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트렌드 에듀 2016 - 2016 대한민국 교육계를 뒤흔들 13가지 트렌드
이병훈 교육연구소 지음 / 다산에듀 / 2015년 11월
평점 :
몇 해 전부터 원숭이띠 동갑 친구가 "병신,병신" 외치던 2016 병신 년이
얼마남지 않았다. 대학을 졸업한지도 10년 이상 지난 이때 교육계의 트렌드에 대한 책을 읽는 것이 낯설다. 그나마 교육에 근접하는 것은 현재
내가 하고 있는 커피 업계에서 앞으로 할 교육이나 전공을 살린 교육이 전부. 하지만 아직 그런 준비가 되어 있지 않지만 고등학생 조카가 있는
삼촌으로 읽어본다.
몇 해 전부터 교육은 아니나 다른 트렌드에 관한 책들을 읽어왔다. 어떠한 내용은 예상이 적중했고, 또 어떤 내용은
빗나가기도 했다. 그래도 어느 정도 예측을 하며 대비를 하기 위해 정보를 얻는 것이 중요해 책을 읽게 됐다.
원숭이 해라 그런지 '재주
많은 융합형 인재'라는 말이 낯설진 않다. 어쩌면 내 바람인지도 모를 그런 인재...워낙 다양한 능력의 인재를 원하기에 한 사람이 여러 사람의
몫을 하길 원하는 곳 또한 늘고 있다. 다만, 그만큼의 혜택이 그 인재에게 돌아가지 않는다면 결국은 열정 페이의 확산이 아닌가
생각한다.
책은 전형적인 트렌드 관련 도서처럼 1부에서 올 한해를 돌아보고 2부에서 다가올 새해의 교육 트렌드에 대해 다루고 있다.
1부의 경우 간단히 다루고 넘어가 좀 짧은 것은 아닌가 싶었다.
2부에서 다룰 2016년 교육계의 13가지 트렌드가 낯선 것은 내가
학부형이 아니라 그런 것 같다
각 부분에 앞서 케이스 스터디를 두어 해당 주제와 관련된 일화를 통해 접근하도록
돕는다.
인성교육은 필요성을 느끼나 그에 따른 사교육 발생은 안 좋게 생각된다. 진로교육과 관련된 내용은 우리 때도 그런게 있었다면
보다 좋지 않았을까? 생각한다. 진로에 대한 고민은 자의적으로 직업을 선택하지 못한 이들에게 위기 때마다 찾아오는 것 같다. 이런 교육이 보다
일찍 시작됐다면 좀더 괜찮은 기업 문화로까지 성장할 수 있지 않았을까? 생각하게 된다.
플립 러닝은 제대로 된 교육 방식을 뒤늦게나마
적용했으나 보여주는 성과에 대한 내용이 흥미롭다. 주입식 교육에서 벗어나 스스로 생각하고 토론하며 답을 찾아가는 교육은 가장 인상적인
부분이었다. 나중에 커피 교육을 할 때에도 플립 러닝 적용하면 재미있을 것 같다(이미 하고 있을지도 모르겠다).
중국에 대한 관심으로
인해 중국어를 더 많이 배우는 것 같다. 이미 우리 주변에서 익숙하게 들을 수 있는 언어지만 여전히 성장세를 보이는 부분이고 아는 분의 직장이
언급 되어 신기했던 부분이다. 나도 중국어를 배워야 하는데...그 전에 영어부터 다시 공부를...
아날로그 교육법은 너무 성적 경쟁
위주의 교육이 나은 모습으로 여겨진다. 앞서 나온 인성교육과도 연관이 되지만 한편으로는 이런 교육들만 시킨다고 되는 것은 아니라 생각한다.
학부모의 자세 또한 중요하지 않을까? 과거에 비해 부모의 경제력을 보고 친구을 가리게 하는 모습은 꾸준하게 증가하는 것 같다. 그런 부분들을
먼저 개선이 된 후 이와 같은 교육이 있어야 더 좋을 것 같다 생각한다.
수학 교육 부분은 수포자의 한명이라 참 생각할 것이 많다.
중학교 2학년 초반까지 흥미롭게 공부했었으나 새로오신 수학 선생님께서 어떻게 수학이 100점이 나오냐며 문제의 난이도를 높이고 수업 방식의
변화로 흥미를 잃어버렸다. 수포자를 줄이기 위한 스토리텔링 기법은 참 괜찮은 것 같다. 수학을 실생활에 활용할 수 있는 학문으로 배우는 것 또한
중요하다. 문제만 풀고 시험 보기 급급했던 시절...수학에 대한 흥미는 급작스런 난이도 상승과 함께 사라졌다. 그래도 최근 흥미로운 수학 책들이
나와 다시금 포기했던 수학과 가까워지려 노력은 하고 있다.
책 후반부로 갈수록 달라진 교육 트렌드에 대처하는 방법과 고민이 이어진다.
학부모라면 어떤 준비를 해야할지 고민을 하거나 이미 그 중심에 뛰어들어 분주한 이들이 있을 것이다.
이 책은 변화하는 교육 트렌드를
소개하며 그 변화에 주시하는 학부모나 선생님들이 읽어보면 좋을 책이라 생각하며 리뷰를 마친다.