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순한 진심
조해진 지음 / 민음사 / 201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소설을 읽기 전에는 단편이었던 <문주>를 장편소설로 썼나 했다. 그때는 더 할 말이 있어서 그런 건가 했다. 조해진은 <문주> 때문에 이걸 쓴 건 아닌가 보다. 본래 쓰고 싶은 게 있었다고 한다. 그걸 생각하다 먼저 단편을 쓰고 다음에 장편을 썼겠지. 단편은 갑자기 끝나버리지 않았나 싶기도 하다. 깊은 인상을 받지 못했다. 그걸 보고도 여러 가지 느낀 사람도 있겠지만, 그때 생각한 건 그저 어렸을 때 프랑스로 입양되고 자신을 잠시 돌봐준 사람이 자신의 이름을 문주라 한 걸 기억하고 그 이름이 무슨 뜻인지 찾으려는 거구나였다. 끝내 그 이름이 뜻하는 건 알지 못했지만, 장편도 그건 다르지 않다. 어릴 때 프랑스로 입양되고 지금은 연극배우며 극작가인 나나한테 한국 사람 서영이 나나 이야기를 영화로 찍고 싶다 했다. 문주라는 이름이 나타내는 걸 마지막에 찾는 거였다. 나나는 자신 안에 아이가 생긴 걸 알고 자신을 낳은 엄마가 보고 싶었고 자신을 철길에서 구하고 문주라는 이름을 짓고 한해쯤 함께 산 기관사를 찾고 싶기도 했다.

 

 지금도 달라지지 않았을지도 모르겠지만 한때 한국은 아이를 다른 나라에 수출한다는 말을 들었다. 좋은 말로는 가난한 한국보다 잘사는 나라에 가서 사는 게 낫다고 했겠지. 다른 나라로 입양된 사람이 부모를 찾으려고 한국에 오고 텔레비전 방송은 부모를 찾는 걸 도와주기도 했겠지. 부모를 찾아도 그렇게 좋지 않았을지도 모르겠다. 나나도 한해 전에 한국에 와서 자신을 잠시 맡은 기관사나 부모를 찾으려 했지만 정보가 별로 없어서 찾지 못했다. 그때 일이 안 좋은 기억으로 남아서 나나는 다시 한국에 오지 않으려 했다. 입양된 사람이나 부모한테 버림 받은 사람은 거의 자신한테 아이가 생기면 부모를 떠올리는 듯하다. 나나는 자기 이름을 문주라 지어준 기관사를 조금 원망했다. 친엄마가 자신을 버렸는데, 또 기관사가 자신을 버려서. 그런데도 나나는 기관사와 기관사 어머니와 살던 때 먹은 음식을 기억하기도 했다. 난 왜 기관사가 나나를 자신이 기르려고 하고 어머니가 반대했다고 생각했을까. 그런 말은 없었다. 기관사는 자신이 결혼하려는 사람이 아이를 함께 기르겠다고 했다면 나나를 고아원에 보내지 않았을지도 모르겠다. 그러지 않아서 좋은 고아원을 찾으려 했겠지. 하지만 이건 영영 알 수 없게 됐다. 기관사는 다섯해 전에 병으로 죽었다.

 

 한해 전에 나나는 아무것도 알 수 없었는데 이번에는 기관사 이름이나 기관사 아내와 연락을 하고 딸과 어머니를 만났다. 이건 기적 아닐까. 나나는 서영 집에서 지냈는데 1층에는 복희식당이는 곳이 있었다. 나나는 어느 날 그 식당에서 밥을 먹고 기관사 어머니가 해준 음식이 뭔지 물어본다. 나중에 복희는 그걸 나나한테 해준다. 나나는 식당 할머니를 복희라 했다. 복희는 할머니가 벨기에로 보낼 수밖에 없었던 아이 이름이다. 이런 인연도 있구나. 나나는 잠시 할머니를 오해하고 멀리하기도 했다. 어쩌면 나나는 자신을 버린 엄마를 떠올렸을지도. 식당 할머니 이름은 추연희였고 복희는 연희가 처음 받은 아이였다. 복희는 혼혈이었다. 복희를 낳은 엄마 백복순은 기치촌에서 일했다. 복순은 연희를 낳고 네해 뒤 죽었다. 연희는 복희를 기르고 지키고 싶었지만 세상과 싸울 힘이 없어서 다른 나라로 입양 보냈다. 그리고 줄곧 잊지 않고 언젠가 만나기를 바랐다. 연희는 복희를 낳지 않았지만 자기 딸처럼 여겼을 거다. 연희가 쓰러지고 죽을 날이 얼마 남지 않았을 때 복희가 한국으로 온다.

 

 다른 나라로 입양된 사람이 두 사람이나 나오다니. 그래도 두 사람은 살았다. 이 세상에 나오지 못하고 죽은 목숨도 아주 많았다. 지금도 어딘가에서는 사람 모습도 제대로 갖추지 못하고 엄마 배 속에서 사라지는 목숨 많겠다. 복희도 연희가 자신을 버렸다 생각했지만 누워 있는 연희를 보고 왜 연희가 그럴 수밖에 없었는지 알게 된다. 사람은 힘들면 가끔 이런 생각을 한다. 차라리 태어나지 않았다면 좋았을 텐데 하고. 태어나지 않았다면 힘들고 괴로운 일 없었겠지. 잘 생각해 보면 이 세상에 와서 좋았던 일도 많을 거다. 그게 오래 가지 않는다 해도. 한사람은 복희를 낳은 복순을 부러워했다. 그 사람은 아이가 생길 때마다 지웠다. 나나는 차라리 태어나지 않은 아이가 낫다고 생각했는데 시간이 흐르고 다르게 생각했다. 자기를 낳아준 엄마 자신을 구해준 기관사 자신을 길러준 부모한테 고맙게 여겼다. 나나에서 이어지는 목숨이 나나 배 속에 있어서겠지. 나나는 아이를 우주라 했다. 사람은 누구나 우주라고도 한다. 한사람은 여러 사람이 있어서 산 게 아닌가 싶기도 하다. 부모한테 버림 받거나 혼자가 되고 힘들고 외로워도.

 

 피를 나누고 식구라는 이름으로 얽매이면 그것대로 힘들겠지만, 누군가와 오래 이어지고 싶어도 그럴 수 없는 사람도 있다. 그렇다고 그게 안 좋다는 건 아니다. 한때나마 자신을 돌봐준 사람이 있기에 지금 자신이 있는 거 아닌가 싶다. 이건 모든 사람이 그럴지도. 난 친구하고 오래오래 이어지고 싶다 생각하는데 그건 쉽지 않은 듯하다. 끊어지면 끊어지는대로 내버려두는 게 낫겠다. 잠시라도 닿은 인연을 고맙게 여겨야겠다. 그때만은 진심이었을 테니. 난 식구도 끊어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 식구라는 걸 믿고 함부로 대하지 않기를 바란다.

 

 

 

희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