 어쩐지 학교에서 한 공부는 다 좋아하지 않았던 것 같다. 학교에 다녀야 해서 다니고 시험 보니 공부를 한 것 같다. 공부는 그렇게 하는 게 아닌데. 지금은 공부를 억지로 하면 안 된다고 생각하지만 여전히 어떻게 해야 하는지 모른다. 그저 책을 볼 뿐이다. 공부하려고 책을 보느냐고 묻는다면, 그런 거 아주 없지 않다. 공부하는 책 읽기 하고 싶은데 잘 안 된다. 내가 좋아하는 걸 더 보니 말이다. 좋아하는 거여도 새롭게 알게 되는 것도 있고 생각할 것도 있다. 이제는 시험 보려고 공부하지 않고 그저 나로 살려고 공부한다. 마음 편하게 하려고 한다. 그게 무슨 공부야 할지도 모르겠다.

 

 몇해 전부터 과학에 조금 관심을 가지고 책을 보려 했는데 지금까지 본 거 얼마 안 된다. 내가 본 건 우주, 별, 뇌과학 이런 것뿐이구나. 식물 이야기도 있던가. 지금은 과학책 쉽고 재미있게 나오기도 하던데, 물리는 여전히 어렵다는 느낌이 든다. 학교에서 배운 물리 같은 건 다 잊어버렸다. 무슨 법칙 같은 걸로 계산하기도 했는데. 물리와 수학은 아주 가까운 사이다. 그런 계산이 아닌 다른 식으로 배웠다면 더 좋았을 텐데. 아주 없지는 않았을 텐데 내가 잊어버렸겠지. 지구나 생물 같은 것도 배웠는데. 누군가는 지구과학을 좋아하기도 했다. 나도 그런 거 조금이라도 관심 가졌으면 좋았을 텐데. 과학하고 아주 멀리 지냈다. 과학이 내가 사는 것과 아주 멀지 않은데 그런 건 생각도 못했다. 지금 잘 아는 건 아니지만 과학이 사람 삶과 가깝다는 거 안다. 그저 그 정도뿐이다.

 

 이 책 보면 다는 아니어도 조금은 알겠지 했는데 하나도 모르겠다. 그저 글자만 봤구나. 내가 아는 게 아주 없다는 것만 깨달았다. 하나 세상 모든 건 떤다는 거 알았다. 가만히 있다고 그게 가만히 있는 게 아니란다. 눈으로 보이지 않을 뿐 모든 건 떨린다고 한다. 사람은 살아서 떨리고. 공명이 일어나면 울린단다. 색깔을 보는 것도 공명해서 보는 거였다. 주파수가 맞았다는 말 떠오른다. 책이나 영화로 이야기 하기도 했는데, 내가 본 책 하나 있다. 《사피엔스》다. 하나라도 봐서 다행이구나. 내가 지금까지 본 과학책은 이야기나 역사가 있었다는 느낌이 든다. 그런 건 좀 더 알기 쉬운데. 물리학자가 쓴 글은 처음 봤다. 정말 그럴까. 분명히 그렇다고 말하기는 어렵지만 그런 것 같다. 얼마전부터 앞으로 과학책 봐야지 하고 뭘 볼까 하다가 이걸 봤는데 어려운 걸 골랐다는 생각이 들었다. 어렵다 해도 자꾸 보다보면 기억에 남을까. 그런 식으로 해 본 적 별로 없다. 그것 또한 아쉽구나. 무언가를 알게 된다 해도 내가 모르는 게 참 많다는 것만 느낀다.

 

 과학은 사람이 사는 세상을 알려는 거다. 지구와 더 넓게는 우주를 알려는 거구나. 사람이 사는 세상이라 하다니, 지구에는 사람만 사는 게 아닌데. 가장 쉬운 우주 법칙은 시작이 있으면 끝이 있다는 거다. 몇해 전에 과학에 조금이라도 관심을 가져서 빅뱅이나 우주가 생기고 138억 년이 되고 우주가 팽창한다는 걸 알았다. 실제 본 건 아니어서 그런가 보다 생각하지만. 과학이 있어서 그런 걸 알아냈겠지. 과학도 늘 그대로는 아니다. 자꾸 바뀐다. 바뀌는 게 아니고 제대로 알게 되는 건지도. 가설이 잘못돼서. 하지만 자신이 생각한 걸 고집하는 과학자도 있을 것 같다. 그러면 안 될 텐데. 잘못 알았다면 그걸 인정해야 한다. 이건 과학자만 그런 건 아니구나. 난 아는 게 없으니 안다고 말하기도 어렵다. 언제나 이런 마음이어야 할 텐데, 조금 알게 된 걸 뽐내면 안 되겠다.

