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어령의 지의 최전선
이어령.정형모 지음 / arte(아르테) / 2016년 1월
평점 :
절판


  나이는 숫자에 불과하다는 것을 이어령 선생님의 서재를 보며 느꼈다. 나도 하고 있지 못하는 최첨단의 시스템으로 글을 쓰고 계시다는 것. 나는 지의 최전선에 있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스물 일곱 가지의 내용 중 '아날로그 결핍증'은 기억에 남는다. 닭의 발을 네 개로 그린다는 내용에 대해서 참 놀라웠다. 워낙 아날로그와 디지털 세대를 살아왔기에 그런지 생소한 부분이다. 그러나 글을 읽어보면 정말 그런 것 같다. 아이들이 제대로 접해보기란 힘들었을 것 같다. 놀이 또한 그렇지 않은가? 어린 시절 동네 골목을 뛰어다니며 시간을 보냈지만 요즘에는 그런 모습을 보는 것이 참 어려운 것 같다.

  아날로그 결핍증에 대한 부분 가운데 규격화 되지 못해 버려지는 야채들에 대한 내용을 보며 생각을 하게 된다. 이미 나와 같은 생각을 실행하고 있는 이들이 많을지도 모르겠다는 생각도 해본다. 결국 이 책에서 접하는 내용들은 이미 지나간 지식이기 때문에...

  이 책에는 정말 많은 지식들이 담겨 있다. 정말 그동안 읽은 책은 무엇이었을까? 싶을 정도로 다양하고도 끝이 없을 것 같은 내용들을 만나게 된다.

  관심이 가는 분야의 내용들이라 두꺼워 보이지만 흥미롭게 읽혀 시간이 가는 줄 모르고 읽은 책이다. 얼마 전 읽었던 책에서 언급된 『더 박스(The Box)』라는 책은 정말 한 번 읽어보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이어령 선생에게 있어 정말 나이는 숫자에 불과했다. 그 이유는 아마 지의 최전선에서 싸우고 있기에 가능했던 것은 아닌가 싶다. 다시 구직의 시기다. 그러나 일을 할 때보다 바쁜 시간의 연속이다. 그동안 만나지 못했던 사람들을 보거나 세미나 및 커핑 등이 예정 되어 있다. 지의 최전선은 아닐지 모르겠으나 내가 계속 하려는 일을 위한 공부의 연속이다.

  지적 호기심이 강한 이들이나 지의 최전선에서 싸우는 이들의 모습을 엿보기 좋은 책이라 생각하며 『이어령의 지의 최전선』에 대한 글을 마무리 하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