 

 우주가 생기고 지구가 생긴 건 우연이다. 사람이 생긴 것도 우연이겠지. 그걸 일어날 일이었다 말할 수도 있겠지만. 우주는 우주 법칙으로 움직인다. 거기에서 뜻을 찾으려는 건 사람뿐이다. 이건 어쩔 수 없을지도 모르겠다. 사람은 생각하니 말이다. 그 생각이 좋은 쪽으로 흘러가기를 바란다. 과학으로 사람이 편하게 오래 살게 됐지만, 과학 때문에 지구 환경은 아주 안 좋아졌다. 그런 건 생각해야 한다. 지구에 가장 해로운 건 인류, 사람이다. 지구가 인류를 없애기 전에 인류가 정신차려야 한다. 과학은 어느 정도 예측할 수 있지 않나. 결과가 안 좋은 건 처음부터 안 하면 좋겠다. 다시 생각하니 실패에서 얻는 것도 있구나.

 

 

 

희선

 

 

 


댓글(1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han22598 2021-01-12 02:38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많은 것을 이미 알고 계시는데요 ^^

희선 2021-01-13 23:43   좋아요 0 | URL
han22598 님 고맙습니다 아는 척하는 거지요 이런 김새는 말을 하다니, 미안합니다


희선

scott 2021-01-13 10:1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이번 코로나 팬더믹으로 미국 대학에 과학 전공하려고 인재들이 몰려든데요.
주에서도 장학금 혜택도 넓혔고
결국 인류에 생명을 구할수 있는건 과학 인가?
바이러스에 이토록 약한 생명체라는것
이번에 절실하게 깨닫게 됩니다.^.^

희선 2021-01-13 23:44   좋아요 1 | URL
코로나19가 그런 걸 만들어내기도 했군요 과학 때문에 바이러스가 나타났을지도 모를 텐데, 과학으로 그걸 이겨내려고 하는군요 그렇게 할 수밖에 없을지도 모르겠지만, 약은 이것저것 먹으면 안 좋을 듯합니다 저는 읽지 않았지만 요새 약을 말하는 책도 많이 나오더군요 그것도 코로나19 때문인가 봐요 사람은 참 약하면서도 끈질기죠 약하기에 살아 남는 것도 있겠습니다


희선

페크pek0501 2021-01-13 17:4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2020년은 과학과 의학이 중요한 해였네요.
문학은 고전을 읽고, 과학은 최근 것을 읽으라고 해서 과학 책을 고를 땐 고민하게 되더라고요.
아무래도 과학의 영역에선 잘못 알았던 게 새로 밝혀져 바뀌는 것들이 있어서 그렇겠지요.

사피엔스, 너무 익숙한 제목이라서 제가 구입한 걸로 착각하고 나의 계정에서 알아보니
안 샀더라는... ㅋ호모데우스(유발 하라리)를 샀던 거예요.

희선 2021-01-13 23:48   좋아요 0 | URL
코로나19 때문에 그런 해가 됐군요 이번 2021년에도 그러지 않을까 싶네요 과학은 잘못 알게 되는 게 있기도 하겠습니다 발표하는 사람에 따라 그 사람 이름이 알려지기도 하는데 어떤 걸 한사람만 하는 건 아닌 듯해요 그런 이야기가 전해지기도 하는군요 잘 아는 건 아니지만...

호모데우스, 그 책 며칠에 걸쳐서 읽은 게 생각납니다 사피엔스는 재미있게 봤는데, 호모데우스는 좀 어려웠습니다 그 뒤로 유발 하라리 책은 안 봤군요 다른 책 보고 싶은 마음이 조금 들었지만...


희선

2021-01-13 17:5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1-01-14 00:01   URL
비밀 댓글입니다.

scott 2021-02-10 15:1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희선님 이달의 당선!
축!카!!

설날 연휴 평안하고 행복하게 보내세요.^.^

희선 2021-02-10 23:16   좋아요 1 | URL
그런 일이... 좀 부끄럽네요 별로 잘 쓰지도 못했는데... scott 님이 쓰신 댓글 보고 알았습니다 그러고 나서 제 메일 보니 그런 메일이 와 있네요 고맙습니다 여기에 쓰지만 scott 님도 축하합니다 찾아보니 되셨더군요


희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